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Django DIY Blog

Basic blog site written in Django (part of MDN Django module assessment)

This web application creates an very basic blog site using Django. The site allows blog authors to create text-only blogs using the Admin site, and any logged in user to add comments via a form. Any user can list all bloggers, all blogs, and detail for bloggers and blogs (including comments for each blog).

The models for this site are as shown below:

 

https://github.com/mdn/django-diy-blog

 

mdn/django-diy-blog

Basic blog site written in Django (part of MDN Django module assessment). - mdn/django-diy-blog

github.com

 

반응형
반응형

인생에서 행복과 불행의 무게는 똑같거든.
신은 그런 식으로 한 사람 한 사람의 인생을 정확히 안배해 주셔.
넌 어렸을 때 불행했으니까,
앞으로 반드시 그 불행의 크기만큼 행복해질 거다.
- 아사다 지로, ‘칼에 지다’ 중


지금까지 행복하고 성공했다면,
더 겸손하고 더 자중자애하라는 말씀!
지금까지 힘들고 어려웠다면,
더 긍정적인 사고와 더 큰 자신감을 가지라는 말씀!

반응형
반응형

모든 생물은
세포로 이루어진다.
왕년의 대배우 오드리 햅번과
오랑우탄의 외형은 전혀 다르다. 하지만
그 둘의 몸에서 세포를 떼내어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형상과 기능이 거의 같다. 이것은 파리도
마찬가지다. 세포의 기본적인 구성과 구조는 놀라울
정도로 비슷하다. 그러나 세포의 수는 생물에 따라
차이가 난다. 인간은 약 37조 개의세포로 이루어진다.
참고로, 이것은 세포 하나하나를 셀 수는 없으므로
추측해서 도출한 수치다. 이 수치를 알게 된 것은
2013년, 즉 21세기에 들어와서였다.


- 요시모리 다모쓰의《바이오 사이언스 2025》중에서 -


* 37조 개의 세포.
어마어마한 숫자입니다.
그 천문학적인 숫자보다 더 놀라운 것은
그 많은 세포 하나하나가 그 안에 우주를 담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그것은 마치 현미경으로 보아야 겨우 보이는
그 작은 정자 하나에 한 인간의 모든 DNA가 담겨 있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다른 동물이 따라올 수 없는 것은
숫자뿐만이 아닙니다. 최상위의 고등 생물인
인간에게 37조 개 보다 많은 마음의 세포,
영혼의 세포가 있다는 사실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몸은 내가 만든다  (0) 2021.06.09
고추밭을 굽어보며  (0) 2021.06.08
스승의 존재  (0) 2021.06.07
어린이 시인, 어린이 물리학자  (0) 2021.06.04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  (0) 2021.06.03
반응형

말과 글과 행동은
곧 한 사람이 살아가는 방식이다.
겉으로 드러난 방식보다 존재 그 자체가
더 본질적이다. 사제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가르침의 원천은 스승의 존재에 있다. 그래서
가장 훌륭한 스승은 존재 자체가 메시지다.
배우는 시간이나 가르치는 공간이 아니라
스승의 존재가 제자의 성장을 촉진한다.


- 홍승완의《스승이 필요한 시간》중에서 -


* 사람의 참 모습은
하는 말과 쓰는 글과 의지를 가지고 하는 행동에
고스란히 드러납니다. 하지만 존재하는 것만으로도
큰 울림과 의미를 주는 존재가 있습니다. 바로 참 스승입니다.
스승은 존재 자체만으로도 따르고 배우는 제자들에게
전부이기 때문입니다. 제자들과 같이 있지 않더라도
존재하는 것만으로 말과 글과 가르침보다도
제자를 성장시키고 빛나게 합니다. 이런
스승들이 더욱 필요한 시대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추밭을 굽어보며  (0) 2021.06.08
37조 개의 인간 세포  (0) 2021.06.07
어린이 시인, 어린이 물리학자  (0) 2021.06.04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  (0) 2021.06.03
'내 몸이 내 몸이 아니다'  (0) 2021.06.02
반응형

인간의 성과창출 능력은 약점이 아니라 강점에 달려있다.
훌륭한 경영자는 사람들이 약점에 근거해서는 발전할 수 없음을 안다.
성과 창출을 위해서 우리는 동료, 상사, 자신의 강점 등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강점들을 활용해야 한다.
강점을 생산적으로 만드는 것이야말로 조직의 고유한 목표이자 과제여야 한다.
- 피터 드러커


일반적으로 강점은 강화하고 약점은 보완하라고 말합니다.
한편, 현실적으로 결점에 주목하여
개인의 부정적인 면을 비판하고 힐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게임에서는 약점이 아닌 강점에 의해 승부가 갈리기에,
약점을 보완하느라 시간과 관심을 뺏기는 것 보다는
강점을 제대로 인식하고 이것을 강화하고, 최대한 활용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예술가와 과학자에게는
영감의 원천이라는 공통점도 있다.
현실에 대해 느끼는 경이로움과 놀라움이
그것이다. 그것은 그 자체로 시적이며 시적인
감동을 불러일으킨다.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은
이렇게 말했다. "욕조나 길 위에 고인 웅덩이의
물을 바라보는 재미가 어린이를 물리학자로
만드는 것이다."


- 세드리크 빌라니의《수학은 과학의 시다》중에서 -


* 물웅덩이를 보고 재미있어
하는 아이는 이미 시인이고 물리학자입니다.
보통 사람들 눈에는 별것도 아닌 것에서 즐거움,
놀라움, 경이로움을 느끼는 그런 감수성이 뜻밖의
영감을 불러오고, 그 영감이 인문학적으로 이어지면
시인이, 수학적으로 연결되면 물리학자가 됩니다.
그런 어린이가 훗날 불후의 명작을 낳고,
장차 노벨상 수상자로도 이름을
올리게 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37조 개의 인간 세포  (0) 2021.06.07
스승의 존재  (0) 2021.06.07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  (0) 2021.06.03
'내 몸이 내 몸이 아니다'  (0) 2021.06.02
말썽꾸러기 목사 아들  (0) 2021.06.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