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나와 다른 의견과 시각은 호감을 주지 못한다.
누군가 우리의 의견을 반박하면 기분이 좋지 않다.
하지만 더 나은 결정을 만드는 것은 바로 이런 다양한 의견이다.
자기 생각에만 빠져 있으면 그릇된 판단을 내리기 쉽다.
의도적으로 낯선 사고방식에 스스로를 노출시키려 노력해야 한다.
- 헤닝 백, ‘틀려도 좋다’에서 

생각이 다른 사람과 대화를 나누는 일은 그리 즐거운 일이 아닙니다.
그러나 나와 다른 의견에 노출될수록 나의 사고는 더 크게 확장됩니다.
나와 다른 의견을 겸허히 수용하고,
불꽃 튀는 토론을 즐길 수 있어야 합니다.
그것이 나를 더 강하게 만들어주기 때문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부자병의 유일한 치료제는 다른 사람들에게 베푸는 삶이다.
궁극적으로 우리를 행복하게 해주는 것은 우리가 얼마나 가졌는가가 아니라
우리가 어떤 일을 했느냐 하는 것이다.
이타적인 행동들은 우리의 정서적인 건강에 좋고
마음의 평안을 가져오는 데 도움을 준다.
- 맨프레드 케츠, ‘리더십 롤로코스터’에서 

규모가 크든 작든 이타적인 행동들은 우리에게 성취감을 느낄 수 있게 하고
더 큰 만족을 안겨줍니다.
착한 행동을 하면 기분이 좋아집니다.
누군가를 돕는 것은 우리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남을 위한 삶이 곧 나를 위한 삶이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나도 사람이라서 힘들거나 괴로울 때가 생긴다.
성격상 나는 힘들다는 말을 하지 않는다.
‘힘들다’고 말하면 더 힘들어지기 때문이다.
그 말을 듣는 사람도 힘들게 된다.
나는 주위를 힘들게 하거나 폐 끼치는 일을 세상에서 제일 싫어한다.
- 손흥민, ‘축구를 하며 생각한 것들’에서 

주변에서 ‘사장은 힘들고 외로운 자리다’는 위로의 말을 많이 해줍니다.
그 위로가 맞다고 생각하는 순간 더 외로워지고
더 힘이 빠지는 경험을 자주 하게 됩니다.
힘들겠다는 따뜻한(?) 위로를 받으려고 하는 대신에
힘들기에 오히려 재미있다고 생각하려 애씁니다.
생각이 세상을 바꿉니다.

반응형
반응형

인간은 본래 성공하도록 만들어졌다.
다른 동물들과 달리 단순히 살아있기만 해서는 만족하지 못한다.
정신적인 가치를 추구하고 새로운 문명과 문화를 창조하려고 애쓰는 등
더 높은 성공을 좇는 경향이 있고,
그걸 실현하는 힘을 선천적으로 갖고 태어났다.
즉 모든 인간은 성공에 대한 매커니즘을 갖고 태어났다.
- 쓰쓰미 구미코, ‘책임은 어떻게 삶을 성장시키는가’에서 

사람이 다른 동물들과 다른 점은,
자신이 이 세상에 태어난 이유를 스스로 찾고,
인생의 목적을 높게 설정하고, 그것이 실현된 미래를 상상하며,
희망찬 미래를 향해 매일 매일 더 나아질 수 있도록 노력하는 데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사람을 너무 통제해서는 안 된다.
인간은 통제를 하면 평소보다 더 많은 실수를 저지른다.
타인을 통제하면 잃는다.
일단 그의 신뢰를 잃고 다음으로 그의 능력을 잃는다.
연신 어깨 너머로 훔쳐보며 감시를 해봤자
얻는 것보다는 잃는 것이 더 많다.
- 헤닝 백, ‘틀려도 좋다’에서 

통제하면 머슴이 됩니다. 믿고 맡기면 주인으로 거듭납니다.
믿음이 사람을 키웁니다.
상사가 나를 믿고 있다는 느낌이 주는 힘은 실로 막대합니다.
사람은 신뢰를 주면 성과로 보답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시작하는 사람의 마음에는 많은 가능성이 있지만,
숙련된 사람의 마음에는 가능성이 아주 조금 밖에 없습니다.
‘나는 선(禪)이 무엇인지 안다’거나, ‘나는 깨달음을 얻었다’는
식이 되어서는 안됩니다. 

항상 시작하는 사람으로 남아있는 것,

이것이 진정한 비법입니다.
- 스즈키 순류 

안다고 생각하는 것은 곧 멈춤을 의미합니다.
모든 것이 급속도로 변화하는 세상에서는 멈춤은 곧 후퇴를 의미합니다.
마치 모든 것을 처음 보듯이 대하는 겸손함, 단순하고 순수한 마음,
모든 가능성에 열려 있는 편견 없는 마음, 호기심으로 가득한
어린 아이의 마음 같은 초심을 잃지 말아야 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