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얼마나 오래 지났을까.
한 나무가 자라 땅과 하늘을 연결하다가
인간의 톱에 베어졌고, 또 많은 시간이 지나
그 밑동이 적당히 썩어갈 무렵 솔 씨 하나가
그 밑동 위로 떨어져 생명의 기운을 지피기 시작했으리라.
죽은나무 위에서 자라난 새 나무의 푸른 기상은 
확실히 생명의 멋진 찬가였다. 죽어서도 
새 생명을 키우는 나무, 그러니까 
죽어도 죽지 않은 나무.

- 우찬제의《나무의 수사학》중에서 - 


* 생명이란 참 신비합니다.
모두 죽어가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안에서 또 생명을 움 틔우고 이어갑니다.
죽어도 죽지 않은 나무가 그것을 말해 줍니다.
우리의 삶도 그러합니다. 필연적으로 죽어가고 
있지만 그 안에서 사랑을, 꿈을, 생명을 피워갑니다. 
삶 너머의 꿈과 희망을 품고 살아갑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련 한 그루 심고 26년을 기다렸다  (0) 2019.07.23
압록강 강가에서  (0) 2019.07.22
수면 효율  (0) 2019.07.19
'오히려'  (0) 2019.07.18
꿈과 사명  (0) 2019.07.17
반응형

이해할 수 없는 모순중 하나는 사람들이 여가를 즐길 때보다
일을 하는 가운데 긍정적인 결과를 더 많이 경험한다는 사실이다.
인간의 감정시스템은 목표를 향해 나아가도록 디자인되어 있다.
유전자는 향상과 성취를 향해 끊임없이 달려가도록 우리를 만들어 놓았다.
- 테리 버넘, ‘다윈이 자기계발서를 쓴다면’에서 

우리는 늘 게으름을 꿈꾸고 더 많이 쉴 수 있는 삶을 동경합니다.
그러나 그와 동시에 일에 몰입하고 목표를 성취하고,
일과 학습을 통해 성장하는 데서 짜릿함과 행복을 느낍니다.
일의 의미, 인생의 진정한 목적을 생각해보는 시간을 먼저 가져야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잠이 토막 나기 때문에, 
노인들은 누워 있는 시간 중 
잠을 자는 시간의 비율로 정의되는 
수면 효율(sleep efficiency) 감소를 겪는다. 
잠자리에 여덟 시간 동안 들어가 있으면서 
여덟 시간 내내 잠을 잤다면, 수면 효율은 
100퍼센트가 된다. 그 여덟 시간 중 겨우 
네 시간만 잠을 잤다면, 수면 효율은 
50퍼센트가 된다. 

- 매슈 워커의《우리는 왜 잠을 자야 할까》중에서 - 


* 잠에도 '효율'이 있다는 말이
새롭습니다. 효율이 낮으면 아무리 오래
잠자리에 누워 있어도 소용이 없다는 뜻이겠지요.
수면 효율은 누구보다도 당사자인 본인이 가장 
잘 압니다. 오늘부터 100% 수면 효율을 목표로
생활 습관을 한 번 점검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건강의 지름길입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압록강 강가에서  (0) 2019.07.22
죽어도 죽지 않은 나무  (0) 2019.07.20
'오히려'  (0) 2019.07.18
꿈과 사명  (0) 2019.07.17
늦게라도 해봐야 하는 게 있다  (0) 2019.07.16
반응형

누군가 말을 할 때 우리 뇌는 상대의 얼굴에서 신호를 포착한다.
상대의 진짜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다.
얼굴은 우리 내면을 보여주는 창문과 같다.
은연중에 얼굴은 개인적인 생각을 공식적인 신호로 표현한다.
말과 행동이 다를 경우 인간의 뇌는 행동이 진짜라고 생각한다.
마음은 눈으로 본 것을 기억한다.
- 조 허시, ‘피드 포워드’에서 

사람의 감정과 성과는 분리할 수 없습니다.
사람들은 기분이 좋을 때 최선을 다합니다.
웃는 리더가 조직의 성과를 높입니다.
성공적인 리더는 그렇지 않은 리더에 비해 직원과 함께
웃을 확률이 두 배나 높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현명한 리더는 직원들을 행복하게 만들고, 생산성도 높입니다.
리더는 표정관리를 할 줄 알아야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이육사와 이순신,
두 사람이 공통적으로 사용한 단어가 있습니다. 
바로 '오히려'입니다. 이육사는 일제강점기라는 극한의 
환경에서도 '오히려' 꽃은 빨갛게 피어나지 않느냐고
되물었습니다. 이순신은 누구나 싸움을 포기했을 
상황에서 '오히려' 해볼 만하다며 의지를 
다졌습니다. 얼마나 감동적인가요? 
제 인생에 '오히려'라는 말이 
이토록 울림 있게 다가온 
적은 없었습니다. 

- 최태성의《역사의 쓸모》중에서 - 


* 일본 문제를 비롯
작금의 상황이 여러모로 좋지 않습니다.
그러나 그것이 오히려 더 잘 된 일인지도 모릅니다.
우리 국민을 하나로 뭉치게 하고 미래를 미리 준비하게
만드는 전화위복의 기회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최악의 상황에서도 이육사의 불멸의 시, 
이순신의 불멸의 승리를 안겨주었듯이
오늘의 어려움이 오히려 우리에게
희망을 품게 합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죽어도 죽지 않은 나무  (0) 2019.07.20
수면 효율  (0) 2019.07.19
꿈과 사명  (0) 2019.07.17
늦게라도 해봐야 하는 게 있다  (0) 2019.07.16
낮은 목소리로  (0) 2019.07.15
반응형

만약 더 높은 성취를 이룩하고 싶다면 모험을 감수해야 한다.
반대로 모험을 감수하기 싫다면 더 적은 수입,
더 작은 성공, 더 평이한 삶에 만족해야 한다.
모험을 하지 않는 한 성과도 없다.
위험을 감수하라. 거기에 과실이 있으니.
- 테리 버넘, ‘다윈이 자기계발서를 쓴다면’에서 

에베레스트산을 최초로 등반한 에드먼드 힐러리 경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여러 번 죽을 것 같은 두려움에 떨었다.
하지만 두려움은 또 다른 자극제가 되었다.
우리는 가능하다고 믿는 것보다 훨씬 더 높은 성취를 이룰 수 있다.”
위험이 커야 성과도 큽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