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어떤 일이
괴롭게 느껴진다면 대개는
그 일이 다른 일을 하는 데 방해만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막상 방해받던
그 일을 하게 되었을 때는 또다시 그다음에
할 일을 생각한다. 아침을 먹으면서 전차가
제시간에 도착할지 걱정하고, 전차를 타서는
직장에 도착해서 제일 먼저 할 일을 생각하고,
그 일을 하면서는 점심시간을 생각하고,
퇴근 후에는 다음 날 아침을 생각한다.


- 프랑크 베르츠바흐의《무엇이 삶을 예술로 만드는가》중에서 -


* '걱정도 팔자'라는 말이 있지요.
맨날 걱정을 달고사는 사람을 이릅니다.
잘 해도 걱정, 못하면 더 걱정. 좋아도 걱정,
싫으면 더 걱정. 걱정이 떠날 날이 없습니다.
걱정은 걱정을 낳고 더 큰 걱정을 불러들입니다.
불운과 불행을 자초합니다. 미리 걱정하는
사람에게 더 쉽게 다가갑니다.

반응형
반응형

변화를 두려워할게 아니라 변화지 않음을 두려워해야 합니다.
모든 변화는 행운의 시작이랍니다.
변화는 당신의 성장과 행운을 약속합니다. 얼마나 감사한 일인가요.
우주의 에너지가 당신에게 변화라는 기회를 주고 있으니까요.
진정한 나를 만나고, 변화하고, 사랑하는 것이야말로 행운을 얻는 첫걸음입니다.
- 이정일, ‘오래된 비밀’에서


변화를 주저하지 말고 마음의 문을 활짝 여는 것,
바로 행운을 불러들이는 자세입니다.
변화를 거부하는 몸짓은 더 큰 불행을 초래하기 쉽습니다.
모든 변화는 행운의 시작입니다.
혹시 안 좋은 시기에 혹여 나쁜 일이 생기더라도,
‘이 변화는 틀림없이 내게 유익하다’라고 생각해 보세요.
결과도 그렇게 바뀌게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자연은
모든 생명의 원천이고
사람이 기댈 영원한 품이다.
또 자연은 잘못된 현대 문명의 유일한 해독제다.
하늘과 구름, 별과 이슬과 바람, 흙과 강물, 햇살과
바다, 나무와 짐승과 새들, 길섶에 피어 있는
하잘것없는 풀꽃이라도 그것은 우주적인
생명의 신비와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다.
건성으로 보지 말고 유심히
바라보아야 한다.


- 이응석의《당신을 춤추게 하는 지식의 날개1》중에서 -


* 자연은 언제나
있는 그대로의 모습입니다.
그러나 어떤 눈으로 바라보느냐에 따라
전혀 달리 보입니다. 유심히, 혼이 담긴 시선으로
바라보면 아름다움과 신비가 가득하지만, 건성으로
바라보면 그저 그만그만한 것만 보입니다. 사람을
살리는 영원한 품이 되기도 하고 사람이 감당할
수 없는 재난이 되기도 합니다. 사람도
건성으로 보면 안 됩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즘의 감동  (0) 2020.12.21
미리 걱정하는 사람  (0) 2020.12.18
짧은 치마, 빨간 립스틱  (0) 2020.12.16
세르반테스는 왜 '돈키호테'를 썼을까  (0) 2020.12.15
대배우 신영균과 그의 어머니  (0) 2020.12.14
반응형

Cree Hunters of Mistassini

www.youtube.com/watch?v=hhSxzBPAYXA

 

 

 

Cree Hunters of Mistassini  Boyce Richardson  Tony Ianzelo 가 공동 감독 한 1974 년 다큐멘터리 영화로 퀘벡  Mistassini 지역에서 온 Cree 가족3 명이 James Bay  Ungava Bay 근처에 겨울 사냥 캠프를 세웠습니다. 영화는 크리 사람들의 신념과 생태 학적 원리를 탐구합니다.

Richardson은 이전에 몬트리올 스타 에 대해 원주민 권리와 토지 개발로 인한 환경 피해에 대한 일련의 기사를 썼습니다 . 그는 Cree 친구들과 이야기하기 위해 Mistassini로 갔고, 그들의 영화는 원주민들이 자신의 이야기를 할 수있게 해줄 것이라고 맹세했고, 촬영은 1972 년부터 1973 년까지 5 개월에 걸쳐 수풀에있는 세 명의 사냥 가족과 함께 진행되었습니다. [1]

캐나다 국립 영화위원회에서 제작 한 Mistassini의 Cree Hunters  Canadian Film Awards 에서 최우수 다큐멘터리 상을 수상했으며 British Academy of Film and Television Arts 에서 최고의 일회성 다큐멘터리로 Robert Flaherty Award를 수상했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Nanook of the North" (1922) - Robert Flaherty - Original Silent Version, 이누잇 '나눅', 에스키모

youtu.be/3IAcRjBq93Y

 

반응형
반응형

일반적으로 낙관론자들은 비관론자에 비해
신체가 더 건강하고 심리적으로도 행복하다.
낙관론자는 목표 달성을 시작한 뒤,
상황이 어려워지더라도 계속 해 나갈 가능성이 훨씬 크다.
이 모든 것이 오랜 시간 더해지면, 인생의 밝은 면을 보는 사람들이
개인적인 삶과 직업적 삶 모두에서 특히 큰 성공을 거둔다.
- 리처드 와이즈만, ‘우리는 달에 가기로 했다’에서


우리가 가능하다고, 또는 불가능하다고 믿는 것은
우리의 행동을 결정하고, 우리의 성공도 좌우하게 됩니다.
무조건적인 낙관과 긍정이 항상 좋은 것은 아닙니다.
‘긍정적으로 구상하고, 비관적으로 계획하며, 낙관적으로 실행하라.’는
말도 함께 새겨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