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어느 틈에 노안이 왔다.
안경 없이는 책 보기가 힘들다.
거리를 두고 보면 나아지지만, 어느 순간부터
구태여 잘 보려고 애쓰지 않게 됐다. 멀리 보고 살라고
노안이 오는 것 같다. 눈앞만 보지 말라고,
안 봐도 되는 건 패스하라고.


- 진은섭의《나를 살린 20일》중에서 -


* 안경을 쓰는 나로서는 노안이 늦게 온 듯합니다.
올해부터 시작했습니다. 안경을 벗으면 작은 글씨도 잘 보이니
그나마 다행이구나 싶은 생각도 들지만 글을 보다 가도
뭔지 모르게 화도 올라오고, 쓸쓸해지기도 합니다.
작가의 글처럼 눈앞만 보지 말고 안 봐도 되는 건
패스하라는 뜻의 긍정적인 생각으로 돌려
나도 다른 시각으로 나이 드는
나를 맞이해야겠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우자 선택 기회  (0) 2022.11.29
항상 웃자  (0) 2022.11.28
위장의 7할만 채우라  (0) 2022.11.25
돈으로 해결할 수 없는 한 가지  (0) 2022.11.24
가지치기  (0) 2022.11.23
반응형

아이디어를 찾기 위한 세 가지 조언

마이크 세이블은 문제를 제대로 발견하기 위해 방법으로 이런 세 가지 조언을 했어요.

 

  1. 무엇이 좋은 문제이고 나쁜 문제인지를 미리 알고 있어라.

 

대개 사업 아이디어는 자리에 앉아서 머리를 쥐어싸매고 고민하면 잘 떠오르지 않아요. 아까 말씀드린 SISP 가 나올 경우가 많죠. 진짜 좋은 아이디어는 경험을 하는 와중에 떠오르게 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이 좋은 문제이고 나쁜 문제인지를 처음부터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어떤 분야든 현업에서 일하면서 경험을 쌓아라.

 

개인적인 차원에서 문제를 찾아내는 것에서 시작하려면 당연히 여러 가지를 경험해봐야 문제를 마주할 가능성이 높아지겠죠? 이런 점에서 IT나 소프트웨어에서 일하는 사람보다 전통적인 산업계에서 일하는 사람이 '진짜 문제’를 발견할 가능성이 높아요. 그 문제는 다른 사람들은 발견하지 못했을 수도 있으니까요.

 

많은 예비창업자들이 스타트업에서 일하면서 경험을 쌓는 이유. 대기업에서 일하는 것보다 훨씬 많은 경험을 하고 더 많은 문제를 목격할 수 있기 때문이죠.

 

  1. 무의식적인 필터링(검열)을 피하라.

 

창업자들은 무의식적으로 어떤 것은 되고 어떤 것은 안 된다는 자기 검열을 하게 된다고 해요. '이미 시장점유율이 높은 대기업이 있다'던지, '시장이 너무 작다'던지와 같은 것입니다. 하지만 이런 필터링이 좋은 아이디어를 걸러내 버릴 수도 있습니다.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중 하나면서 커뮤니티로 성장한 디스코드는 게임을 만드는 회사가 게임에서 사용하는 음성 채팅 서비스를 개선하려다가 등장했어요. 당시 스카이프처럼 게임용 메신저 서비스가 이미 있었죠. 하지만 게이머들의 만족도는 낮았습니다. 여기를 공략하고 들어가자 디스코드는 순식간에 세계적인 메신저 서비스로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문제를 발견하는 건 모두에게 중요하다

스타트업들이 창업 아이디어를 얻는 과정이 기존 대기업에서 신사업을 찾고자하는 분들에게도 참고할만한 부분이 있을 것 같아요.

 

첫째, 타이밍이 중요하다.

 

한 가지 문제에 진득하게 달라붙어 모든 것을 올인하는 데다가 성공할 경우 창업자에게 막대한 보상이 돌아가는 것. 그것이 스타트업이죠? 그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는 스타트업보다 대기업의 소규모 부서가 불리한 것이 현실이에요.

 

그런 스타트업조차 타이밍이 성공의 중요한 비결이었어요. 새로운 기술과 트렌드가 나왔다면 대기업도 빠르게 시도해보고 어느 정도 발을 걸치고 있어야하는 이유입니다.

 

둘째, 현업에서 사업의 기회를 발견하라.

 

대기업이라면 어느 곳이나 이미 하고 있는 기존 사업이 있을 것 같아요. 그리고 거기서 해결해야하는 문제들을 발견할 수 있겠죠? 그런 문제가 무엇인지를 발견하는 것만으로도 신사업을 찾아내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요? 

 

하지만 그런 아이디어가 회사 경영진에게 전달되지 못하고 있다면,

 

1) 현업과 경영진간의 커뮤니케이션 문제가 있을 것 같아요. 이 문제는 내부 절차뿐만 아니라 기업문화 측면에서 많은 노력을 기울어야할 것 같아요. 

 

2) 우리 회사가 바로 그 문제 자체인 경우가 있겠죠. 우리 회사가 문제의 원인이라는 것은 아무도 모르면 좋겠지만.. 🙄 경쟁자나 스타트업들이 끊임없이 그 문제를 파고들려고 할 것 같아요. 그렇다면 우리가 주도적으로 해결해나가는 것이 좋겠죠? 

 

많은 대기업/중견기업들께서 오픈 이노베이션 사업을 스타트업들과 하고 계신데요. 이런 오픈 이노베이션 프로그램이 위의 두 가지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아요. 스타트업들은 문제에 해결책을 찾고자 하는 이들이고, 이들과 협업을 하다보면 현업의 문제가 효과적으로 경영진에게 전달될 수도 있을테니까요.  

반응형
반응형

위장의 7할만 채우면 장수한다.
미국에서는 히말라야 원숭이를 이용해
장수에 관한 여러 가지 실험을 하고 있다,
그 결과 배가 부를 때보다 칼로리를 30퍼센트 줄인
기아 상태에 가까울 때 장수 유전자가 활성화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장수 유전자가 활성화되려면
배가 70퍼센트쯤 찼을 때 식사를 끝내고
혈당치가 기준치 안에서 안정되도록
관리해야 한다.


- 마키타 젠지의《식사가 잘못됐습니다》중에서 -


* 배부르게 먹는 것이
많은 사람들의 소원이던 때가 있었습니다.
'배가 나와야 사장이지'라는 노래 가사도 있었습니다.
모두 옛날 얘기가 되었습니다. 배부르게 먹는 것을
가장 경계해야 하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과식과
그에 따른 비만, 만병의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위장의 7할만 채우십시오. 나머지 3할은
'마음의 양식'으로 채워나가십시오.
독서, 명상, 산책, 운동...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상 웃자  (0) 2022.11.28
노안이 왔다  (0) 2022.11.28
돈으로 해결할 수 없는 한 가지  (0) 2022.11.24
가지치기  (0) 2022.11.23
누구나 다 아는 말  (0) 2022.11.22
반응형

정상의 기업들이 계속 그 자리를 지키는 가장 큰 이유는
좋은 경영(good management) 때문이다.
이런 회사들은 고객의 소리에 귀 기울이고, 고객이 원하는 제품을
더 잘 만들도록 기술에 투자하고, 시장 트렌드를 주의깊게 관찰하여
가장 큰 이익을 보장하는 분야에 체계적으로 투자한다.
그리고 이런 무난한 경영으로 인해 그들은 어느새 시장의 리더십을 잃게 된다.
- 클레이튼 크리스텐슨, ‘혁신의 딜레마’에서


짐 콜린스는 그의 명저 ‘Good to Great'에서
’좋은 것은 위대한 것의 적이다 (Good is the enemy of the Great)‘라고
같은 원리를 갈파하고 있습니다.
조직 내에 끝없이 탁월함을 추구하는 DNA를 심어야만
살아남을 수 있는 시대가 되었음을 냉정하게 인식할 수 있어야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영국 해러즈 백화점의 회장이
돈으로 해결하지 못할 게 없다고 믿고 살았는데
말년에 돈으로 해결할 수 없는 한 가지가 있다는 걸
알았다고 합니다. 그건 바로 '의미를 발견하는 일'이라는
것입니다. 원하는 건 다 가졌지만, 그게 과연 무슨 의미가
있는가라는 질문에 봉착했을 때 돈이 만능이 아니라는
걸 깨달았다는 겁니다. 이것을 깨달았을 때
새로운 차원의 인생을 살게 됩니다.


- 조정민의《답답답》중에서 -


* 돈으로 얻은 사람은
돈이 떨어지면 속절없이 떠납니다.
돈으로 찾은 의미는 돈이 없어지면 안개처럼 사라집니다.
돈을 믿고 살다가 돈 때문에 무너지는 사람이 무수합니다.
의미 있는 꿈, 의미 있는 삶이 먼저입니다. 돈은 뒤따라
오거나 말거나 하는 것입니다. 돈이 있으면
더 의미 있게 쓰고, 돈이 없으면
더 깊은 의미를 찾고.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안이 왔다  (0) 2022.11.28
위장의 7할만 채우라  (0) 2022.11.25
가지치기  (0) 2022.11.23
누구나 다 아는 말  (0) 2022.11.22
2주 동안의 호숫가 쉼  (0) 2022.11.22
반응형

베풀기로 결정했다면 정말 기쁜 마음으로 주고 잊어버려야 합니다.
동시에 베풀 수 있을 만큼의 무언가가 내 안에 있고
또 베풀 수 있는 상대가 있음에 감사하세요.
대가가 돌아올 것을 기대하지 말고 줄 수 있다는 기쁨을 마음껏 누리세요.
이런 마음가짐이 상대의 마음을 움직이게 되고,
결국 두 사람의 관계에 좋은 운을 불러 올 것입니다.
- 이정일, ‘오래된 비밀’에서


악연을 피하고 좋은 인연을 만날 수 있는 방법으로 평소에 뭔가를 준다,
혹은 베푼다는 마인드를 가지는 게 중요합니다.
좋은 인연일수록 이제부터는 내가 더 많은 것을 주자는 마음을 가지고 대하면
더 큰 행운을 끌어다 쓸 수가 있습니다. 행운은 비운 만큼 채워집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