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사람들은 자비가 다른 사람을 위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것은 틀린 생각이다. 친절한 행동이

다른 사람들에게 반드시 좋은 결과를 가져다주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다른 사람에게 전해지는 결과가 어떠하든,

자비의 첫 번째 수혜자는 우리 자신이다.

- 달라이 라마


남을 돕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긍정적인 몸과 마음의 변화를

헬퍼스 하이 (Helper’s high)라고 합니다.

남을 도우면 기분이 좋아지고 긍정에너지가 높아져

타인과의 관계까지 원만해지고, 다시 핼퍼스 하이를 경험하기 위해

남을 돕는 행위를 반복하게 된다고 합니다.



.

반응형
반응형

기억의 반대말은 망각이 아니다.

기억의 반대말은 상상이다.

기억은 과거의 길을 되돌아보는 것이다.

가보지 않은 길을 가는 것은 상상이다.

미래는 기억하는 자가 아닌 상상하는 자의 것이다.

- 이스라엘 페르세 전 대통령 (노벨 평화상 수상자)


과거 이야기를 주로 하고, 과거에 연연하는 사람에겐

더 이상 발전이 없습니다.

미래를 상상하고, 미래를 이야기 하는 사람에게

밝은 미래가 펼쳐집니다.

상상은 무에서 유를 창출합니다. 혁신의 원동력이기도 합니다.

상상력이 최고의 자원입니다.





.

반응형
반응형

지금은 소나무 보다 참나무를 더 좋아한다.

침엽수는 땅을 죽인다. 독성이 있다.

독야청청(獨也靑靑)이라는 말이 나온 배경이다.

참나무는 땅을 풍요롭게 한다.

열매와 잎이 떨어져서 생태계를 풍성하게 만든다.

- 사진작가 배병우

 

소나무 전문 사진작가 배병우 선생의 이야기입니다.

독야청청의 시대는 지났습니다.

이제는 남과 더불어 함께 살아가야 하는 시대입니다.

더불어 사는 참 지혜는

내가 가진 것을 먼저 나눠주는 데에 있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信賴(신뢰)라는 한자어를 풀이하면 ‘믿고 부탁한다’는 뜻이다.

“자네만 믿네, 부탁하네”라는 의뢰와

“시키는 대로 해놔”라는 일방적인 명령은

하늘과 땅만큼이나 다르다.

그리고 그 차이에서 사람을 움직이는 힘이 나온다.

이처럼 인간의 본성에 입각해서 회사를 경영할 때

자연스럽게 신뢰의 고리가 생겨난다.

- 야스다 다카오 돈키호테 회장, ‘돈키호테 CEO’에서


시키는 대로만 하게하면 당장은 성과가 나오더라도

직원들은 일에 흥미를 잃고

늘 그 자리에 머물게 되거나 오히려 퇴보합니다.

믿고 맡기면 당장은 성과가 안 나오더라도

주인의식 하에 주도적으로 일하면서 조금씩 성장합니다.

믿고 맡길 것이냐? 지시하고 통제할 것이냐? 자명한 선택입니다.



.

반응형
반응형

“무조건 버텨야지. 아무리 힘들어도.

버티면 상황이 좋아질 거라고 말해주고 싶은데,

그렇지는 않을 거야.

그러나 포기하지 않고 버틴다면,

대신 네가 더 나은 사람이 되어 있을 거야.”

(I wish I could tell you it gets better. But,

It doesn’t get better. You get better.)

- 시트콤 ‘루이’ 대사 중

 

“버티면 상황이 좋아질까요?”라는 물음에 대한

노장 코미디언의 답입니다.

중간에 포기하면 한계가 거기라고 인정하는 것입니다.

버티는 자에게는 한계가 없습니다.

(김민식 PD 저, ‘영어책 한권 외워봤니?’에서 인용)



.

반응형
반응형

‘School(학교)’은 ‘여가’를 뜻하는 그리스어

‘Schole’에서 유래되었다.

실제로 고대 그리스 상인들은 자식의 호기심을 길러주기 위해

여가 활용을 중요하게 여겼다.

무수히 많은 창조적 일들이 휴식을 취한 후에 해결된다.

쉬는 것은 결코 낭비가 아니다.

- 에이미 휘태커, ‘아트 씽킹’에서 


최고 선수들의 비결은 쉬는 법을 발달시킨

덕분이라는 연구결과가 많습니다.

일시적인 멈춤은 창의성의 원천이 됩니다.

휴식이나 수면 중에 잠재의식이 살아납니다.

가장 가치 있는 일은 여백에서 이루어집니다.

하버드대 레스리 A. 펄로 교수는 휴식을

‘생산성 향상 시간(enhanced productivity days)’이라 칭했습니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