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기억은 과거이다. 기억과 과거는 유한하다.
비전은 미래이다. 비전과 미래는 무한하다.
비전은 역사보다 크고, 선입견 보다 크고, 과거 감정의 상처보다 크다.
비전은 경험과 과거를 뛰어넘을 수 있게 해준다.
- 스티븐 코비, ‘성공하는 사람들의 8번째 습관’에서


일반 사원 시절, 경영진 능력을 파악하는 제 나름의 잣대 중 하나가
'그들 말씀 속에 포함된 과거와 미래사의 비중'이었습니다.
능력 있고 높은 성과를 창출하는 경영자는
과거 회고 보다는 미래에 대한 꿈과 희망을
주로 얘기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지금의 내 모습은 어떻게 비춰질지 궁금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절망적인 상황에서조차
가치 있는 삶을 향해 한 걸음씩 내딛기를
주저하지 않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절망적인
인생관으로 생명의 의미에 대해 회의적인 태도로
임하는 사람들도 있다. 삶에 아무런 의욕도 없고,
낙이 없는 이 삶을 계속 살아야 하는 이유를
모르겠다고 말하는 사람들 말이다.


- 이정미의《심리학이 나를 안아주었다》중에서 -


* 잘 알고 계시듯이, 인생은
늘 희망적인 상황만 펼쳐지는 것은 아닙니다.
도무지 어찌해 볼 수 없는 절망적인 상황을 수시로
경험합니다. 그 절망적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하느냐,
극단으로 갈리는 큰 갈림길입니다. 절망을 더 큰
절망으로 몰아가는, 그래서 돌이킬 수 없는
최악의 선택을 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오히려 더 큰 교훈과 전화위복의 기회로
만드는 사람도 있습니다. 당신은
어느 쪽이십니까.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려울 게 없다  (0) 2021.10.08
노인  (0) 2021.10.07
'돈이면 다'라고 생각하는 사람  (0) 2021.10.05
집단지성이 필요한 이유  (0) 2021.10.05
지름길과 에움길  (0) 2021.10.05
반응형

계획은 늘 완벽하지 않다.
일단 실행하면서 부족하고 필요한 부분이 생기면 즉시 반영한다.
계획이란 으레 고치고, 바꿔가면서 완성되는 것이다.
- 도요다 게이치


요즘 같이 모든 게 빠르게 변화하는 상황 속에선 완벽한 계획이 수립되는 순간,
이미 그 계획의 근간이 되는 수많은 가정과 환경이 바뀌어서
계획의 유용성이 크게 떨어져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큰 방향만 설정하고 재빠르게 실행하면서 고쳐나가는 애자일 방식이 필요합니다.
아이젠하워 대통령 이야기 함께 보내드립니다.
“나는 전쟁에 임할 때 마다 계획이 무용지물임을 깨닫곤 한다.
그럼에도 계획은 반드시 세워야 한다.”

반응형
반응형

살아있다는 것은
그 시간들을 통해 변화한다는 것입니다.
그 변화는 '나아짐'일 수도 있고 '나빠짐'일
수도 있습니다. 사람은 환경의 지배를 받는다고들
하는데 그래서인지 요즘 부쩍 '돈이면 다'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어떤 사람이 어떤 일을
한다고 할 때 그 사람이나 그 일을 궁금해하기보다
그 일을 하면 돈을 얼마나 버는가
궁금해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 김흥숙의《쉿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성찰1)》중에서 -


* '돈'은 필요하고 중요합니다.
그러나 그 돈이 사람을 좋아지게도 하고
나빠지게도 합니다. 한 순간에 벼락부자가 되었다가
한순간에 추락하기도 합니다. 돈도 명예도 잃고 삶 전체가
부정 당하는 능멸을 겪기도 합니다. 돈은 필요하고 또
중요하지만 '돈이면 다'라고 생각하는 순간부터
그의 인생은 굴러떨어지기 시작합니다.
추락은 시간문제입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  (0) 2021.10.07
절망적인 상황일 때  (0) 2021.10.06
집단지성이 필요한 이유  (0) 2021.10.05
지름길과 에움길  (0) 2021.10.05
거짓이 난무하는 세상  (0) 2021.10.01
반응형

대한민국 사회의 대립과
갈등의 진폭이 갈수록 커지는 이유 가운데
하나는 바로 쓰레기 정보와 가짜 뉴스에 휘둘리는
사람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시민과 대중의 각성은
반드시 필요하다. 누구나 생각할 수 있는 권리가 있고,
그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권리 또한 헌법에 보장되어
있다. 그러나 나쁜 의도로 퍼뜨리는 지식과 정보의
습득에 매몰되어 그것을 근거로 인식할 때
문제가 심각해진다.


- 김경집의《6I 사고 혁명》중에서 -


* 우리 사회의 큰 병폐가
이른바 쓰레기 정보와 가짜 뉴스입니다.
더 큰 문제는 그에 휘둘리는 사람들이 많다는
사실입니다. 여기에 더해 가짜를 열심히 퍼나르는 것을
업처럼 여기는 사람들도 많아졌습니다. 우리 사회의
기본 자산인 신뢰를 멍들게 하는 일입니다.  
이제야 말로 깊은 성찰이 필요합니다.
더 멍들기 전에 집단지성이
발휘되어야 합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망적인 상황일 때  (0) 2021.10.06
'돈이면 다'라고 생각하는 사람  (0) 2021.10.05
지름길과 에움길  (0) 2021.10.05
거짓이 난무하는 세상  (0) 2021.10.01
불가능한 꿈은 없다  (0) 2021.09.30
반응형

NGO 활동가가 어떤 일을 하는지,
다큐멘터리는 어떤 과정을 통해 만들어지는지
알지 못한 채 명함을 갖기 위해 모든 것을
에둘러 돌아가라니. 나는 도대체
무엇을 위해 공부하는 걸까.
질문이 머릿속에서
끊이질 않았다.

- 이길보라의《해보지 않으면 알 수 없어서》중에서 -


* 때로는 고정관념에 의해
불필요한 과정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바뀌어야 하는 인식일 수도 있고, 생략해도 되는
사치일 수도 있습니다. 내 안의 기준에 따라,
내 안의 목적지를 좇아, 어떤 길을 어떻게
가든, 그것은 오로지 나만의 선택,
나의 몫입니다. 지름길은 없습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이면 다'라고 생각하는 사람  (0) 2021.10.05
집단지성이 필요한 이유  (0) 2021.10.05
거짓이 난무하는 세상  (0) 2021.10.01
불가능한 꿈은 없다  (0) 2021.09.30
그대 더 이상 울지 마  (0) 2021.09.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