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너의 마음을 즐겁고 기쁘게 하고자 한다면
네가 함께 어울리는 사람들의 좋은 점들을 떠올려보라.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의 성품 속에서 여러 가지
다양한 미덕들이 여기저기서 많이 나타나는 것을 생각해 볼 때만큼
즐겁고 기쁜 때는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런 것들을 늘 너의 머릿속에 간직해두라.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명상록’ 

우리는 보통 타인을 시기와 질투의 대상, 나와 경쟁해야 할 상대로
생각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타인은 나와 함께 더불어
더 나은 세상을 건설해 나갈 협력자이자 동반자입니다.
다른 사람의 강점을 찾아내고 이를 진심으로 기뻐할 수 있다면
진정한 인격자요, 세상을 이끌어갈 참된 리더라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까짓 세월,
갈 테면 가라지 난 나대로 간다
세월 탓을 할 때가 있습니다. 요즈음은
그게 더 자주 있습니다. 나이 탓이려니 생각하지만
어쩐지 내 게으름의 변도 같고 해서, 그런 생각이
들 적마다 씁쓰레한 입맛을 다시게 됩니다.
가는 세월 탓하고 앉아 있기엔 가는 세월이
너무 빠릅니다. 그러거나 말거나 오늘 밤
푸근히 한숨 자고 볼 일입니다.

- 이시형의 《농부가 된 의사 이야기》 중에서 -


* 동감합니다.
정말입니다. 세월이 참빠릅니다.
그렇다고 세월을 탓할 수는 없지요.
그럴수록 하루하루 잘 살아야 합니다.
하루를 가장 잘 사는 방법은 역설적이게도
잘 자는 것입니다. 단잠을 잘 자는 것이
가장 잘 사는 길입니다. 오늘 밤도
푸근히 잘 주무세요.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면아이  (0) 2019.12.05
살아있다는 것  (0) 2019.12.04
12월은  (0) 2019.12.02
심리적 거리  (0) 2019.12.01
시로 집을 짓다  (0) 2019.11.29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NumberformatException #if #문자 #1글자비교  #equals #MyBatis #JAVA #자바

ex 1)
<if test="stringValue == 'Y'">
</if>

ex 2)
<if test="condition.equals('Y')">
</if>


지금처럼 한 글자를 다이나믹쿼리 IF  안에서 비교할 때

java.lang.NumberFormatException: For input string: "Y" 에러 또는

비교가 되지 않을 수 있다. (인식 불가 혹은 오작동 가능성도 있음)
결론적으로 위 현상은 myBatis 문제는 아니고

OGNL(Object Graph Navigation Language) 의 문제이다.

OGNL 인터프리터에서는 위 구문의 'Y' 를 char 형으로 인식하고,
'YY' 나 "Y" 는 String으로 인식한다. (따옴표를 잘보자)
그래서  이와 같은 구문을 비교할 때 
 NumberFormat으로 비교를 시도하여 Exception이 발생한다.
이유는 java의 char형은 실제로 문자의 코드값을 저장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아래와 같은 형변환이 가능하다.

char y = 'Y';
int code = (int)y; // code에는 Y의 코드값인 89가 저장된다

그래서 위와 같은 상황을 피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해결책이 존재한다.

1. <if test='stringValue == "Y"'> – 쌍따옴표와 홑따옴표의 위치를 변경

2. <if test="stringValue == &quot;Y&quot;"> – 쌍따옴표를 HTML 코드로 변경

3. <if test="stringValue == 'Y'.toString()"> – toString() 함수를 사용해 String 형으로 변환

4. 함수 생성 (equals 함수를 새로 생성하고 가져다 쓰는 방법 )




http://cofs.tistory.com/97 에서 설명하고 있는
함수를 생성해서
사용방법을 참조하여 equals함수를 재정의

1번과 4번 방법을 추천한다.


출처: https://cofs.tistory.com/96 [CofS]

반응형
반응형

과거를 돌아볼 때 가장 후회되는 일이 무엇이냐고 묻자
네 명중 세 명이 어떤 일을 하지 않았던 것을 후회했고,
기회가 있을 때 놓친 것을 아쉬워했다. 반대로 어떤 일을 해서,
예를 들어 직장에서 어떤 결정을 내려서 후회했다는 응답자는
4분의 1에 불과했다.
인간은 한 일을 후회하기 보다는 하지 않은 일을 더 많이 후회하는 법이다.
- 토머스 길로비치  

후회 심리학을 연구하는 미국 심리학자 토머스 길로비치의 연구 결과입니다.
아무것도 결정하지 않겠다는 결정이 최악의 선택입니다.
선택은 나한테 달렸습니다. 일단 선택 한 후
철저하게 행동으로 옮긴다면 그만큼 행복해질 확률도 높아집니다.
어디서나 통하는 마법의 주문은 바로 결단력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