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수도원의 놀랄만한 비밀을 발견했다. 그 비밀이란 바로
자기 이익을 잊는 것이 자기에게 이익이 된다는 것이다.
역설적이게도 수도원 사업이 성공을 거둔 이유는
수도사들이 전혀 사업에 몸담고 있지 않다는 데 있다.
대신 그들은 고귀하고 드넓은 사명에, 그리고 섬김과
자기 비움이라는 경영철학에 온전히 몸을 바친다.
- 어거스트 투랙, ‘수도원에 간 CEO’에서 

수도사들에게 사업의 성공이란 섬김과 자기 비움의 삶을 살다보니
자기도 모르게 따라오는 부산물일 뿐입니다.
돈과 이익은 좇을수록 달아나게 되어 있습니다.
의미 있고 가치 있는 일, 남을 돕는 일을 더 잘하면 잘할수록
그 부산물로 따라오는 이익도 늘어나게 되어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이제 늙었으니 편하게 살자고 생각하는 순간 더 이상 공부하지 않게 됩니다.
사람이 젊다는 것은 공부할게 많다는 거예요.
아직 배울게 많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나이와 상관없이 누구나 젊은 사람입니다.
- ‘자전거 타는 CEO’, 자이언트 류진바오 회장 

사람은 나이가 들어서 늙어가는 것이 아니라,
호기심을 잃고 공부하기를 멈추는 순간 늙어 갑니다.
반대로 나이와 관계없이 어린아이처럼 순진하게,
만사에 호기심을 갖고 끝없이 공부하면 누구나 젊은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장차 당신이 부하장교나 친구들을 후하게 칭찬해줘야 할 때,
분명히 당신 책임이 아닌데도 잘못을 시인해야 할 때,
당신은 훌륭한 함장으로서 그렇게 해야 합니다.
당신이 함께 할 사람들을 비판하고 질책하면,
친구들은 멀어지고 적은 늘어나며 결국 일을 그르치게 됩니다.
- 벤저민 프랭클린의 편지

무릇 리더라면 제일 먼저 구성원의 마음을 사야합니다.
이를 위해선 칭찬할 때 놓치지 말고,
비난과 질책은 시간을 갖고 더 생각하고, 더 생각해야 합니다. 
사람의 마음은 너무나 다치기 쉬운 존재라는 것을 결코 잊어서는 안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많은 사람들이 현재의 고통을 피하고 당장의 즐거움을 얻으려 하기 때문에
훗날 고통을 받게 된다.
- 미셀 드 몽테뉴 

“장기적 비전을 위해 단기적 손해를 감수한다. 이것이 성공의 비결이다.”
빌 게이츠 MS 창업회장의 말입니다.
단기 이익과 장기 이익은 충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단기적 손해를 감내할 줄 아는 사람들이
인생이라는 장기 레이스에서 승자가 될 확률이 높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역경은 회복력을 만들어낼 수 있으며 정신적 이상은 종종
개인적 성장을 촉진 시킨다.
과거에 역경을 경험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새로운 질병에 걸리거나 우울증에 빠질 가능성이 적었다.
삶에서 가장 힘든 경험이 무엇이든,
그것은 그 사람을 더욱 강하게 만들 가능성이 크다.
우리는 역경 때문에 파멸할 운명을 타고 나지 않았다.
- 켈리 맥고니걸, ‘스트레스의 힘’에서 

인생을 살아가면서 스트레스를 적게 느끼는 편이 더 좋기는 하지만,
결국 성장을 일궈내는 것은 어려운 시기입니다.
작은 좌절은 큰 수확의 징조입니다.
역경 속에서 희망과 의미를 찾아내는 능력은 인간이 갖춘 기본적인 역량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무릇 정이란 다하지 않는 뜻을 남겨두어야 맛이 깊다.
흥도 끝까지 가지 않아야만 흥취가 거나하다.
만약 사업이 반드시 성에 차기를 구하고,
공을 세움에 가득 채우려고만 들 경우,
내부에서 변고가 일어나지 않으면 반드시 바깥의 근심을 불러온다
(凡情留不盡之意, 則味深. 凡興留不盡之意, 則趣多. 若業必求滿, 功必求盈, 不生內變, 必召外憂).
- 왕상진, ‘일성격언록(日省格言錄)’에서 

“사람들은 끝장을 봐야 직성이 풀린다. 남는 것은 회복 불능의 상처뿐이다.
더 갈 수 있어도 멈추고, 끝장으로 치닫기 전에 머금어야 그 맛이 깊고 흥취가 커진다.
저만 옳고 남은 그르며, 더 얻고 다 얻으려고만 들면,
없던 문제가 생기고 생각지 못한 근심이 닥쳐온다.”
정민 교수의 칼럼 옮겨 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