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조직에 창의력을 북돋아주고 외부의 영감을 끊임없이
불어넣어주지 않으면서 탁월한 성과를 바라는 리더는
조직을 망칠 뿐이다.
미래를 어제와 다르게 보는 과감한 시각을 가져야 한다.
그런 과감한 시각을 허용하지 않는 조직은,
직면한 위기를 줄이기는커녕, 점점 키우는 지름길로 들어서게 된다.
- 시몬 페레스, ‘작은 꿈을 위한 방은 없다.’에서

과거의 성공방정식이 미래의 실패방정식이 됩니다.
과거의 성공을 이끌어온 인재(人才)들이
미래의 성공을 가로막는 인재(人災)가 될 수 있습니다.
과거를 버릴 줄 아는 조직과 사람만이
미래의 주인공이 될 수 있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대부분의 업무는 질문에 의해 진행한다.
지시를 내리면 그 일은 내일이 되고, 
그 지시를 받는 사람은 그저 내가 시킨 일을 하는 사람이 되고 만다.
반대로 질문을 던져서 본인 스스로 그 해답에 따라서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면 그것은 내가 시킨 일을 하는 것이 아니라,
본인의 일을 한 것이 된다. - 권오현, ‘초격차’에서

지시는 수동을 불러오고 질문은 능동을 불러옵니다.
스스로 결정하게 하면 그 일의 주인이 됩니다.
질문을 던지고, 자율적으로 결정하게 하면
사람들은 책임과 주인의식으로 보답합니다.


...
반응형
반응형
문제는 들춰내어 해결하는 것이지 수면 밑으로 감추는 것이 아니다.
창의성이 낮은 사람들은 문제를 피해야 하는 것,
골치 아픈 것으로 인식한다.
그러다 보니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려는 마음이 약해져 있다.
서양에서는 문제를 ‘비즈니스의 기회’, 또는
‘발전의 기회’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 이홍, ‘세종에게 창조습관을 묻다’에서

문제를 바라보는 태도가 중요합니다.
문제를 부정적으로 보면 자꾸 감추려고 하고
시간이 커질수록 문제가 커져 수습할 수 없는 단계에 이르곤 합니다.
문제를 긍정적으로 바라 볼 줄 알아야 합니다.
문제는 발전의 기회,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계기가 되곤 합니다.


...
반응형
반응형
우리는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큰 꿈을 좇고 그 대가를 치르든가,
다른 사람들에게 미움 받지 않고 무난하게 어울리기 위해
자신의 야망을 줄이거나 포기 하든가, 둘 중 하나다.
평범한 것을 추구하는 데는 쉬운 방법들이 많다.
하지만 위대한 것들은 쉽게 얻어지지 않는다.
- 시몬 페레스, ‘작은 꿈을 위한 방은 없다.’에서

꿈이 크면 장벽도 커집니다. 큰 꿈을 이루기 위해선 남들의 인정,
대중적 인기, 높은 지위나 명예를 다 포기할 수 있어야 합니다.
편안한 길에 안주하거나 내 꿈이 아닌 다른 것에
주의를 뺏기지 말아야 합니다.
큰 꿈 때문에 잠 못 이루는 밤과
한시도 쉴 수 없는 날이 계속되는 것을 선택해야 합니다.

...
반응형
반응형
남보다 뛰어나다고 해서 고귀한 자가 되는 것은 아니다. 
과거의 자기 자신 보다 우수한 자가
결국에는 고귀한 사람이 되는 것이다.
- 어니스트 헤밍웨이

발레리나 강수진의 이야기 함께 보내드립니다.
“다른 사람과 비교하고 경쟁하고 욕심내다 보면
나도 모르게 그 사람을 의식하게 되고, 내 스타일마저 잃는다.
나의 경쟁자는 언제나 어제의 강수진이었다.
연습실에 들어서면서 나는 어제 강수진이 연습한 것보다
강도 높은 연습을 1분이라도 더 하기로 마음먹었다.”

...
반응형
반응형
안전한 삶만을 추구하다가 뒤늦게 후회하는 사람을 많이 보았다.
안전만 추구하다가는 정반대의 결과,
즉 가장 위험한 순간이 닥친다.
지금 위험하게 살아야 미래가 덜 위험하다.
- 이지훈, ‘결국 이기는 힘’에서

원하는 것을 얻는 순간, 거기서 멈추고
그것을 지키려고 하는 것이 사람의 본성입니다.
그러나 지키려고 하는 순간 위험에 처하기 시작합니다.
편안함을 추구하는 것은 반대로 위험을 높이는 것과 같습니다.
지속적 성공을 원한다면 스스로 험난한 길을 택하고
큰 문을 두고 좁은 문으로 들어갈 수 있어야 합니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