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MOOC: Python (파이썬 강좌)

  • 게시자: TeamLab
  • 동영상 71개
  • 조회수 172,959회
  • 업데이트: 3일 전

K-MOOC 파이썬
가천대학교 TEAMLAB에서 운영하는 파이썬 입문용 강좌입니다.
키워드 - 파이썬 Python 입문 강의 강좌 MOOC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BHVuYlKEkUJvRVv9_je9j3BpHwGHSZHz





K-MOOC: 데이터 과학을 위한 파이썬 입문 강좌
http://www.kmooc.kr/courses/course-v1...

본 강의는 교육부의 "K-MOOC 강좌개발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가천대학교 ACE 사업단에 의해 제작되었습니다. 본 강의는 가천대학교 ACE 사업단의 데이터 과학 시리즈 MOOC의 일환으로 제작됩니다. 본 과정은 아래와 같이 구성됩니다.

강의 개요
강좌명: Gachon CS50 - 데이터 과학을 위한 파이썬 입문
강의자명: 가천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최성철 교수 (sc82.choi@gachon.ac.kr, Director of TeamLab)
Facebook: Gachon CS50
강의자료: Docs.com
Email: teamlab.gachon@gmail.com

강의 구성
1주차: 프로그래밍과 파이썬
2주차: 메모리와 변수 (Memory & Variable)
3주차: 화면 입출력과 리스트 다루기 (Console & List Data Type)
4주차: 제어문과 반복문 (Condition & Loop)
5주차: 함수와 파이썬 코드 작성연습
6주차: 파이썬 문자열 다루기 (String)
7주차: 파이썬 자료 구조 (Data Structure)
8주차: 파이썬같은 코드 작성하기 (Pythonic Code)
9주차: 파이썬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Objective-Oriented Programming)
10주차: 모듈과 패키지 (Module & Packages)
11주차: 예외 처리 (Exception Handling)
12주차: 파일 다루기와 CSV (File Handling and Comma Separate Values)
13주차: Web Scraping
14주차: XML과 JSON (eXtensible Markup Languages and JSON)
15주차: What is NEXT?

참고자료
- 점프 투 파이썬, 박응용 지음 , 2014
- 헬로 파이썬 프로그래밍, 워렌 산데,카터 산데 지음 / 김승범, 박준표 옮김 , 2014
- 파이썬 바이블3, 이강성 지음, 2013
하용호, 스타트업 데이터를 어떻게 봐라봐야 할까 , 2014
강철, [PyConKR 2014] 30분만에 따라하는 동시성 스크래퍼 , 2014
정민영, [2D4] Python에서의 동시성_병렬성, 2014
최성철, 산업공학과를 위한 프로그래밍 입문 Part 1(w/파이썬) , 2014
최성철, 산업공학과를 위한 프로그래밍 입문 Part 2(w/파이썬) , 2014
최성철, 산업공학과를 위한 프로그래밍 입문 Code(w/파이썬) , 2014


...


반응형
반응형

‘비전(Vision)’이란 단어는 외국어다. 그래서 생소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 이미 알고 있는 사람들도 용어에 대한 정확한 뜻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간혹 종교적 의미로만 해석하는 사람들도 있다. 용어의 뜻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사전적으로는 ‘미래에 대한 구상, 미래상’이라고만 짧게 기술되어 있다. 좀 더 살펴보면 ‘보는 행위 또는 능력, 보는 감각, 꿰뚫어보는 힘, 마음의 시력’을 뜻함을 알 수 있다. 흔히 상상력, 선견, 통찰력으로 번역되기도 한다. ‘광경, 상상도, 미래도’와 같이 보이는 모습의 의미를 담고 있기도 하다.


서양에서 들어온 말이라 우리말에 딱 들어맞는 용어가 있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원어 그대로 비전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다. 굳이 우리말과 비교해서 쉽게 말한다면 ‘꿈’이나 ‘사명’이라는 단어에 가장 근접하다. ‘목표, 목적, 소명, 소망, 소원, 목표설정’과 비슷한 뜻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동양적으로 바라본다면 ‘삶의 철학, 사상, 가치관, 좌우명’이라는 뜻도 담겨져 있다.


때때로 ‘혼, 신념, 신조, 의지, 믿음, 정신’의 뜻으로 쓰인다. 구어체에서는 ‘어떤 사람의 됨됨이, 미래성, 발전 가능성’으로 사용된다. 그래서 ‘비전 없는 인간’이라고 한다면 앞으로의 미래가 안 보인다는 뜻으로 상당한 욕이 된다.


■ 비전은 목적 달성을 위한 영속적인 지침


비전은 우리 자신의 정체성과도 연관을 맺고 있다. 그래서 우리가 올바른 삶의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자아(自我)에 대해서 좀 더 깊이 있게 알 필요가 있다. 비전은 자아뿐만 아니라 직업, 성공, 행복에 이르기까지 우리 삶의 모든 부분과 연관관계를 맺고 있다.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작가 켄 블랜차드. 그는 《비전으로 가슴을 뛰게 하라》에서 ‘비전은 자신이 누구이고, 어디로 가고 있으며, 무엇이 그 여정을 인도할지 아는 것이다’라고 말한다. 


블랜차드는 비전과 목표를 구분하여 정의 내리고 있다.


비전은 목적을 달성해가는 과정에서 끊임없이 지침을 제공하는 영속적인 것이다. 목표와 비전을 구분하는 한 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해보는 것이다. ‘그 다음에는?’


목표는 달성하고 나면 끝난다. 그러나 비전은 미래의 행동을 위한 뚜렷한 방향을 제시하고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도록 도와준다. 많은 사람들이 목표만 있고 비전이 없는 경우가 많다. 그렇게 되면 목표만 달성되고 나면 모든 게 끝나버리고 만다.


만일 당신이 ‘아름다운 몸매를 가지고 싶다, 넓고 큰 주택을 구입하고 싶다, 아름다운 별장을 가지고 싶다, 고급 승용차를 구입하겠다, 많은 돈을 모으고 싶다, 경영자가 되고 싶다’라고 생각한다면 그것은 비전이 아니라 목표를 말하는 것이다.


만일 이러한 목표를 비전으로 알고 살아간다면 설령 당신이 원하는 것을 성취한다고 해도 만족보다는 오히려 허무함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목표는 그것을 성취하고 나면 또다시 새로운 목표를 수립해서 도전하면 된다. 하지만 비전은 내 삶에서 영원한 생명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출처: http://careernote.co.kr/1455 [정철상의 커리어노트]

반응형
반응형

[FACEBOOK UI] github - facebook UI material



https://github.com/nekomy/nekomy-platform


An open source LMS (eLearning platform) for MOOCs and online courses (like Tutellus.com or Udemy.com with extra features). Tech stack includes PWA & SPA with Facebook's React, Google's Firebase, Slack API and Material UI 



https://github.com/danivegamx/facebook-material


This is a UI version of the main Facebook timeline, using Polymer and webcomponents. The main idea is to make a visual substitution of the react.js view-controllers with the Material Design concept.





...

반응형
반응형

빠른 시작: JavaScript용 Facebook SDK

https://developers.facebook.com/docs/javascript/quickstart



JavaScript용 Facebook SDK의 다양한 클라이언트 측 기능 세트로 다음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사이트에서 좋아요 버튼과 기타 소셜 플러그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사이트에 가입을 꺼리는 요인을 저하시키기 위해 Facebook 로그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Facebook의 그래프 API를 쉽게 호출할 수 있습니다.
  • 소식 공유와 같은 다양한 액션을 수행할 수 있는 대화 상자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 Facebook에서 게임 또는 앱 탭을 빌드할 때 쉽게 통신할 수 있습니다.

SDK, 소셜 플러그인 및 대화 상자는 데스크톱과 모바일 웹 브라우저 모두에서 작동합니다.

이 빠른 시작에서는 SDK 설정 방법을 보여주고 몇 가지 기본 그래프 API를 호출하는 방법을 익혀봅니다. 아직 설정하지 않은 경우 JavaScript 테스트 콘솔을 통해 모든 SDK 메서드를 사용해보고 몇 가지 예제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설정 단계를 건너뛰고 이 빠른 시작의 나머지 부분만 콘솔에서 테스트해볼 수도 있습니다.

기본 설정

JavaScript용 Facebook SDK에는 다운로드하거나 설치해야 하는 독립실행형 파일이 없습니다. 대신 SDK를 페이지에 비동기식으로 읽어들일 HTML에 간단한 JavaScript 정규식을 포함하기만 하면 됩니다. 비동기식으로 읽어들이면 페이지의 다른 요소를 읽어들이는 것을 차단하지 않습니다.

다음 픽셀 코드는 옵션이 가장 일반적인 기본값으로 설정되는 기본 SDK 버전을 제공합니다. 읽어들일 각 페이지의 <body> 태그를 연 다음 바로 삽입해야 합니다.

<script>
  window.fbAsyncInit = function() {
    FB.init({
      appId            : 'your-app-id',
      autoLogAppEvents : true,
      xfbml            : true,
      version          : 'v2.10'
    });
    FB.AppEvents.logPageView();
  };

  (function(d, s, id){
     var js, fjs = d.getElementsByTagName(s)[0];
     if (d.getElementById(id)) {return;}
     js = d.createElement(s); js.id = id;
     js.src = "//connect.facebook.net/en_US/sdk.js";
     fjs.parentNode.insertBefore(js, fjs);
   }(document, 'script', 'facebook-jssdk'));
</script>
    

이 코드는 SDK를 읽어들인 다음 초기화합니다. 직접 만든 Facebook 앱의 ID로 your-app-id 값을 대체해야 합니다. 앱 ID는 앱 대시보드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Chatbot] Python과 Tensorflow를 활용한 AI Chatbot 개발 및 실무 적용 chatbot


도입 

AI Chatbot 소개 

Chatbot Ecosystem 

Closed vs Open Domain 

Rule Based vs AI 

Chat IF Flow and Story Slot 

AI기반의 학습을 위한 Data 구성 방법 

Data를 구하는 법 / Train을 위한 Word Representation 

Data의 구성 / Data Augmentation(Intent, NER) 

자연어처리 위한 AI 적용 방안 

Intent (Char-CNN) / QnA (Seq2Seq) 

Named Entity Recognition (Bi-LSTM CRF) / Ontology (Graph DB) 

Chatbot Service를 위한 Architecture 구성 

Chatbot Architecture 

NLP Architecture 

Web Service Architecture 

Bot builder / Chatbot API 

Test Codes for Chatbot 

실무에서 발생하는 문제와 해결 Tips 

Ensemble and voting / Trigger / Synonym(N-Gram) 

Tone Generator / Parallel processing / Response Speed 

마무리 


[설명 코드] 

Text Augmentation / Slot Bot / QA Bot / Graph DB / Response Generator 




...

반응형
반응형

고양이 셀카 찍어주는 ‘캣스냅’ 



‘캣스냅‘은 고양이 셀카를 찍을 수 있는 앱이다. 움직이는 작은 물체에 반응하는 고양이의 특성을 이용해 고양이가 스스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터치해 사진을 촬영한다. 기기 화면에 빨간 점이 이리저리 움직이는데, 그 점을 고양이가 터치하는 순간 진동과 함께 사진이 ‘찰칵’ 찍히는 방식이다. 고양이에 맞춰 움직이는 빨간 점의 속도나 민감도를 조절할 수 있다.


앱을 쓸 때 주의해야 할 부분은 ‘각도’다. 고양이가 터치하기 쉬우라고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바닥에 놓고 촬영하면 의도치 않게 ‘굴욕샷’만 찍힐 수 있다. 스마트폰 거치대 등을 활용해 꼭 옆으로 세워두는 식으로 촬영하는 걸 추천한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