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신체는
지속적으로 자기 재생을 한다.
신체는 일생 동안 매일 300억 개의
새로운 세포(동화 작용)를 만드는데,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같은 양의 오래된
세포도 파괴한다. 죽은 지 오래된 세포는 분해되면서
엄청난 양의 세포 잔해를 남기고, 이 파편들은
림프계에 즉시 흡수되어 제거된다.
이 쓰레기는 체외로 운반하는
물이 충분해야 제거할 수
있다.


- 안드레아스 모리츠의《건강과 치유의 비밀》중에서 -


* 작은 세포 하나가
모든 생명체의 원천입니다.
수많은 세포가 매일 매 순간 만들어지고,
또 그만큼의 세포가 파괴되고 죽어 잔해로 쌓입니다.
그 잔해와 파편들을 제때제때 배출하고 씻어내야
세포의 재생이 원활해집니다. 물과 피, 림프계의
역할이 중요한 이유입니다. 잘 흘려보내고
비워내면 세포의 파괴는 두려울 게
없습니다. 재생의 시작입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망은 격렬하다'  (0) 2020.11.18
음악이 중풍 치료에도 좋은 이유  (0) 2020.11.17
마음 따라 얼굴도 바뀐다  (0) 2020.11.16
'나 하나만이라도'  (0) 2020.11.13
'그냥, 웃는 얼굴'이 좋다  (0) 2020.11.12
반응형

상유심생(相由心生).
외모는 마음에서 생겨난다는 뜻이다.
사람은 각자의 얼굴에 세월의 흔적을 새기며
산다. 우리가 지나온 세월, 생각과 가치관, 심리
상태의 모든 변화 하나하나가 얼굴에 흔적을 남긴다.
여기에는 어느 정도 과학적 근거가 있다. 심리 변화는
신경전달 물질의 농도 차이를 발생시키고 근육을 만들어
표정에 변화를 만든다. 오랫동안 일정한 정서를 유지한
사람은 표정에 크게 변화가 없지만 항상 초조하고
우울한 사람에게는 '불안한 얼굴'이 생긴다.


- 레몬심리의《기분이 태도가 되지 않게》중에서 -


* 나이 마흔이면
자기 얼굴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하지요.
그 책임을 다하기 위해서라도 종종 거울을 봐야 합니다.
내 얼굴 속에 평온함이 있는지, 불안함이 있는지...
내 낯빛에 깃든 초조함이나 우울함을
유쾌함과 생동감으로 바꾸는 일이
자기 얼굴을 바꾸는 길입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악이 중풍 치료에도 좋은 이유  (0) 2020.11.17
세포 재생, 세포 파괴  (0) 2020.11.16
'나 하나만이라도'  (0) 2020.11.13
'그냥, 웃는 얼굴'이 좋다  (0) 2020.11.12
사랑을 잃고 나서...  (0) 2020.11.12
반응형

배워서 바로 쓰는 온라인강의 사이트 정리 모음

 

마케팅, 프로그래밍 등 자기개발을 위해 알아두면 좋은 온라인 강의 사이트 리스트를 공유합니다.


[국내]

 

아이보스 교육 

실무진이 강의하는 마케팅 교육, 3천여 후기 인증, 온라인 교육 30% 할인 프로모션 진행 중

 

edwith

네이버와 네이버 커넥트재단이 제공하는 온라인 강좌 교육 플랫폼 (SW, UX, 비즈니스 등)

 

구름EDU

맞춤형 IT교육 플랫폼 (프로그래밍, 그래픽, 비지니스, 마케팅 등)

 

KOCW 

고등교육 교수학습자료 공동활용 서비스, 주제별, 대학별, 강의자료 검색 등 제공.


엔트리

소프트웨어 교육의 첫걸음, 엔트리



[국외]

 

린다닷컴

링크드인이 운영하는 실무 중심 과정 (영상 디자인, IT 분야 등)

 

코세라

머신러닝, 학습방법, 컴퓨터과학분야, 알고리즘 등

 

칸아카데미

컴퓨터 프로그래밍, 경제, 예술, 금융 등

 

MIT 오픈코스웨어

MIT 과목의 강의에 사용되는 자료를 웹에서 무료로 제공

 

SCRATCH

대화형 스토리, 게임 및 애니메이션을 직접 만들 수 있는 무료 프로그래밍 언어 및 온라인 커뮤니티

 

W3Schools

세계에서 가장 큰 중국 웹 기술 튜토리얼

 

www.i-boss.co.kr/ab-6141-53149

 

배워서 바로 쓰는 온라인강의 사이트 정리 모음

마케팅, 프로그래밍 등 자기개발을 위해 알아두면 좋은 온라인 강의 사이트 리스트를 공유합니다.[국내]아이보스 교육 실무진이 강의하는 마케팅 교육, 3천여 후기 인증, 온라인 교육 30% 할...

www.i-boss.co.kr

 

반응형
반응형

최고경영자는 다른 누구에게도 맡겨서는 안되는
다음 두 가지 과제에 몰두할 시간을 반드시 가지도록
직무 계획을 짜야한다.
하나는 외부를 향한 시간,
즉 고객, 시장, 기술을 위한 시간이며,
다른 하나는 사내의 핵심 요원과 만나서
차분히 이야기 하기 위한 시간이다.
- 피터 드러커


경영자의 최고 자산은 시간입니다.
드러커는 가장 귀중한 자산인 시간을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집중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으며,
한편으론 최고경영자에게는 자유로운 시간,
용무가 전혀 없는 시간,
문제 처리로 고민하지 않아도 되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공중도덕을 잘 지켜라.
줄을 서지 않고 새치기를 하면
나 하나는 빠르고 편하겠지만, 수많은
사람들이 늦어지고 불편하단다. 살아가면서
사람들이 절대로 가져서는 안 될 생각 중의
하나가 '나 하나쯤이야'라는
생각이란다.


- 박성철《아주 특별한 너에게》중에서 -


* 공동체 생활에서
가장 경계해야 할 것이 '나 하나쯤이야!'하는
생각입니다. 볼트 하나, 톱니바퀴 한 쪽이 별게
아닌 듯 보여도 그 하나 때문에 기계가 망가지고
큰 사고를 냅니다. 우리가 사는 사회의 질서나
공중도덕도 한 사람으로부터 비롯됩니다.
'나 하나만이라도!'라는 사람들이 모여
더 좋은 세상을 만듭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포 재생, 세포 파괴  (0) 2020.11.16
마음 따라 얼굴도 바뀐다  (0) 2020.11.16
'그냥, 웃는 얼굴'이 좋다  (0) 2020.11.12
사랑을 잃고 나서...  (0) 2020.11.12
'쓴 것을 가져오라'  (0) 2020.11.10
반응형

인간이라는 존재는 아무리 이기적이라고 간주하더라도
타고난 성질 중에는 타인을 신경 쓰지 않고는 못 배기는 기능이 있다.
인간은 타인의 행복을 바라보는 즐거움 외에 아무런 이득이 없는데도
타인의 행복을 자신에게 없어서는 안 되는 것으로 느낀다.
타인의 불행을 바라보거나 불행한 상황을 생생히 들어서 알았을 때 느끼는
연민과 동정도 그와 같은 것이다.
- 아담 스미스, ‘도덕 감정론’에서


“인간의 성질을 한 꺼풀씩 벗겨냈을 때 마지막에 남는 것은
공감이라는 기능이다.”고 아담 스미스는 말합니다.
공감하는 동물인 인간은 타인이 행복해하는 모습을 바라보며
자신도 기쁨을 느낍니다. 반대로 괴로워하는 타인을 발견하면
자신의 마음도 편치 않게 되는 것이 우리 인간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