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다른 사람들이 당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걱정하는 한,
당신은 그들에게 소유된 셈이다.
외부의 승인을 필요로 하지 않을 때 비로소
당신은 스스로의 주인이 될 수 있다.
- 닉 도널드 월시

“외부의 시선과 내면의 목소리, 어느 쪽에 중점을 둘 것인가?”
스토아학파 철학자 에픽테토스의 물음입니다.
다른 사람의 평가에 연연할수록 자기 자신의 정체성을
잃어버릴 가능성이 커집니다.
스스로 떳떳할 수 있다면 외부 시선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습니다.
내면이 먼저입니다.


...
반응형
반응형
생명이 움트기 위해서는 반드시 흙이 부서져야 한다.
씨앗이 죽지 않는다면 식물이 생길 수 없다.
빵이란 결국 밀의 죽음으로 부터 나온 것이다.
- 조지프 캠벨, ‘영웅 신화‘에서

끔찍한 시련 없이 영웅은 탄생하지 않습니다.
고통과 시련은 영웅이 되기 위한 필수조건입니다.
삶이 가장 힘들게 느껴질 때 우리 안에 숨겨진 잠재력이
드디어 기지개를 펴기 시작합니다.


...
반응형
반응형
낙관주의자는 현재에 만족할 줄 알고 유쾌하기 때문에 사랑을 받는다.
그들은 실패하거나 궁지에 몰렸을 때도 상황을 잘 극복하고
병적 우울증에 걸릴 위험도 매우 낮다.
면역이 강하고 실제로 기대 수명도 평균 보다 높다.
- 대니얼 카너먼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낙관주의자는 인간의 삶이 연약하고 깨어지기 쉬우며
삶엔 고통이 따르고 그 고통이 매우 빈번하다는 것을 이해합니다. 
다만 그중 스스로 해결가능한 부분이 있다는 것을 알 뿐입니다.
문제든 어디서든 돌출될 수 있습니다.
기회가 있을 때마다 난관을 보지 말고
난관에 부딪힐 때마다 기회를 보아야 합니다.


...
반응형
반응형
누구나 인생을 살면서 끊임없이 앞으로 나아가고 도약하길 원한다.
실패할 가능성은 최대한 피하고 싶어 한다.
하지만 실상은 ‘위험을 두려워하는 것’이 가장 큰 위험인지 모른다.
- 시몬 페레스, ‘작은 꿈을 위한 방은 없다.‘에서

위험이 크면 성공의 열매도 큽니다. 
실패할 가능성이 적은 도전은 성취도 그만큼 작을 수밖에 없습니다.
위험을 두려워하면 큰 도전을 할 수 없고, 현실에 안주하게 됩니다.
급변하는 세상에선 현실안주는 쇠퇴를 불러옵니다. 따라서
위험회피가 장차 가장 큰 위험을 불러옵니다.


...
반응형
반응형
역경(逆境)이라는 단어에 역(逆)자가 들어있습니다.
역경이 닥치면 그것을 역(逆)으로 이용하라는 뜻으로 저는 해석합니다.
시련과 도전을 오히려 다가오는 기회로 삼는 자세입니다.
어쨌든 공격이 최상의 방어라는 신념으로 그 역경과 싸워나가야 합니다.
- 권오현, ‘초격차’에서

역경, 위기와 시련이 닥치면 근본적인 문제를 다시 보게 됩니다.
기존의 방식으로는 해결이 안 되기에
뭔가 새로운 해결책을 모색합니다. 그것이 변화를 가져옵니다.
새로운 도약을 위해선 위기와 시련이 필요합니다.
역경을 기회로 보는 관점의 전환이 필요합니다.


...
반응형
반응형
우리는 자신의 한계를 잊어버려야 한다.
자신이 품었던 의혹을 떨쳐버려야 한다.
자신의 고통과 과거를 잊어버려야 한다.
이제 그만하자는 내면의 외침, 애원을 무시해야 한다.
이런 것들을 떨쳐 버리거나 무시하지 못하면
우리는 세상과 타협해야 한다.
- 필 나이트 나이키 회장

우리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큰 잠재력,
누구나 무한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과거의 경험이, 나약한 마음이 그런 잠재력에 애써 눈감게 하고,
현실과 타협하라고 유혹합니다.
스스로 생각하는 한계를 벗어던지고 자신이 가진 무한 잠재력에
눈을 돌리면 새로운 세상이 열립니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