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대부분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항체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과 한국역학회, 지역사회 관계기관이 함께 진행한 ‘지역사회 기반 대표 표본 코로나19 항체양성률 3차 조사’ 결과가 9일 발표됐다. 3월 27일에서 4월 15일까지 전국 17개 시·도 5세 이상 주민 9798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항체검사와 설문조사를 수행한 결과다.
조사 결과, 자연감염과 백신면역을 모두 포함한 항체양성률은 99.2%였다. 지난 2차 조사 결과인 98.6%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백신면역보다는 자연감염에 의한 항체양성률이 높았다. 코로나19 감염으로 항체가 생긴 자연감염 항체양성률은 78.6%로, 2차 조사 결과(70%)보다 8.6%포인트(p) 증가했다. 특히 고령층에서 큰 증가폭을 보였다. 50~64세는 10.2%p, 65세 이상은 11.3%p 증가했다.
자연감염 항체양성률이 가장 높은 연령은 5~9세 소아(94.1%)였다. 이 연령대는 백신 접종률이 가장 낮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자연감염 항체양성률은 낮아져, 65세 이상은 68.8%를 보였다.
단, 백신 면역군과 복합 면역군(백신면역+자연감염) 모두 시간이 흐르면서 코로나19에 대한 항체가(항체 정도)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백신 미접종자는 접종자보다 재감염 위험이 높았다. 백신 접종과 재감염 관계를 연령표준화로 분석한 결과, 백신 미접종자는 단가백신 접종자보다 2.02배, 2가백신 접종자보다 3.1배 재감염 위험이 높았다.
질병관리청은 “백신 접종자와 감염자도 시간이 경과하면 지역 내 재감염 위험이 증가한다”며 “백신 미접종자가 상대적으로 감염 위험이 높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어 “복합면역군의 면역은 백신 면역군, 백신 미접종 자연감염군보다 오래 유지된다”며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 모든 집단에서 면역 감소가 일어나기 때문에 중증화 예방을 위해 고령층은 하반기 백신 추가 접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오백년 조선왕조의 흥망성쇠와 함께한 경복궁. 경복궁 곳곳에는 수많은 신비의 동물들이 조선왕조의 권위와 안녕을 지키고 있다. 그 중심에 있는 것은. 천상의 용맹과 왕의 위엄을 갖춘 신비의 동물, 용이다. 1997년 가을. 경복궁 경회루 연못에서 세상을 놀라할 물건이 발견된다. 인터뷰 장장식 /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관 “1997년에 연못 바닥에 모래나 흙 등이 쌓이지 않습니까. 그것을 걷어내는 공사를 하게 됩니다. 그때에 북쪽에 하향정이라는 밑에서 용이 발견돼서 깜짝 놀랐죠.” 경회루 연못의 북쪽에 위치한 작은 정자, 하향정 물밑에서 청동으로 만든 용이 출토된 것이다. 뻘 사이에서 나타난 용은 길이 1미터 46센티미터에 무게 70킬로그램이 넘는 크기로 성인 네 명이 겨우 운반할 수 있을 정도로 거대했다. 하지만 관련 기록이나 용도를 알 수 없는 용의 출현에 전문가들은 어리둥절했다. 인터뷰 강형태 /前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경복궁 경회루서 용이 나왔다. 보존과학실에서 보존도 하고 분석을 해야 하니까 저희에게 왔습니다. 두 조각으로 분리되어 있었어요. 양면으로 만들어서 붙인 용이었고. 머리는 잘려나가 있었고.” 하늘을 나는 듯 유연한 자태에 해학적인 표정을 지닌 청동용을 누가, 왜, 경회루 연못에 넣은 것일까? 근정전은 임금의 즉위식과 국가의 중요 행사가 거행되는 경복궁의 중심 전각으로,여러 가지 성스러운 동물들이 호위하고 있다. 근정전을 정면으로 볼 때 오른쪽의 청룡, 왼쪽의 백호. 북쪽의 현무, 남쪽을 지키는 주작이 대표적이다. 현무, 주작, 백호와 함께 사신으로 불리며 근정전을 호위하는 청룡. 청룡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일까? 인터뷰 윤열수 / 가회민화박물관장 “청룡은 용중에서도 가장 으뜸으로 봄을 관장하는데 풍년을 내려주고, 용왕과 무관을 상징해 백성에게 복을 주는 존재로 알려져 있습니다.” 용은 오래 전부터 임금의 권위를 상징으로 상서로운 동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근정전 내부에는 많은 용이 살고 있다. 근정전의 중심에 위치한 것은 왕을 상징하는 황룡이다. 왕이 앉는 자리인 용상을 둘러싼 황룡은 천하를 다스리는 왕의 권위를 드러낸다. 근정전 천장에는 더욱 특별한 용이 있다. 여의주를 가지고 희롱하는 두 마리의 황룡으로,왕의 위계를 표현하는 발톱이 일곱 개나 된다. 조선의 왕은 중국의 황제 보다 적은 네 개의 발톱만 사용할 수 있었다. 하지만 경복궁을 중건한 흥선 대원군이 조선의 왕권을 과시하기 위해 발톱 일곱 개를 새긴 것으로 추정된다. 용은 상상 속의 동물이다. 아무도 본 적 없는 용의 모습은 어떻게 만들어진 것일까? 용의 생김새를 자세히 보면 친숙한 동물들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용의 머리는 낙타의 머리에 토끼의 눈. 돼지의 코와 사슴의 뿔, 소의 귀, 뱀의 목으로 만들어졌고. 매의 발톱과 큰 조개의 껍질로 된 배, 호랑이의 주먹 같은 발바닥에 잉어의 비늘을 가졌다. 아홉 가지 동물의 일부를 조합한 것이다. 인터뷰 윤열수 / 가회민화박물관장 “여러 동물을 조합했지만 어디 하나 모난 곳 없이 융합을 이루면서 완전한 존재로 나타나죠. 이렇게 여러 동물의 특징적인 장점과 능력을 골고루 갖춘 덕분에 최고의 권위를 상징하는 동물로 숭앙되기도 하였습니다.” 구름과 비를 몰고 다니는 용은 바다를 다스리고 농사를 관장하는 물의 상징으로도 알려져 있다. 인터뷰 윤열수 / 가회민화박물관장 “용은 비와 연결된 물의 신으로 여겨졌습니다. 농경사회에서 구름과 비, 물은 매우 중요한 것으로 용은 신비의 동물 중에서도 가장 중요하고 권위 있는 존재로 꼽혔기 때문에 상상의 동물로 만들었던 것입니다.” 2001년 6월. 경복궁에서 또 다른 용이 발견된다. 근정전 보수 공사 도중 용마루 받침대인 종도리에서 용이 그려진 부적과 물 수자 부적이 발견된 것이다. 물 수자를 자세히 보면 천 개나 되는 용용 자를 빼곡히 적어 만든 것을 알 수 있다. 연구 결과, 경복궁에서 용이 발견되는 사연은 창건 당시로 거슬러 올라간다. 인터뷰 장장식 /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관 “무학 대사는 경복궁을 앉힐 때에 화기를 상징하고 있는 관악산을 보지 말고 동쪽으로 앉히자고 주장했고, 정도전은 역대 임금은 남면을 해서 정치를 해야 한다는 주장을 내세워서 결국 정도전의 설에 따라 경복궁은 남산과 관악산을 바라보는, 남면하는 방향으로 자리를 잡게 되지요. 그래서인지 역대 사대문 안에 화재가 빈번히 발생을 했고 특히 임진왜란 당시에는 경복궁이 불타는 비극적인 사태까지 발생합니다.” 잦은 화재에 시달리던 경복궁은 임진왜란 통에 전소된 후 270년 가까이 불 탄 체 방치된다. 경복궁은 1865년에 중건되는데, 중건을 주도한 흥선대원군은 경복궁을 화마로부터 지킬 방법을 고심한다. 그 결과, 근정전 용마루에 비를 불러오는 용 부적을 넣고. 경복궁의 화기를 잡기 위해 만든 경회루 연못 바닥에 청동용을 묻어 화재의 위험을 원천봉쇄하고자 한 것이다. 윤열수 / 가회민화박물관장 “이렇듯 우리 민족은 농사에 필요한 비가 내리고 왕의 권위와 국가의 안녕 등의 염원을 용에게 투영해 성취를 빌었던 것이죠.” 자연의 섭리와 임금의 권위를 상징하는 신비의 동물 용. 500년 조선왕조의 위엄과 안녕을 지켜온 경복궁에는 지금도 용이 살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경복궁의 동물이야기 1부[景福宮] - 경복궁의 동물 이야기 경복궁에는 용이 산다 (문화유산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