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늘 성공만 해온 사람들은 어떤 일을 시도할 때
 항상 그 일이 성공할지 아닐지를 먼저 생각한다.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해 따져보고,
여러 마이너스 요인을 찾아 성공 확률이 낮다고 판단되면
 뿌듯한 얼굴로 계획을 중단할 것을 제의한다.
안전한 방법이다.
그러나 그렇게 해서는 새로운 미래를 만들어갈 수 없다.
- 나카무라 슈지 (2014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끝까지 해내는 힘’에서

 

데이터는 과거 정보의 집적일 뿐입니다.
과거 지식으로는 미래의 문을 열수 없습니다.
성공 확률은 낮더라도 한번 해보자는 강한 정신력으로
 미련하게 끝까지 도전할 때 세계가 깜짝 놀랄
 신기술이나 신제품이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과거 지식이 아닌 미래를 향한 도전정신이 성공을 만들어냅니다.

 

 

 

 

.

 

반응형
반응형
상사한테 잔소리를 들었을 때는
“이렇게 폭포수를 맞게 해줘서 감사합니다.
나는 운이 좋은 사람입니다.’라고 말해보세요.
희한하게도 상대방이 변합니다.
- 사이토 히토리, ‘부자의 운’에서

 

 


불행한 직장생활의 가장 큰 원인이
함께 일하는 상사에게서 비롯된다는 조사 결과가 많습니다.
상대방을 변하게 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희한하게도
내가 먼저 변하면 상대방도 변하게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밤 11시 비바람이 몰아치는 깜깜한 스탠포드 교정,
골프 연습장에서 쉬지 않고 혼자 공을 치는 학생을 보았다.
실컷 놀고 네 시간이 지난 새벽 3시,
아직도 그 자리에서 계속 연습을 하고 있었다.
비오는데 새벽까지 공을 치느냐는 질문에 그 학생이 답했다.
“노던 캘리포니아에 비가 자주 오지 않잖아.
우중 경기도 연습해야 하는데, 이때 아니면 언제 하겠어?”
- 데이먼 던 (프로 미식축구 선수, 부동산 개발 회사 사장)

 

 

 

그 학생이 바로 타이거 우즈입니다.
타이거 우즈의 타고난 천재성에
이같은 남다른 특별한 노력이 합쳐져서
불세출의 위대한 골프 선수가 탄생한 것입니다.
끝없는 연습이 재능을 이깁니다.
(‘구글의 아침은 자유가 시작된다’에서 인용)

반응형
반응형
내 경험에 의하면 독창적인 아이디어는
그 아이디어가 ‘비상식적’이라고 판단되는 데서 시작된다.
독창적 아이디어란 원래 비상식적이고 엉뚱하기 마련이다.
뒤집어 말해서 비상식적이므로 독창적인 것이다.
비상식을 두려워해서는 안된다.
- 나카무라 슈지 (2014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끝까지 해내는 힘’에서

 

 


사람들은 일반 상식에 맞는 아이디어에 높은 점수를 줍니다.
그러나 상식적인 아이디어로는 새로움이 창조되지 않습니다.
기존의 생각과 다른 비상식적인,
엉뚱한 발상들이 자유롭게 쏟아질 수 있는 분위기,
그런 엉뚱함에 점수를 줄 수 있는
문화를 만드는 것이 창조를 위한 첫 걸음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10년 안에 현존하는 기업의 40%는 사라지게 될 것이다.
파괴당하는 기업의 1순위는
 지금 가장 성공한 기업이다.
그들은 변하려 하지 않기 때문이다.
- 20년 시스코를 이끌고 최근 사임한, 존 체임버스 회장

 

변화를 하면 지금 당장 잃을 것이 보입니다.
그러나 변화만이 생존 확률을 높여줍니다.
현재 이익을 고수하면서 변화를 거부할 것인가?
현재 성공의 달콤함을 스스로 버리고
 미래의 이익을 위해 먼저 변화를 택할 것인가?
현대를 살아가는 모든 사람과 조직의 피할 수 없는 화두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내게는 머리가 좋아지고, 깨달음을 얻을 수 있으면서
무슨 일이든 잘 풀리게 만드는 마법 같은 주문이 있다.
바로 ‘100퍼센트 나에게 책임이 있다’라고 하는 주문이다.
100퍼센트 자신에게 책임이 있다고 생각하면
자연스레 개선해야 할 점을 찾게 된다.
- 사이토 히토리, ‘부자의 운’에서

 

 

남 탓을 하면 불평불만만 쌓이게 됩니다.
개선을 위한 노력은 하지 않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상황은 더 나빠지기만 합니다.
대신 100% 자신에게 책임이 있다고 생각하면
내가 그 일의 주인이 됩니다.
결과적으로 상황은 개선되게 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