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장밋빛 미래만을 생각하는 낙관적 사고는
역설적으로 목표 달성에 해롭다.
리더라면 구성원들에게 동기부여를 하기 위해선
희망을 제시한 후 반드시 장애물도 함께 강조해야 한다.
아무 걱정 없이 잘될 것이란 낙관이
오히려 목표 달성을 방해한다.
- 가브리엘 외팅겐

 

 

낙관적 생각만 하는 이는,
이미 그 꿈이 이뤄진 것으로 생각하는 판타지 때문에
성취욕이 오히려 약해지고,
목표 달성에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노력을 게을리 하게 됩니다.
결국 소망은 이뤄지지 않고 좌절과 실망에만 빠질 뿐입니다.
자기 소망을 장밋빛으로 생각하는 것은 좋습니다.
그러나 그 후에는 반드시 차가운 현실적 여건,
장애물을 떠올릴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제로 투 원, 마이크로소프트웨어 (월간) 3월호



제로 투 원
국내도서
저자 : 피터 틸(Peter Thiel),블레이크 매스터스(Blake Masters) / 이지연역
출판 : 한국경제신문사(한경비피) 2014.11.20
상세보기



마이크로소프트웨어 (월간) 3월호
국내도서
저자 : 마소인터렉티브편집부
출판 : 마소인터렉티브(잡지) 2015.03.03
상세보기


반응형
반응형

 

인간은 가장 큰 제약 속에서 가장 훌륭한 업적을 남긴다.
제약은 언제나 건축술의 가장 가까운
친구인 것처럼 보인다.
여러분이 혁신에 박차를 가할 때 최악의 선택은
지나친 자금지원이 가능한 상황이다.
창의성은 구속받는 상황을 좋아한다.
- 프랭크 R. 라이트

 

 

 

흔히들 자원이 부족해 창조하지 못한다 말합니다.
그러나 탁월한 업적과 창조는
자원의 부족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헨리 포드는 “우리는 느긋한 연구방법에 의한 것보다
어쩔 수 없이 선택한 방법으로 제작하고 판매할 때
더 많은 발견을 한다”고 말했습니다.
자원의 결핍이 발명하는 재주를 강요하는 것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대화의 첫 규칙은 듣는 것이다.
말하고 있을 때는 아무것도 배울 수가 없다.
대담 중 내가 하는 말에서는 아무 것도
 배울 것이 없다는 사실을 매일 아침 깨닫는다.
오늘도 많은 것을 배우기 위한 길은
 그저 상대의 말을 경청하는 것뿐이다.
대화의 90%는 경청이다.
- 대화의 신, 래리 킹

 

다른 사람의 말에 좀 더 귀 기울이지 않으면
 그들도 당신의 말에 귀 기울이지 않을 것입니다.
지금 상대가 하는 말에 진심으로 관심을 보여야,
상대도 그렇게 하게 됩니다.
훌륭한 화자(話者)가 되기 위해서는
 먼저 훌륭한 청자(聽者)가 되어야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그 무엇도 내 허락 없이는 나를 불행하게 만들 수 없다.
여기서 그 무엇은 최악의 상황을 염두에 둔 것이다.
어떤 최악의 상황이 닥치더라도
 내 허락 없이는 그것이 나를 불행하게 만들 수 없어,
‘난 허락 안해’ 라는 의미다.
- 차동엽 신부, ‘천금말씨’에서

감정은 판단의 종노릇을 합니다.
그러므로 내 판단이 허락하지 않는 한
 불행의 감정은 생길 수 없습니다.
내가 허락해야만 불행해 질 수 있다면,
결국 불행은 내가 만드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행복도 마찬가지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1800년부터 1998년까지 200년 동안 일어난 전쟁에서
 약소국이 강대국과 맞서 싸운 승률은 29.2%이다.
3:7로 불리하다.
약소국이 강대국과 같은 방식으로 싸우는 경우
 약소국의 승률은 24%로 더 떨어졌다.
그런데 강대국과 다른 방식으로
 자신에게 유리한 전략으로 싸우는 경우에는
 승률이 63.6%로 올라갔다.
- 아레귄 토프트 (보스턴 대학 정치학자)



강한 자가 강자가 될 수 있었던
 기존 게임의 룰(rule of game)로 싸우게 되면
 당연히 약자가 지게 되어 있습니다.
새롭게 도전하는 약자는 기존 룰과 차별화된
 새로운 게임의 룰을 만들어야만 승산이 있게 됩니다.
대신 기존 강자는 ‘전쟁에서 승리는 반복되지 않는다는
 전승불복(戰勝不復)’을 경구로 삼아 늘 변화를 추구해야 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