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일이 잘 안 풀릴 때를 즐겨라.
처음엔 당황스럽지만,
훗날 큰 성공으로 이어지는 기발한 아이디어는
그런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에서 나온다.
- 캐슬린 핀치

 

위대함은 순탄함 속에서 잉태되지 않습니다.
연금술사로 유명한 파울로 코엘료는 말합니다.
“삶은 언제나 우리에게 힘든 위기를 겪게 하고 나서야
그 자신의 가장 빛나는 모습을 드러낸다”

 

 

.

반응형
반응형

어떤 사람이 당신에게 신뢰한다는 신호를 보내면
 당신은 더욱 긍정적으로 반응하게 된다.


신뢰를 경험한 사람은 더 관대한 태도와
 남을 신뢰하는 반응을 보인다.


직원에게 신뢰한다는 신호를 보내는 정책들이 만들어지면
 직원 상호간 신뢰와 생산성이 높아진다.

 

 - 데이비드 버커스, ‘경영의 이동’에서

 


먼저 직원을 믿고 맡기면 긍정의 효과가 나오고,
불신해 통제하면 상황이 점점 더 악화됩니다.


직원들에게 신뢰한다는 신호를 보내면
 직원들도 회사를 신뢰하게 됩니다.


신뢰를 받은 직원들은 자율적 참여, 주인의식과 책임감 제고,
생산성과 경쟁력 향상으로 보답합니다.

 

 

 

 

.


 

반응형
반응형

네 살 아들이 스마트 폰으로 게임을 하다가
fail’이 뜨자 좋아했다.
의아해진 아버지가 묻는다.
fail이 무슨 뜻인지 아니?’
‘응, 아빠, 실패라는 뜻이잖아.’
‘그러면 실패가 무슨 뜻인지는 아니?’
‘그럼, 아빠. 다시 하라는 거잖아’
- 김연수 ‘소설가의 일’에서


우리 모두는 변화하지 못하면 점점 더 나락으로 떨어지는
문명사적 대 전환기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즉각적 변화만이 우리의 살길입니다.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새로운 도전을 막고 있습니다.


우리 사회에 무엇보다도 시급한 것이 바로,
‘실패를 즐기고 장려하는 문화’로의 신속한 이행입니다.

 

 

 

 

.
반응형
반응형

너무 흔한 말이지만 가장 중요한 지침이다.
대부분의 분노와 좌절과 절망은
 현재의 문제에서 발생하지 않는다.
과거의 상처와 문제에 집착하면 인생이 괴로워진다.
과거의 아픔과 싸우려들지 말고 내버려 두자.
그리고 앞을 향해 나아가야 한다.
- 애드리언 새비지, ‘인생지침 보고서’에서

현명한 사람은 현재에 집중합니다.
현재가 끊임없이 과거가 되고,
현재가 끊임없이 미래가 됩니다.
‘패자는 과거에 삽니다.
하지만 승자는 과거로부터 배우고 미래를 바라보며
 현재에 일하는 것을 즐깁니다.’
(데니스 웨이틀리, ‘승자의 심리학’에서)

 

 

 

 

.

반응형
반응형

기업을 다루는 기술은 고정돼 있지 않다. 매일 변한다.
이는 일하는 방식과 사람들이 행동하는 양식이
 하루가 다르게 변화한다는 것을 뜻한다.
그래서 기업은
‘최고 문제유발 책임자(chief trouble making officer)’가 필요하다.
기업에 도전정신을 불어넣을 사람이 있어야 한다는 얘기다.
- 루이스 우쿠이나 (머큐리뱅킹 최고디지털책임자)

모두가 안정을 희구하지만, 안정은 곧
 죽음에 가까워지고 있다는 증거에 다름 아닙니다.
살아있는 모든 것은 유연한 반면, 굳음은 곧 죽음을 의미합니다.
자연스럽게 굳어가는, 즉 죽어가는 조직을 살리기 위해서는
 일부러 조직을 흔들어 유연하게 만드는 것이 필요합니다.

 

 

.

 

반응형
반응형

사람이 자기의 인생으로부터 배울 수 있는 가장 큰 교훈은,
이 세상에는 고통만 있는 것이 아니라
그 고통을 극복해 승리를 거두는 것이
자기 자신에게 달려있다는 사실과, 더 나아가
그 고통을 참 기쁨으로 승화시킬 수 있는 능력 또한
자신 속에 있다는 것이다. - 라빈드라나드 타고르

 

“의지는 쉽고 조용히 개발될 수 없습니다.
오직 시련과 고통의 경험을 통해서만
영혼이 강해지며, 야망을 자극하며, 성공을 이룩할 수 있습니다”
헬렌 켈러의 글 함께 보내드립니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