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엄격한 사랑을 실천하라. 칭찬을 하는 것은 쉽지만
칭찬은 사람들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누군가의 실수와 약점을 지적하는 것은 더 어렵고 환영받지 못한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훨씬 더 가치 있고 소중하다.
사람들은 이를 통해 무엇을 해야 하는 지 배운다.
레이 달리오, ‘원칙’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칭찬을 선호하지만
정확한 비평이 더 가치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무엇을 잘하고 있는지 명확하게 알려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약점을 지적하고 반성하도록 하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합니다.
엄격한 사랑은 거의 언제나 환영받지 못하지만 너무나도 중요한 것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설교를 준비하다 보면
깊은 해석이 필요한 구절을 만날 때가 있다.
자세히 설명해 주지 않으면 결코 이해하기 어려운
이런 구절들에 대해선 깊이 있게 분석해서 설교해야
한다. 연구를 많이 해야 한다. 그런가 하면 누구나 다
아는 구절이 나온다. 몰라서 지키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뻔히 다 알지만 잘 지켜지지 않는
주제의 말씀들이 있다. '감사'가
그 좋은 예일 것이다.


- 이찬수의《감사》중에서 -


* 감사.
깊은 해석이 필요 없습니다.
누구나 다 아는 뜻의 말이니까요.
그러나 '실천'은 별개의 문제입니다.
뜻은 좋고 말은 쉬운데 실행은 어렵습니다.
실행하지 못하면 뜻을 아는 것도 의미 없습니다.
모든 것에 감사하는 것, 도저히 감사할 수 없는
것에조차 감사하는 것, 그것을 매일매일
생활에 옮기는 것, 해 볼 만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으로 해결할 수 없는 한 가지  (0) 2022.11.24
가지치기  (0) 2022.11.23
2주 동안의 호숫가 쉼  (0) 2022.11.22
이것이 나의 불행이다  (0) 2022.11.22
내 몸을 내가 모른다  (0) 2022.11.18
반응형

어느 유명한 영성가가
무기력에 빠져서 영적 멘토에게 의논을 했더니
그냥 무조건 자기한테 와서 쉬라고 했답니다.
호숫가 집에서 2주 동안 아무것도 하지 않고
무조건 쉬었더니 회복이 되었다고 해요.
누구한테나 쉼이 필요한 겁니다.


- 조정민의《답답답》중에서 -


* 영성가도 지칩니다.
몸도 지치고 마음의 에너지도 고갈됩니다.
긴 말이 필요 없습니다. 무조건 쉬는 것 말고
다른 길이 없습니다. 멘토가 있는 호숫가도 좋고
힐러가 있는 숲속도 좋습니다. 쉬는 것이
사는 것이고, 말라버린 영성도
높이는 것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지치기  (0) 2022.11.23
누구나 다 아는 말  (0) 2022.11.22
이것이 나의 불행이다  (0) 2022.11.22
내 몸을 내가 모른다  (0) 2022.11.18
말과 글이 거칠면  (0) 2022.11.17
반응형

행복을 말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돈, 권력, 명예 등을 내려놓거나
비우라고 말한다. 물질보다는 내재적 가치를
존중한다. 외부보다는 내면을 중시한다. 돈, 권력,
명예를 가진 사람들은 행복을 말하지 않는다.
그것으로 행복하기 때문에 행복을 말할
시간이 없다. 돈, 권력, 명예에 빠져
불행을 느끼지 못한다.


- 방우달의《'7기'에 미친 남자의 행복한 생존법》중에서 -

* 아, 어느 것이
진짜 행복한 것일까요?
행복하지 않기 때문에 행복을 노래하는 것일까요?
아니면 진짜 행복해서 행복하다고 노래할까요?
살면서, 나이가 들어가면서 많이 헷갈립니다.
돈, 권력, 명예를 가져본 적이 없으니까 잘
모르겠습니다. 가보지 못한 세상에
가보고 싶습니다. 이것이
나의 불행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구나 다 아는 말  (0) 2022.11.22
2주 동안의 호숫가 쉼  (0) 2022.11.22
내 몸을 내가 모른다  (0) 2022.11.18
말과 글이 거칠면  (0) 2022.11.17
'치료'와 '치유'  (0) 2022.11.16
반응형


스스로 세운 인생의 목표에 헌신하는 사람은
삶이 즐거워 어쩔 줄 모른다.
다시 태어나도 그 일을 하겠다고 다짐한다.
수입이 전혀 없어도 기꺼이 하겠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 일을 초등학교 때부터 하지 않은 것을 후회한다.
-혼다 겐(이강락, ‘청춘에게’에서 재인용)
 
꿈이 있는 사람은 인생을 즐깁니다.
어려움이 닥쳐도 기꺼이 과정으로 받아드립니다.
반면 꿈이 없는 사람은
자기 인생의 주도권을 남에게 맡긴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삶이 무미건조하다면,
꿈을 리모델링할 때가 된 건 아닌지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사람들은 으레
자기 몸은 자기가 잘 안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전혀 모른다는 사실을 하루빨리 깨닫기
바란다. 그리고 자기 몸을 모른다는 사실을
깨닫는 데서 시작해 식생활을
바꿔나가기 바란다.


- 마키타 젠지의《식사가 잘못됐습니다》중에서 -


* 가장 잘 아는 것 같아도
가장 잘 모르는 것이 자기 몸입니다.
특히 몸이 고장 났을 때는 더욱 그렇습니다.
그러나 지금의 '내 몸'을 만든 원인이 반드시
있습니다. 그 원인 가운데 하나가 식생활입니다.
내 몸에 맞도록 식생활을 바꾸는 것이
내가 내 몸을 잘 알아가는 것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주 동안의 호숫가 쉼  (0) 2022.11.22
이것이 나의 불행이다  (0) 2022.11.22
말과 글이 거칠면  (0) 2022.11.17
'치료'와 '치유'  (0) 2022.11.16
자아 존중, 자아상  (0) 2022.11.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