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자신의 권한이 제거됐다고 인지할 때 사람들은 저항하는 성향을 보인다.
반대로 자신의 권한이 확장되고 있다고 인지하면
사람들은 그 경험을 수용하고 보람을 느낀다.
역설적이게도 통제권을 내주는 것은 강력한 영향력 행사의 도구다.
통제권을 제공하는 것, 통제권을 행사할 수 있다는 인식을 갖게 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사람들의 행동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최상의 방법이다.
- 탈리 샤롯, ‘최강의 영향력’에서

이케아 효과(IKEA effect) 들어보셨나요?
이케아 효과란 다른 누군가가 만들어준 것보다
자신이 직접 만든 것에 더 큰 가치를 부여하는 것을 말합니다.
통제권의 가치가 자신이 만든 물건에 투영돼 그 물건을 더욱 좋아보이게 만드는 것입니다.
사람들은 선택하기를 좋아합니다. 선택을 보상 그 자체로 인식합니다.
통제권을 내어줄수록 나의 영향력은 더 커집니다.
반응형
반응형

삶의 이유를 확실히 알고 있는 사람은
희망을 가로막는 장애물이 나타나더라도 비관하지 않는다.
패배주의에 빠지지 않는다.
목적의식이 강하게 깔려있으면 삶을 거시적 관점으로 보기 때문에
도중에 맞닥뜨리는 작은 시련에 좌절하지 않는다.
목적의식이 성공을 부른다.
- 타라 스와트, ‘부의 원천’에서 

‘삶의 이유를 아는 사람은 삶의 방식은 어떻게든 견딜 수 있다.’
니체의 가르침입니다.
뚜렷한 목적의식은 행복하고 건강한 삶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삶의 이유를 찾는 것, 뚜렷한 목적의식을 갖는 것,
우리 모두에게 가장 중요하고 시급한 최우선 과제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좋은 경영은 대체로 사랑의 문제다.
그 단어가 거북하다면 보살핌이라고 불러도 좋다.
왜냐하면 적절한 경영은 조종하는 게 아니라
보살피는 일이기 때문이다.
- 제임스 오트리 

스타벅스 하워드 슐츠 회장은 “사랑, 인간애, 겸손을
성과 중심적 조직에 접목 시키세요.
사랑, 인간애, 겸손을 성과 중심적 조직에 녹여낼 수만 있다면
누구도 우리를 이길 수 없습니다.”라고 말합니다.
얼핏 이익과 사랑은 양립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그러나 직원, 고객, 주주 모두 사람이기에 이들을 위해 최선을 다해줄 때
자연스럽게 이익도 따라오게 되어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변화의 시기에는 배우려고 하는 이들이 세상을 차지한다.
이미 배운 것에만 연연하는 사람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세상에 대해서만 훤히 알고 있는 셈이다.
- 에릭 호퍼  

유발 하라리 교수는 ‘이제 모든 성인은 90세까지
평생학습을 해야 하는 사회가 되었다’고 단언합니다.
미래에 필요한 학력은 과거에 배운 것에 의존하는 학력(學歷)이 아니라,
항상 부족하다고 느끼고, 새로운 것에 대한 호기심을 잃지 않고
평생 동안 끝없이 학습하는 힘, 즉 학력(學力)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최근 과학 연구에 따르면, 스트레스를 받으면 더 영리해지고,
더 강인해지며 더 큰 성공을 거두기도 한다.
즉, 스트레스는 우리가 깨달음을 얻고 성장하는데 도움을 준다.
심지어 용기를 북돋아주고 동정심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 켈리 맥고니걸, ‘스트레스의 힘’에서 

미국인 85%는 스트레스가 건강과 가정생활 및 비즈니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믿습니다. 반면, 51%는
스트레스를 받을 때 최고의 업무 성과를 거둔다고 말합니다.
핵심은 스트레스 그 자체가 아니라, 이를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있습니다.
스트레스를 긍정적으로 해석하면 긍정적 결과가 나옵니다.

반응형
반응형

사람들은 도움을 받는 일을 편히 여기지 않는다.
도움의 손길을 내밀 때는 내가 강하고, 쓸모 있고, 중요한 사람처럼 느껴진다.
내가 남을 도울 때 기분이 좋다면 다른 사람도 마찬가지다.
부탁을 청하는 일은 그 사람에게 자신이 쓸모 있고 중요한 존재라고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준다.
- 미셸 레더맨, ‘아는 사람의 힘’에서 

남에게 도움 받을 때는 내가 약하다는 느낌을 갖게 됩니다.
그래서 대부분 도움 받는 것을 꺼려합니다.
내가 기꺼이 도움을 받아들일 때 상대는 자신을 좋은 사람으로 여기게 됩니다.
남이 나를 도우려 할 때 기꺼이 도움을 받아들이고
감사함을 표하는 것, 서로에게 좋은 일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