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ID란 광고 용도로 Google Play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고유한 ID로 사용자가 재설정할 수 있습니다. 광고 ID를 통해 사용자는 더 효율적으로 광고를 관리할 수 있으며 앱 개발자는 앱에서 수익을 계속 창출할 수 있는 간단한 표준 시스템을 얻게 됩니다. 사용자는 ID를 재설정하거나 Google Play 앱 내에서 맞춤 광고(이전 명칭: 관심기반 광고)를 선택 해제할 수 있습니다
애플은 IDFA - iOS6 이전에 UDID(Unique Device IDentifier)
설정 > 개인정보보호 > Apple 광고 에 들어가서 설정할 수 있다. ID 확인은 다른 앱을 이용해서 가능.
애드브릭스와 같은 모바일 앱 환경의 분석툴들은 고객사가 운영하는 앱으로부터 광고ID(ADID, IDFA)를 수집하여 분석합니다. 자연스럽게 광고ID가 '개인정보'인가 라는 고객사 문의를 자주 받습니다. 국내 개인정보 보호법 상 개인정보란 '특정 개인을 식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광고ID는 다바이스를 사용하는 최종 이용자가 스스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업계 일반적으로는 개인정보로 인식하지 않습니다.
"It enables users to reset their identifier or opt out of personalized ads (formerly known as interest-based ads) within Google Play apps." - Play Console Help (Advertising ID)
하지만 광고ID에 대한 해석은 고객사의 업종에 따라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고객사 내부 보안팀에 검토 받을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애드브릭스는 앱 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모든 데이터를 삭제하는 API를 함께 제공하고 있습니다.
# python -V
# which python
# ls -al /usr/bin/python
# ls /usr/bin | grep python
# yum install python3
-- CentOS에 여러 버전의 파이썬이 설치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ls /bin | grep python
-- Update-alternatives로 파이썬 버전 등록 및 변경
# update-alternatives --config python
# update-alternatives --install /bin/python python /bin/python2.7 1
# update-alternatives --install /bin/python python /bin/python3.6 2
# update-alternatives --config python
# ls -al /bin/python
# python -V
# yum update
# vim /usr/bin/yum
내용 : #!/usr/bin/python2
# vim /usr/libexec/urlgrabber-ext-down
내용 : #!/usr/bin/python2
# yum update
# yum install python3-dev
select count(watt) from tbl_test_watt_lsh where regdate
between to_timestamp('2016-10-17 07:40:00' , 'YYYY-MM-DD HH24:MI:SS') and to_timestamp('2016-10-17 07:43:00', 'YYYY-MM-DD HH24:MI:SS')
소요시간 : 14ms (3600건) (하루: 20*60*60*24 = 1,728,000)
select count(watt) from tbl_test_watt_lsh where regdate
between to_timestamp('2016-10-17 07:40:00' , 'YYYY-MM-DD HH24:MI:SS') and to_timestamp('2016-10-17 07:43:00', 'YYYY-MM-DD HH24:MI:SS') +interval'1' // 여기선 1초
소요시간 : 14ms (3620건)
select count(watt) from tbl_test_watt_lsh where regdate
between to_timestamp('2016-10-17 07:40:00' , 'YYYY-MM-DD HH24:MI:SS') and to_timestamp('2016-10-17 07:43:00', 'YYYY-MM-DD HH24:MI:SS') +interval'1' HOUR // 여기선 1 시간
소요시간 : 23ms (63340건)
select count(watt) from tbl_test_watt_lsh where regdate
between to_timestamp('2016-10-17 00:00:00' , 'YYYY-MM-DD HH24:MI:SS') and to_timestamp('2016-10-17 00:00:00', 'YYYY-MM-DD HH24:MI:SS') + '1-1 00:00:00' // 여기선 하루 , 인터벌 값을 이렇게 나타낼 수 있다
'10-10' 는 10년 10개월
소요시간 : 433ms (1496720건)
select * from tbl_test_watt_lsh whereto_char(regdate , 'YYYY-MM-DD HH24;MI:SS') > '2016-10-17 07:40:00' AND to_char(regdate , 'YYYY-MM-DD HH24;MI:SS') < '2016-10-17 07:43:00'
역시 to_char 사용하면 망함!
-- 오늘 (date)
select current_date;
-- 현재시각 (timestamp)
select now();
select current_timestamp;
-- 어제/오늘/내일
select
current_date - 1 "어제",
current_date "오늘",
current_date + 1 "내일"
;
-- day of week
select extract(dow from current_date); -- 일요일(0) ~ 토요일(6)
select extract(isodow from current_date); -- 월요일(1) ~ 일요일(7)
-- day of year
select extract(doy from current_date);
-- week of year
select extract(week from current_date);
-- 두 날짜 사이의 날수
select '2010-07-05'::date - '2010-06-25'::d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