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1. 매뉴얼(Manual) – 설명서의 뜻이죠

그런데 우리는 메뉴얼 이라고도 표기하다 또는 매뉴얼로 표기하기도 하지요

그러나 맞춤법 표준에 따르면 매뉴얼입니다.

 

2. 콘텐츠(Contents) - 인터넷이나 컴퓨터 통신 등을 통하여 제공되는 각종 정보나 그 내용물. 유ㆍ무선 전기 통신망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문자ㆍ부호ㆍ음성ㆍ음향ㆍ이미지ㆍ영상 등을 디지털 방식으로 제작해 처리ㆍ유통하는 각종 정보 또는 그 내용물을 통틀어 이른다.

 

3. 메뉴(Menu) -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입력 기법의 하나. 화면에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을 표시한다. 명령을 간단한 기호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편리를 제공할 수도 있다.

반응형
반응형

Editing 

 Ctrl + D  줄 삭제
 Ctrl + Alt + 위/아래  줄 복사
 Ctrl + Shift + Enter  현재 줄에 새줄 추가
 Shift + Enter  다음줄에 새줄 추가
 Ctrl + Right

 다음문자로 이동 (Ctrl + Left : 이전 문자로 이동 )

 Ctrl + Shift + /  주석처리 (Ctrl + Shit + \ 주석 풀기)
 Ctrl + /  라인별로 주석처리
 Ctrl + Shift + O  import 정리
 Ctrl + L  원하는 라인으로 이동
 Alt + Shift + 방향키  블록선택하기
 Ctrl + J

 점증적 검색 - Ctrl + J 입력후 원하는 단어 입력하면

  이클립스 하단바에 찍히고 바로 검색 가능

 Ctrl + K  다음 찾기(Ctrl + Shift + K 이전 찾기) - 현재 블럭설정된 단어 찾기
 Ctrl + H  검색 다이얼로그(메서드, 타입, 패키지 등 검색 가능)
 Tab  들여쓰기 (Shift + Tab : 내어쓰기)
 Ctrl + Space  코드어시스트 (키보드 Type3를 쓸 경우에는 왼쪽 Ctrl을 누른 상태에서

  오른쪽 Ctrl을 누르고 왼쪽 Ctrl을 뗀 후에(오른쪽 Ctrl은 누른 상태)

  Space를 눌러준다.)

 Shift + Alt + T  리펙토링 메뉴 띄우기


Navigation 

 Ctrl + Shift + E  에디터안에서 열린 파일간의 이동
 Ctrl + E  에디터안에서 열린 파일간의 이동(작은 레이어로 뜬다.)
 Ctrl + F6  에디터안에 열링 파일간 이동하는데 F6누를때마다 하나씩 순차적으로 넘어감.
 Ctrl + E  퀵 에디터간 이동
 Ctrl + F7  뷰간 전환
 Ctrl + F8  퍼스펙티브 간 전환
 F12  어디서든 에디터로 포커스 됨

 

Information 

 Ctrl + Shift + R  리소스 찾기
 Ctrl + O  레이어로 현재파일의 Outline 보여줌
 Ctrl + T  레이어로 계층구조 보여줌
 Ctrl + Shift + Space  메서드의 괄호안에서 누르면 파라미터 타입 볼 수 있음.
 Ctrl + 1  에러난 곳(빨간 줄 표시)에서 누르면 레이어로 해결방법이 나옴.
 F3  해당 메서드나 클래스가 정의된 곳으로 이동
 Ctrl + Shift + G  해당 메서드, 객체, 변수가 사용(호출)된 모든 곳을 찾는다.


etc... 

 Ctrl + Shift + L  단축키 리스트
 Ctrl + 3  Quick Access
 Ctrl + M  화면 최대화
 Ctrl + W  파일에디터 닫기
 Alt + Shift + X, R  Run on Server
 F11 or Ctrl + F11  최근 실행한 Run 실행

 

 

반응형
반응형

Beginner HTML5, JavaScript, jQuery, Backbone, and CSS3 Resources

http://www.elijahmanor.com/2013/01/beginner-html5-javascript-jquery.html

 

html5 Resources

Javascript Resources

Jquery  Resources

 

Backbone.js  Resources

CSS3  Resources

Feature detection   Resources

Responsive web design  Resources

 

 

 

 

 

 

 

 

 

 

 

 

 

 

 

 

반응형
반응형

Apache Cassandra

http://cassandra.apache.org/

 

Getting Started : http://wiki.apache.org/cassandra/GettingStarted

 

 


카산드라는 구글의 BigTable 컬럼 기반의 데이타 모델과 FaceBook에서 만든 Dynamo의 분산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제작되어
Facebook에 의해 2008년에 아파치 오픈소스로 공개된 분산 데이타 베이스.

기존의 관계형 데이타 베이스와 다르게 SQL을 사용하지 않는 NoSQL의 제품중의 하나이며,
대용량의 데이타 트렌젝션에 대해서 고성능 처리가 가능한 시스템이다.

(High-Scale). 노드를 추가함으로써 성능을 낮추지 않고 횡적으로 용량을 확장할 수 있다.


자바로 작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데이타베이스라는 명칭에 걸맞게 여러 프로그래밍 언어를 지원합니다.
Ruby,Perl,Python,Scala,Java,PHP,C#

데이타간의 복잡한 관계 정의(Foreign Key)등이 필요없고,
대용량과 고성능 트렌젝션을 요구하는 SNS (Social Networking Service)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성능이나 확장성과 안정성이 뛰어나지만 안타깝게도 Global Scale (여러 국가에 데이타 센터를 분리 배치하여 배포하고,
데이타 센타간 데이타를 동기화 하는 요구사항) 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Global Scale이 필요하다면, MySQL기반의 geo replication과 Sharding이 아직까지는 가장 널리 쓰이는 아키텍쳐 같습니다.

Welcome to Apache Cassandra

The Apache Cassandra database is the right choice when you need scalability and high availability without compromising performance. Linear scalability and proven fault-tolerance on commodity hardware or cloud infrastructure make it the perfect platform for mission-critical data. Cassandra's support for replicating across multiple datacenters is best-in-class, providing lower latency for your users and the peace of mind of knowing that you can survive regional outages.

Cassandra's ColumnFamily data model offers the convenience of column indexes with the performance of log-structured updates, strong support for materialized views, and powerful built-in caching.

 

 

 

반응형
반응형

사고 절약의 원리
 
오컴의 면도날은 흔히 '경제성의 원리'(Principle of economy)라고도 부른다. 오컴의 면도날을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어떤 현상을 설명할 때 불필요한 가정을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현대적으로 번역하자면, '같은 현상을 설명하는 두 개의 주장이 있다면, 간단한 쪽을 선택하라'는 뜻이다. 여기서 면도날은 필요하지 않은 가설을 잘라내 버린다는 비유이며, 필연성 없는 개념을 배제하려 한 "사고 절약의 원리"(Principle of Parsimony)라고도 불리는 이 명제는 현대의 과학 이론을 구성하는 기본 지침이 되었다.

 

• 해당 내용은 위키백과에서 인용했음을 밝힙니다.

반응형
반응형

Scaloid - 오픈소스 안드로이드 라이브러리

 

https://github.com/pocorall/scaloid

 

스칼라 언어로 안드로이드 개발의 어려움을 줄여주고자 만들어졌다.

 

Less painful Android development with Scala

Scaloid is a library aimed to simplify your Android code. It makes your code easy to write and understand by leveraging Scala language.

For example, the code block shown below:

val button = new Button(context)
button.setText("Greet")
button.setOnClickListener(new OnClickListener() {
  def onClick(v: View) {
    Toast.makeText(context, "Hello!", Toast.LENGTH_SHORT).show()
  }
})
layout.addView(button)

is reduced to:

SButton("Greet", toast("Hello!"))

Benefits

  • Write elegant Android software
    Scaloid provides a concise and type-safe way of writing Android application.
  • Simple to use
    Check our quick start guide
  • Compatible with your legacy code
    You can use both Scaloid and plain-old Java Android API. You can gradually improve your legacy code.
  • Maintained actively
    Scaloid is a dogfooding software. This is originally created to be used for my own Android apps.

Demos

If you want to see how Scaloid can be used in action, check a Scala port of apidemos app.

Need help using Scala language on your Android project?

There is an out-of-the-box solution. Just fork this project and start your Scala-Android app.

Features

...and many other things! Check the official Scaloid blog for news and announcements.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