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30여 년을 함께 살면서
참으로 무심하게 살았나 보다

어느 날 아내에게
"당신 꿈이 무엇이오?" 물으니
서슴없이 준비된 듯
"당신 꿈이 제 꿈이지요!"

이 세상에서 가장
미안하고 고마운 말이다


- 방우달의 시집《고쳐 쓴 어느새》에 실린
시〈아내의 꿈〉전문 -


* 가장 어렵고도 소중한 관계가
어쩌면 부부 사이가 아닌가 싶습니다.
가까이 있으면서도 속마음을 놓칠 때가 많습니다.
서로의 마음을 읽어내야 서로의 꿈이 보입니다.
아내의 꿈이 남편의 꿈이 되고, 남편의 꿈이
아내의 꿈이 됩니다. 부부의 꿈은
사랑 안에서 하나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를 잘 배우려면  (0) 2021.11.22
괜찮은 사람이 되어 간다  (0) 2021.11.22
36.5도의 응원  (0) 2021.11.18
네안데르탈인은 왜 절멸한 걸까?  (0) 2021.11.17
검은호두나무  (0) 2021.11.16
반응형

[여행] 2021-11-19, 강화도, 전등사



 

반응형
반응형

목표설정이 동기부여를 촉진하고 성과를 드높일 수 있는
가장 손쉬운 방법들 가운데 하나다.
수십 개의 직종에서 수십 번의 연구 실험을 한 결과,
목표를 설정하면 성과와 생산성이 적게는 11퍼센트에서
많게는 25퍼센트까지 높아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 게리 래섬 & 에드윈 로크


“동기부여와 생산성이 가장 크게 높아지길 바란다면
커다란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커다란 목표가 최고의 결과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우리는 발견했다.
커다란 목표는 작은 목표나 약간 큰 목표보다 훨씬 더 나은 결과를 가져다준다.”
토론토 대학 심리학자 게리 래섬의 주장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36.5도의 응원
그동안 정말 고생 많았어.
열심히 준비한 만큼 잘 해낼 거야.
자, 하루만 더 힘내자!

오늘,
길고 지난한 수험 생활의 '결승선'이자
푸른 봄의 '출발선'에 선 너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었어.

그런데,
이 말마저 네 마음을 무겁게 할까 봐,
그냥 아무 말 없이
꼭 안아주려 해.


- 박지연의《안아줄게요》중에서 -


* 36.5도 온몸으로
안아주고 싶은 때가 있습니다.
온 마음으로 응원해 주고 싶은 날이 있습니다.
내 아이가, 내 동생이, 우리 집 오빠 언니가
시험 보는 날입니다. 쫄지 말고, 긴장도
하지 말고, 최선을 다해줄 것을 바랄
뿐입니다. 결과는 그다음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괜찮은 사람이 되어 간다  (0) 2021.11.22
아내의 꿈  (0) 2021.11.22
네안데르탈인은 왜 절멸한 걸까?  (0) 2021.11.17
검은호두나무  (0) 2021.11.16
사람으로 살기 위해!  (0) 2021.11.15
반응형

내게는 엉뚱한 아이디어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나름의 방법이 있다.
거리의 장사꾼에게 얘기를 했을 때,
‘아하 좋은 방법이군요'라는 답이 나오면 나는 흥미를 잃는다.
'그렇게 하면 안돼요. 아무도 그런 식으로는 하지 않지요.'
이런 대답이 나오면 나는 신바람이 난다.
- 마크 후버(월트디즈니 직원), ’파란 코끼리를 꿈꿔라‘에서


남들과 같은 생각이면 성공도 실패도 그저 그런 수준에 머무릅니다.
남들은 생각지도 못하는 전혀 다른 방법론을 개발해야 큰 성공을 거둘 수 있습니다.
역사상 위대한 성공 중엔 당시에는 세인의 손가락질을 받은 것들이 많습니다.
남들과 다른 데서 신바람을 찾고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사람들이
많아지기를 바랍니다.

반응형
반응형

네안데르탈인의 뇌는
우리보다 더 크다. 신체적으로 강하고
정신적으로 뛰어났던 네안데르탈인은 왜 절멸한 걸까?
혼자 똑똑한 것과 무리의 성공은 별개다. 성공에는
협업이 필수다. 먼저 깨달은 이가 자신이 아는 것을
쉽게 설명하고, 변화를 위한 다수의 동의를 끌어내야
한다. 호모 사피엔스는 머리를 맞대 궁리했고,
그렇게 찾은 답을 다른 사람에게 알리고
후손에게 전함으로써 집단의
경쟁력을 키웠다.


- 사라시나 이사오의《절멸의 인류사》중에서 -


* 멀리 갈 것 없습니다.
현대에도 집단 지성이 인류 최고의 경쟁력이
되고 있습니다. 한 사람의 번뜩이는 생각과 아이디어에
많은 사람들의 도움이 더해질 때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던
창조물이 새롭게 출현합니다. 그 집단 지성의 결과가
과학이고 예술이고 문명입니다. 그것을 하나로 잇는
통로가 IT이고 책입니다. 굳이 한자리에 모여
머리를 맞대지 않아도 됩니다. 컴퓨터나 책을
펼치면 집단 지성을 이룰 수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내의 꿈  (0) 2021.11.22
36.5도의 응원  (0) 2021.11.18
검은호두나무  (0) 2021.11.16
사람으로 살기 위해!  (0) 2021.11.15
'단풍, 한꺼번에 울다'  (0) 2021.11.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