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왜 책을 읽어야 할까?
1년에 책 한 권 안 읽는 사람이
성인 10명 중 6명이라고 한다. 정보가
흘러넘치는 디지털 시대에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는 뭘까? 독서를 해야 하는 이유는 제대로
읽고 판단하는 능력, 즉 문해력 때문이다. 문해력은
그저 글을 읽거나 단어의 의미를 아는 것을
뜻하지 않는다. 다양한 맥락으로 연결된
자료를 통해 정보를 발굴하고 이해하고
새롭게 해석하여 소통까지 이르는
능력을 뜻한다.


- 김을호의 《결국 독서력이다》 중에서 -


* 문해력은 실력입니다.
세상을 헤쳐가는 막강한 무기입니다.
문해력의 출발은 독서입니다. 그러나 단지 책을 읽고
해독하는 것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우리는 서로 대화를
하면서도 소통의 부재를 느낍니다. 상대가 무슨 말을 하는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늘어갑니다. 왜일까요?
문해력, 청해력의 부족 때문입니다. 문해력은 단숨에
늘어나지 않습니다. 어릴 적부터 훈련이 되어야
가능합니다. 그래서 독서가 필요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건강해 행복해, 그러니 감사해'  (0) 2024.08.30
'아, 좋다!' 하는 기분  (0) 2024.08.29
빛과 어둠  (0) 2024.08.27
당신이 행복하면 나도 행복하다  (0) 2024.08.26
솔밭  (0) 2024.08.26
반응형

고통스러운 일상이라도
늘 고통스럽지만은 않다.
점심까지만 해도 뭐라도 올 것처럼
잔뜩 찌푸렸던 하늘이 언제 그랬냐는 듯
청명하게 갠 오후를 보여 주기도 하지 않은가?
작은 블라인드 틈 사이로 강렬한 햇빛이 파고들더니
그대로 책상 앞까지 가득한 걸 보면
감동 그 자체 아닌가?


- 김범준의 《지옥에 다녀온 단테》 중에서 -


* 모든 것은 양면을 가집니다.
고통이 있기에 영광이 있고, 영광에 탐닉하다
천 길 추락을 경험합니다. 어둠은 빛을, 빛은 어둠을
낳습니다. 모든 것은 가장 알맞은 때에, 알맞은
모습으로 드러납니다. 어려운 국면에서 길이
보이지 않는다면 기다림으로 희망을 갖고,
너무 잘나가는 듯하면 절제와 겸손으로
몸을 낮추어야 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 좋다!' 하는 기분  (0) 2024.08.29
왜 책을 읽어야 할까?  (0) 2024.08.28
당신이 행복하면 나도 행복하다  (0) 2024.08.26
솔밭  (0) 2024.08.26
비교를 하면 할수록  (0) 2024.08.23
반응형

행복도 선택입니다.
행복을 선택하면 행복해지고,
불행을 선택하면 불행해집니다.
선택은 지금 이 순간입니다.
이 순간부터 자신의 행복과
불행이 갈립니다.


- 고도원의 《당신이 행복하면 나도 행복하다》 중에서 -  


* 행복도 선택입니다.
행복을 선택했다면 한걸음 더 나가야 합니다.
나의 행복이 바이러스처럼 번져 다른 사람도 행복하게
하는 것입니다. 나의 행복이 먼저가 아니라 당신의
행복이 우선입니다. 결론은 분명합니다. 당신이
행복하면 나도 행복해집니다.
이타적 행복의 힘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책을 읽어야 할까?  (0) 2024.08.28
빛과 어둠  (0) 2024.08.27
솔밭  (0) 2024.08.26
비교를 하면 할수록  (0) 2024.08.23
참나 리더십  (0) 2024.08.22
반응형

솔밭

 

솔바람이 분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빛과 어둠  (0) 2024.08.27
당신이 행복하면 나도 행복하다  (0) 2024.08.26
비교를 하면 할수록  (0) 2024.08.23
참나 리더십  (0) 2024.08.22
노년의 '회복탄력성'  (0) 2024.08.21
반응형

비교를 하면 할수록
기분만 나빠진다. 하지만 사실 우리는
다른 사람들 삶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잘 모른다.
계속 남과 비교만 하면 본인의 꿈, 자율권, 행복에서
점점 멀어지게 된다. 남과 자신을 비교하다 보면
다른 사람 일에 끼어들게 되고 남의 일에
참견하다 보면 정작 중요한 자기 일은
나 몰라라 하게 된다. 부디 자기
일에만 신경 쓰면서
본인에게 집중하자.


- 트레이시 리트의 《당신은 꽤 괜찮은 사람입니다》 중에서 -


* 누구나 자신만의 향기가 있습니다.
심지어 일란성 쌍둥이도 취문(臭紋)이 다릅니다.
각자는 모두 특별하며 비교 대상이 결코 아닙니다.
그는 그의 우주에서, 나는 나의 우주에서 살아갈
뿐입니다. 그러기에 남과 비교하며 살 필요가
없습니다. 그 시간에 자신을 잘 가꾸어가면
됩니다. 어제의 나와 비교하며
더 정진하는 것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신이 행복하면 나도 행복하다  (0) 2024.08.26
솔밭  (0) 2024.08.26
참나 리더십  (0) 2024.08.22
노년의 '회복탄력성'  (0) 2024.08.21
노화를 물리치려는 폭발적 노력  (0) 2024.08.20
반응형

자신의
참나를 알게 되면,
자기 주변 사람들 속에 어느 정도의
참나가 존재할 때와 그렇지 않을 때를
감지할 수 있다. 참나 리더십이 있는 사람은
쉽게 알아볼 수 있다. "불이 켜지면 누가 집에
있는 것이다"라는 말처럼. 사람들은 그런 사람을
열려 있고 자신감 넘치며 수용적인 사람,
즉 존재감이 있는 사람이라고
묘사한다.


- 리처드 C. 슈워츠의 《내면 혁명으로의 초대 IFS》 중에서 -


* 참나가 되어 보면,
모두가 하나임을 알게 됩니다.
내가 있음으로 우리가 있고, 우리가 있음으로
내가 있습니다. 연결고리가 '열린 마음'입니다.
열려 있어야 다른 사람을 수용할 수 있고, 진정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마음을 닫은 채로
에고가 강화될 때 참나는 드러날 수 없고,
존재감도 리더십도 사라집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솔밭  (0) 2024.08.26
비교를 하면 할수록  (0) 2024.08.23
노년의 '회복탄력성'  (0) 2024.08.21
노화를 물리치려는 폭발적 노력  (0) 2024.08.20
솔바람이 좋아  (0) 2024.08.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