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꿈이나 목표를 가지면 반드시 벽이 나타난다.
그 꿈을 갖지 않았다면
벽이라고 느끼는 일 없이 살았을 것들이다.
큰 꿈을 가진 사람에게는 당연히 큰 벽이 나타난다.
- 기타가와 야스시 (일본 작가)


꿈이 커질수록 벽이 커집니다.
수월하게 넘을 정도의 벽이라면
꿈이 충분히 크지 않은 것입니다.
그러나 큰 비전에 의해 생기는 큰 벽은
그 비전의 힘으로 신나게 타고 넘을 수 있습니다.
그 벽을 넘으면 가슴 떨리는 꿈이 현실이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나는 모든 지도자가 자신이 선택한 부관들의 실수에 대해
공개적으로 자기 책임임을 인정하고,
마찬가지로 그들의 공적에 대해
공개적으로 칭찬할 수 있는
겸양의 미덕을 지녀야 한다고 확신한다.
- 아이젠하워 대통령

 

리더십은 자리를 차지하는 것이 아닌,
사람의 마음을 사는 데서부터 시작됩니다.
공은 부하에게, 책임은 자신이 지는 자그마한 실천이
직원들의 마음을 사는 시발점이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인간은 행복할 때는 과거의 행동을 되풀이 할 뿐
앞으로 나아가려 하지 않는다.
하지만 재해를 만나거나 비극적인 일을 겪으면
과거의 자신을 버리고 앞으로 전진하기 시작한다.
- 구마 겐고 (일본의 세계적인 건축가)


위기 없이는 변하려 하지 않는 것이 인간의 본성입니다.
변화로 인해 잃을 것은 분명한 반면,
혁신을 통해 얻을 것은 불확실하기 때문입니다.
변하지 않으면 오히려 잃는 것이 훨씬 크다는
사실이 명백해야만 변화가 시작됩니다.
변화를 제대로 이끄는 혁신 리더들이
없는 위기도 먼저 만들어내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

반응형
반응형
직원은 왜 자신이 그 일을 해야 하는 지 알 때
놀라운 결과로 보답한다.
달성할 목표를 정했다면 리더는
그 이유를 설명하는데 공을 들여야 한다.
많은 리더는 거꾸로 직원이 뭘 하기를,
어떻게 하기를 바란다고만 말한다.
- 얌브랜즈 그레그 크리드 CEO

소명으로 자신의 일을 생각하는 사람은
언제나 일터로 소풍을 갑니다.
조직의 사명과 목적이
구성원의 소명이 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그렇게 되기 위해선 ’이윤추구’가 아닌,
세상과 사회에 기여하는 조직의 목적을 먼저 만들어야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상대방을 배려하게.
상대방의 이익이 뭔지 살피고 그 사람의 뒤를 돌봐주게.
50대 50 따위는 잊어버려. 그건 무조건 지는 전략이라네.
100퍼센트 승리를 거두는 전략은 바로 100퍼센트를 주는 거야.
상대방이 이기도록 하는 게 바로 내가 이기는 길이지.
다른 사람의 승리에 집중하는 걸세.
그게 엄청나게 성공하는 길일세.
- ‘레이첼의 커피’에서

 


다른 사람이 자신을 좋아하거나 존경한다는 생각이 들면,
그 감정에 보답하겠다는 마음을 자연스럽게 갖게 됩니다.
심리학자 프리츠 하이더는 이를 ‘감정의 균형이론’이라 이름 붙였습니다.
크게 이기려면 먼저 더 크게 주어야 합니다.


.

반응형
반응형
겸손을 스스로 배우지 않으면,
신은 모욕과 굴욕을 안김으로써 그것을 가르친다.
한 사람을 위대하게 만들기 위함이다.
- 프랜시스 퍼킨스

 

자신을 높이려고 하면 낮아집니다.
자신을 낮추는 사람은 높아지게 되어 있습니다.
오르기 위해서는 먼저 내려가야 합니다.
겸손함을 배우고, 겸손을 체화시키지 못하면
결코 위대한 인간이 될 수 없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