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진정으로 나아지고 싶다면

더 힘들고 고통스러운 훈련을 원해야 한다.

고통스럽고 힘든 훈련은 성과 개선에 필수 불가결한 요소다.

따라서 이런 어려움이 사라지길 바라는 건

어리석은 생각이다. 다시 말해,

최고 기록을 경신하고 싶다면 때로는 부상을 감내해야 한다.

- 스탠 비첨, ‘엘리트 마인드’

 

고통이 사라지길 원하는 것은 자신을 더 나아지게 만드는 것도

함께 사라지길 바라는 것과 같습니다.

전진을 원한다면, 우리는

고통이 우리 스스로가 원하던 것임을 깨닫고,

기껏 우리를 찾아온 고통이 사라지지 않길 바라야 합니다.



.

반응형
반응형

상황이나 사건을 자신이 전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직원은 아무리 힘들어도 스트레스를 적게 받고

오히려 ‘도전할 만한’ 일로 여긴다.

전투기 파일럿은 비행 업무, 심지어 전투 중 임무 수행에도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다.

전투기 조종을 자신이 온전히 통제할 수 있다고 생각해서다.

- 브라이언 M. 카니, ‘자유주식회사’에서

 

실제로 파일럿은 자신이 조정을 통제하지 못하는

모의 비행 훈련 때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합니다.

업무 방식을 일일이 지시하지 않고,

자율권을 주어서 통제감을 느끼게 하는 것만으로도

스트레스를 대폭 줄이고, 업무 몰입과 만족도를 향상시켜,

회사의 성과를 크게 높일 수 있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어제보다는 오늘,

오늘보다는 내일이 더 좋아질 수 있도록 노력합시다.

Best보다는 Better를 목표로 삼아 도전합시다.”

- 도요타 아키오 (도요타 자동차 사장)

 

Best는 곧 멈춤을 의미합니다.

Better를 향해 꾸준히 나아가다 보면

어느 순간 위대함의 경지에 다다를 수 있습니다.

남과의 비교는 불행을 가져옵니다.

어제보다 나은 삶을 추구하는 것이 나를 살찌우고

나를 행복하게 해줍니다.



.

반응형
반응형

책 정보공유 : 유저스토리북 - http://www.userstorybook.net/


내 서재 : 유저스토리북 - http://mill01.userstorybook.net/ 



이제 Goodread 로 갈아타볼까? https://www.goodreads.com/ 근데 가입이 자꾸 에러남. 헐. 






.

반응형
반응형

적응력 있는 조직은 진화하기 위해 스스로를

계속 불균형 상태로 만들어 놓는다.

완전한 균형 상태란 곧 조직의 죽음을 의미한다.

역설적이게도 적응은 적응 능력을 저해한다.

적응력 있는 조직은 조직 내에서 끊임없이

변이, 긴장, 위기감을 발생시킨다.

- ‘왜 일본 제국은 실패하였는가?’에서 


위대한 리더는 안정 속에서 불안을 느끼고,

불안정 속에서 편안함을 느낍니다.

균형상태가 무너져야 조직은 변화를 시작합니다.

안정되면 바로 조직을 흔들어 불균형을 만들어 낼 수 있어야,

즉 스스로를 파괴할 수 있을 때 위대한 조직으로 거듭날 수 있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순응하지 말고 불복종하라.

지시받은 대로 일한 사람은 노벨상을 받지 못한다.

학교는 너무 복종하는 법만 가르친다.

불복종의 중요성을 알아야 한다.

- 이토 조이치 MIT 미디어랩 소장

 

과거의 경험과 성공법칙을 그대로 따라서는 안됩니다.

미래의 흐름에 저항해서는 안됩니다. 

과거에 형성된 지식과 권위에는 불복종하는 대신,

미래의 흐름에는 앞장서 복종하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