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https://www.nts.go.kr/support/support_work_encouragement.asp

불러오는 중입니다...

1. 근로장려금 이란?
열심히 일은 하지만 소득이 적어 생활이 어려운 근로자, 종교인 또는 사업자(전문 제외)가구에
대하여 가구원 구성 총급여액 (부부합산) 따라 산정된 근로장려금을 지급함으로써 근로를
장려하고 실질소득을 지원하는 근로연계형 소득지원 제도입니다.

2. 자녀장려금 이란?
저소득 가구의 자녀양육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총소득(부부합산) 4,000만원 미만이면서 부양자녀
(18세 미만)가 있는 경우 1명당 최대 70만원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날이 밝았는데 잠자리에서 일어나기가 싫을 때는 마음속으로 이렇게 생각하라.
“나는 인간으로서 해야 할 일을 하기 위해 일어나는 것이다.
그 일을 위해 태어났고, 그 일을 위해 세상에 왔는데,
그런데도 여전히 불평하고 못마땅해 하는 것인가.
침상에서 이불을 덮어쓰고서 따뜻한 온기를 즐기려고 태어난 것이 아니지 않느냐?”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명상록’에서 

작은 들풀 하나, 공중의 작은 새, 개미, 꿀벌 같은 천하의 모든 미물들도
각자에게 맡겨진 소임을 수행하면서, 
우주의 질서에 기여하기 위해 각자의 몫을 다하고 있습니다.
매일 매일 내가 세상에 태어난 이유, 즉 소명(calling)을 생각하는
삶이야말로 진정 가치 있는 삶이라 할 수 있습니다.
직업(calling)이 곧 소명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지위가 없다고 
걱정하지 말고, 지위를 
맡을 만한 자질을 갖추었는지 
걱정해야 합니다. 자기를 알아주는 
사람이 없다고 걱정하지 말고, 
알려질 수 있을 만한 실력을 
구해야 합니다. 
(논어)


- 채지희의《오래된 말의 힘》중에서 -


* 자질과 실력을 갖추고
지위에 오르는 것이 최선입니다.
그렇지 못했다면 지위를 가진 그때부터라도 
자질을 높이고 실력을 쌓는 것이 차선입니다.
최선도 차선도 잃으면 그가 속한
공동체가 불행해집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돈을 버는가  (0) 2019.05.10
경청할 때와 흘려들을 때  (0) 2019.05.09
연극 막이 오르면  (0) 2019.05.07
비만 해결  (0) 2019.05.07
녹슨 자전거  (0) 2019.05.04
반응형

뭐가 맞는건지 잘 생각해봐야 한다.

생전에 할머니는 소고기를 좋아하셨고, 장인어른은 오징어회를 좋아하셨다. 한우 안심을 진공포장해서 남해까지 가져가 구워드렸었고, 오징어회를 먹으러 속초를 다녀오기도 했다. 지금은 더 잘해드릴 수 있는데라며 아쉬워 말고 계실때 잘해야한다.

https://news.joins.com/article/23461107

 

소화 잘되라고… 늙은 부모에겐 죽만 주는 자식, 효도일까

오랜 숙환으로 병원을 전전하시던 구순이 넘으신 아버님이 어느 날 스스로 곡기를 끊고 자식들을 불러 ‘집에서 죽게 해다오’라고 자식들에게 부탁하셨단다. 오늘 지인이 와서 조심스레 말하길 ‘그때 가족들이 아버지의 말씀에 동의하고 집에서 임종을 지켜봤으면 어땠을까? 뼈에 가죽만 남은 저 몰골로 살아 있다는 것을

news.joins.com

 

반응형
반응형

항상 쓸데없는 변덕을 부리지 않는 한
적절할 때 생각을 바꾸는 건 약점이 아닌 강점이다.
필요하다면 “내가 틀렸다”라고 말하면서 사람들에게 힘을 실어줘라.
또한 생각을 바꾼다고 해서 자존심이 상하지는 않는다는 걸 명심하라.
“내가 틀렸다. 당신이 옳았다. 고맙다. 미안하다”고 말하라.
- 롭 무어, ‘결단’에서 

윈스턴 처칠 수상은 “발전하기 위해선 변해야 한다,
완벽해지기 위해서도 종종 변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생각을 바꾸는 건 약점이 아닌 강점입니다.
사람들에게 “내가 틀렸다”고 말하면
오히려 그들이 나를 더 신뢰하고, 친밀한 관계도 형성됩니다.
“내가 틀렸다. 당신이 옳았다. 고맙다 미안하다”는 말은 마술 같은 효과를 냅니다.

반응형
반응형

나는 무대에서 
인생의 모든 것을 배웠다. 
막이 오르면 연기는 배우에게 맡겨야 한다. 
그렇지 못하면 배우는 성장하지 못하고 연극은 
망한다. 기업도 마찬가지다. 막이 오르면 경영자는 
사원이라는 배우에게 모든 것을 맡겨야 한다. 
사원 스스로가 감동해 열심히 하지 않으면 
기업은 성장하지 못한다. 
(야마다 아키오, 일본 미라이 공업 창업자) 


- 박준기의《프라이드》중에서 -


* 연극 막이 오르면,
무대에는 배우만 남습니다.
감독도 연출도 작가도 보이지 않습니다.
연극의 성패, 관객을 웃기고 울리는 것은
전적으로 배우의 몫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철저한 준비와 연습이 필요합니다. 언제든
막이 오르면 몰입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그것이 명배우, 명감독입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청할 때와 흘려들을 때  (0) 2019.05.09
지위에 맞는 자질과 실력  (0) 2019.05.08
비만 해결  (0) 2019.05.07
녹슨 자전거  (0) 2019.05.04
외과 의사의 골든아워  (0) 2019.05.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