반응형
반응형


2023-04-07, 원흥역농장, 케일 모종 심기

반응형
반응형

나무는 여러 가지다.
나뭇가지는 여러 가지로 뻗는다.
여러 가지는 한 나무줄기에서 뻗어 나온다.
여러 가지인 것 같지만 뿌리를 찾아가면 다 마찬가지다.
살아가면서 여러 가지 문제를 만나지만 다 마찬가지다.
여러 가지를 뻗다 보면 고지에도 오르고 경지에도
이른다. 가지가지 해봐야 '고지(高地)'에 갈 수
있다. 가지가 자라면서 굽은 가지, 즉
곡지(曲枝)도 생긴다. 곡지가 있어야
심지(心志)도 굳어진다.


- 유영만의 《삶을 질문하라》 중에서 -


* 본질을 아는 게 중요합니다.
답이 보이지 않을 때는 문제의 뿌리를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때로는 문제로 삼은 것이 문제가
아닐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숲은 다양한 형태의 나무와
온갖 가지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각각의 가지는
저마다의 존재 이유와 가치가 있습니다.
하나도 버릴 것이 없습니다. 곡지가
있어야 심지도 굳어집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0) 2023.04.08
나의 음악 레슨 선생님  (0) 2023.04.07
'우리 엄마는 말이 통해'  (0) 2023.04.05
'친구 같은 아빠'가 그립습니다  (0) 2023.04.04
'아' 다르고 '어' 다르다  (0) 2023.04.03
반응형

이 세상을 움직이는 것은 희망이다.
수확할 희망이 없다면 농부는 씨를 뿌리지 않으며
이익을 거둘 희망이 없다면 상인은 장사를 하지 않는다.
좋은 희망을 품는 것이
바로 그것을 이룰 수 있는 지름길이다.
- 마틴 루터 킹, 목사


사람의 몸은 심장이 멈출 때 죽지만
사람의 영혼은 꿈을 잃을 때 죽는다는 말이 있습니다.
어려운 환경을 탓할 것이 아니라
희망을 가지지 않은 것을 부끄러워할 줄 알아야 합니다.
세월은 세상을 주름지게 하지만
정열과 희망을 포기하는 것은 영혼을 주름지게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 [백준] 1019번 책 페이지 - PYTHON
    https://www.acmicpc.net/problem/1019
    문제
    지민이는 전체 페이지의 수가 N인 책이 하나 있다. 첫 페이지는 1 페이지이고, 마지막 페이지는 N 페이지이다. 각 숫자가 전체 페이지 번호에서 모두 몇 번 나오는지 구해보자.

    입력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N은 1,000,0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0이 총 몇 번 나오는지, 1이 총 몇 번 나오는지, ..., 9가 총 몇 번 나오는지를 공백으로 구분해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11
    예제 출력 1 
    1 4 1 1 1 1 1 1 1 1
    예제 입력 2 
    7
    예제 출력 2 
    0 1 1 1 1 1 1 1 0 0
"""

import sys

n=int(sys.stdin.readline().strip())
a=[0]*10
b=1
while n != 0:
    while n % 10 != 9:
        for i in str(n):
            a[int(i)] += b
        n -= 1
        
    if n < 10:
        for k in range(n+1):
            a[k] += b
        a[0] -= b
        break
    
    else:
        for i in range(10):
            a[i] += (n//10 + 1) * b
    a[0] -= b
    b *= 10
    n //= 10
    
for i in a:
    print(i,end=' ')
반응형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UUFeP_XNLW0 

방문객

 - 정현종
 

사람이 온다는 건

실은 어마어마한 일이다

그는

그의 과거와

현재와

그리고

그의 미래와 함께 오기 때문이다

한 사람의 일생이 오기 때문이다

부서지기 쉬운

그래서 부서지기도 했을

마음이 오는 것이다-그 갈피를

아마 바람은 더듬어볼 수 있을

마음,

내 마음이 그런 바람을 흉내낸다면

필경 환대가 될 것이다.

 

반응형
반응형

성장을 원한다면 사고방식이나 행동이 비슷한 사람들하고만 어울려서는 안된다.
자신과 생각이 비슷한 사람들과 함께할 때 편안함을 느낀다.
모두가 당신의 의견에 동의하기 때문에 안전함을 느끼지만,
자극이 될 만한 상황은 생기지 않는다.
당신의 의견이 반대에 부딪혔을 때, 성장할 기회가 찾아온다.
- 데이브 아스프리, ‘최강의 인생’에서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갈등을 겪지 않고
게임의 판도를 바꾼 사람은 단 한명도 없다.
어두운 숲을 걷다가 낭떠러지에서 발을 헛디뎌 어디로 떨어지는 지,
언제 도착하는 지, 아니 어딘가에 도착하긴 할지 알지 못하는
깊은 심연에 빠졌을 때, 비로소 뜨거운 흥분과 영감을 얻을 수 있다.
예상치도 못한 방향으로 당신이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도전하고 자극하는 사람들과 교류해야 한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