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부정적인 생각은 높은 스트레스로 이어진다.
이 생각은 낙관성을 뭉개고 창의성을 억누른다.
뇌가 부정적인 사고로 기울어져 있을 때 우리는 기묘한 것을 놓치고 만다.
기묘함은 패턴인식의 토대이며, 더 나아가 창의성의 토대다.
창의성이 없으면 혁신도 없고, 혁신이 없으면
불가능한 것을 가능하게 만들 수도 없다.
- 스티븐 코틀러, ‘멘탈이 무기다’에서


감사는 뇌가 긍정적인 일에 초점을 맞추도록 훈련시켜서
기존에 부정적으로 편향된 정보 필터링 방향을 긍정적으로 바꾼다고 합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3주 동안 감사를 표현하면 뇌에서는
신경 재배선이 일어납니다.
감사는 기분에 영향을 주면서 기발함을 향상시킵니다.
감사가 창의성을 키워줍니다.

반응형
반응형

말보다 더 빠른 노루가
잡히는 것은 두려움 때문이다.
혹시 잡히지 않을까 염려하는 마음에
뒤를 돌아보다가 자기 능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한다. 이런 마음의 약점은 위기뿐 아니라
그 어떤 일에서도 사람의 족쇄가 된다.
특히 큰일을 하려면 반드시 마음의
안정과 올바름이 필요하다.


- 조윤제의《하루 한 장 고전 수업》중에서 -


* 비단 노루만
두려움 때문에 잡히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 인간의 삶도 늘 두려움과의 싸움입니다.
두려움 때문에 때를 놓치고, 두려움 때문에 사랑을
포기합니다. 여기에 걱정근심과 염려하는 마음까지
겹치면 오도가도 못합니다. 두려움의 대상은
두려움이 아닙니다. 지레 겁을 먹고 스스로
발목을 묶는 자기 마음속의 족쇄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가 날 때는  (0) 2022.12.08
파워냅(Power Nap)  (0) 2022.12.07
적재적소의 질문  (0) 2022.12.06
가장 보기 힘든 것  (0) 2022.12.06
고통을 견디는 방법  (0) 2022.12.02
반응형

사람들은
저마다 다릅니다. 따라서
그들의 생각을 편하게 나누도록 하려면
각기 다른 방법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결단력의 문제가 아니라 발견의
문제입니다. 적재적소의 질문을
제대로 던지는 것이
핵심이죠.


- 대니얼 코일의《최고의 팀은 무엇이 다른가》중에서 -


* 질문도 지적 훈련의 하나입니다.
그 사람의 인품, 관심사, 지적 수준이 드러납니다.
적재적소의 질문을 던질 수 있는 것도 능력입니다.
제때에 하는 뜻밖의 질문 하나로 어떤 사람의
인생이 새롭게 바뀔 수도 있습니다.
"당신의 꿈은 무엇인가요?"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워냅(Power Nap)  (0) 2022.12.07
말보다 빠른 노루가 잡히는 이유  (0) 2022.12.06
가장 보기 힘든 것  (0) 2022.12.06
고통을 견디는 방법  (0) 2022.12.02
거리의 똥을 치우라  (0) 2022.12.01
반응형

 

해가 지는 것을 보려면
해가 질 때까지 기다리지 말고, 해가 지는 쪽으로 가야 해.
가끔 폭풍, 안개, 눈이 너를 괴롭힐 거야. 그럴 때마다
너보다 먼저 그 길을 갔던 사람들을 생각해 봐. 그리고
이렇게 말해봐. "그들이 할 수 있다면, 나도 할 수 있어."
비밀 하나를 알려줄게. 아주 간단한 건데,
마음으로 봐야 더 잘 보인다는 거야.
정말 중요한 건 눈에 보이지 않아.
사막이 아름다운 건 어딘가에
오아시스를 감추고 있기 때문이야.


- 생텍쥐페리의《어린 왕자》중에서 -


* 삶을 살다 보면 시련이 닥쳐 올 때가 많습니다.
그러나 그러한 시련을 우리만 겪는 것은 결코 아닙니다.
우리 주변에 있는 수많은, 정말 많은 사람들이 그 시련을
같이 견뎌내고 있을 겁니다. 그들이 할 수 있다면 우리도
틀림없이 할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사랑, 우정,
희망 등은 눈에 보이지 않습니다. 하지만 당신의
주변 사람들과 같이 시련을 견뎌내다 보면
언젠간 눈에 보일 것이라고 믿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보다 빠른 노루가 잡히는 이유  (0) 2022.12.06
적재적소의 질문  (0) 2022.12.06
고통을 견디는 방법  (0) 2022.12.02
거리의 똥을 치우라  (0) 2022.12.01
안전하다는 감각  (0) 2022.11.30
반응형

[여행] 2022-12-03~05, 제주, 제주시

반응형
반응형

"당신과 제가 느끼는
고통은 결코 사라지지 않겠지만
일에 몰두하는 동안은 그래도 견딜 만할 겁니다.
몸이 지치면 마음이 괴로울 여지가 없으니까요."
그들은 하루 종일 시신을 모아 쌓아올리는
섬뜩한 작업을 했다.


- 파울로 코엘료의《다섯번째 산》중에서 -


* 삶은 늘 고통을 수반합니다.
그 고통을 견디어내는 방법이 있습니다.
몸의 고통은 마음으로, 마음의 고통은 몸으로 푸는
것입니다. 몸과 마음을 동시에 푸는 방법도 있습니다.
일에 몰두하다 몸이 지쳐, 고통을 느낄 틈조차
허락하지 않는 것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재적소의 질문  (0) 2022.12.06
가장 보기 힘든 것  (0) 2022.12.06
거리의 똥을 치우라  (0) 2022.12.01
안전하다는 감각  (0) 2022.11.30
배우자 선택 기회  (0) 2022.11.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