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원래 천경자는
매우 섬세하고 풍부한 감수성의
소유자였다. 파라솔 하나로도 자신의 비참한
처지를 생각하며 슬픔에 빠져드는 인물이었다.
인생에 희로애락이 있다면, 기쁜 것은 매우 기쁘게,
슬픈 것은 사무칠 정도로 슬프게 감지하는 성향을 지닌
것이다. 그녀가 세상의 시련을 한꺼번에 직면했을 때
느꼈을 복합적인 감정의 상태를 상상해 보라. 슬프고
애절한 것이 쌓이고 넘치면, 그저 살아야겠다는
오기'만이 남는다. 바로 그 순간, 천경자는
광기에 가까운 힘을 발휘해 우글우글
뱀을 그렸던 것이다.


- 김인혜의 《살롱 드 경성 2》 중에서 -


* 예술은 광기의 소산입니다.
광기가 아니면 그 고통의 긴 터널을 도무지
통과할 수 없습니다. 극한의 상태로 몰렸을 때,
그것이 고통이든 열정이든 내부에서 분출된 엄청난 힘을
작품에 구현해 내는 이들이 있습니다. 그들이 화가, 작가,
음악가, 곧 예술가들입니다. 그 시련의 바닥을 치고 올라
피워낸 오기의 힘이 화폭에서 꿈틀댑니다.
천경자도 그중 한 사람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쁜 사람은 기쁨을  (0) 2025.07.17
마음으로 보고 들으면  (0) 2025.07.16
사랑해야 잘 보이고 잘 들린다  (0) 2025.07.14
문(門)  (0) 2025.07.14
나를 바라보는 또 다른 '나'  (0) 2025.07.11
반응형

쉬운 길만 택한다면
나라는 그릇에 조금만 불편한 것이
채워져도 견디지 못할 것이다. 나를 불편하게 하고
나를 힘들게 하는 것. 그것이 사람이 되었든 상황이 되었든
그것들을 극복했을 때 내가 꿈꾸는 '뭐든 이뤄낼 수 있는'
사람이 될 것이다. 어떤 상황이든 나에게 주어진 환경에
대해 감사할 줄 알자. 그 모든 것이 나를
성장시키는 조력자가 될 테니까.


- 이신우의 《너를 잃고 나를 얻다》 중에서 -


* 삶의 여정에서
의미 없이 다가오는 것은 없습니다.
그럴 만한 이유와 뜻이 반드시 있습니다.
그렇게 다가오는 것 중에 자칫 쉬운 것만 선택하기가
쉽습니다. 바로 이 점을 경계해야 합니다. 고통스럽게
다가오는 것일수록 행운이 숨어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그 고통을 이겨내는 과정에서 얻는
교훈도 큽니다. 내면의 성장도
뒤따라 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윤리'와 '한국형 챗GPT'  (0) 2025.05.16
아픔은 일어난 뒤에 사라진다  (0) 2025.05.16
나도 모르는 게 많다  (0) 2025.05.13
'통찰력의 총합'  (0) 2025.05.12
물은 바다로 흐른다  (0) 2025.05.12
반응형

지금 고통을 겪는 모든 사람은
자신이 저지른 잘못에 대한 벌을 받고
있는 것인가? 아무 잘못 없어 보이는 사람이
왜 저런 끔찍한 괴로움을 겪어야 하는가?
대체 이 세상에서는 왜 악과 불의와,
도무지 그 이유를 알 수 없는
고통이 존재하는가?


- 송민원의 《지혜란 무엇인가》 중에서 -


* "왜 이유없는 고통이 존재하는가?"
오랜 인류 역사에서 참으로 많은 사람들이
하늘에 묻고 울부짖었던 절규의 물음이었습니다.
하지만 인류 중에 그 누구도 끝내 답을 얻지
못했습니다. 다만 오늘도 그 답을 찾아
길을 갈 뿐입니다. 고통 속에서도
자기 길은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디와 마디 사이  (2) 2025.02.05
부모의 무조건적인 사랑과 존중  (0) 2025.02.04
나는 나를 좋아한다  (0) 2025.01.31
순간 몰입  (0) 2025.01.24
때(時)와 정도(正道)  (0) 2025.01.23
반응형

밤중에 치통이 왔을 때다.
야밤에 치통이 오면 무슨 방법인들
마다하겠는가. "이 고통은 고통이 아니다.
이 세상이 허상 인고로 고통도 허상이다. 난
고통 밖에 나와 있다." 이런 말도 안 되는 말로
최면을 걸었다. 치통에는 하느님도 항복한다는
말이 있던가? 없으면 만들 일이다. 하느님도
밤중에 치통이 오면 응급실에 가서
강력 진통제를 맞아야 정답이다.


- 이명선의 《찌질이 아줌마가 보내는 편지》 중에서 -


* 야밤에 찾아온 치통은
경험한 사람만이 그 지독함을 압니다.
하느님도 항복할 정도라는 말을 실감합니다.
세상의 모든 고통은 다 힘듭니다. 흔히 대상포진도
산고의 고통에 비교하고, 결석의 고통도 마찬가지입니다.
도리 없이 진통제에 의존해야 하지만, 고통을 이기는
명상도 있습니다. 통증은 물론 트라우마도
치유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경을 이긴다  (0) 2024.12.26
천국에 대한 생각  (0) 2024.12.26
느린 산책  (0) 2024.12.23
은하수  (0) 2024.12.23
은하수가 보인다  (0) 2024.12.20
반응형

고통 없는 죽음이
콜링인 줄 알았나? 아니야.
고통이 극에서 만나는 거라네.
그래서 내가 누누이 이야기했지.
니체가 신을 제일 잘 알았다고 말일세.
신이 없다고 한 사람이 신을 보는 거라네.
신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정작 신을 못봐.


-김지수의 《이어령의 마지막 수업》 중에서-


* 역사의 진전은
언제나 엄청난 고통을 수반합니다.
그 고통이 너무 커서 '신은 없다'라고 외치는 순간,
바로 그때 '역사의 신'은 비로소 움직입니다.
극도의 고통은 극도의 환희로 바뀌고
깊은 나락으로 떨어지던 역사는
새로운 희망의 창공으로
날아오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이책의 향기  (1) 2024.12.18
밥맛, 차 맛이 돌아왔다  (0) 2024.12.17
역사는  (0) 2024.12.16
내가 받았던 타인의 사랑  (0) 2024.12.13
임종을 목격한 사람  (2) 2024.12.12
반응형

인체는 206개 뼈로
구성되어 있으며 140여 개의
관절로 움직인다. 하루에 관절이
움직이는 횟수만 10만 회 정도라고 한다.
일상적인 움직임에 중요한 관절은 무릎관절,
고관절, 허리 관절이다. 이런 관절들은 다른
관절보다 많이 사용될 뿐만 아니라 외부
충격으로 인해 닳고 가늘어지고
협착되어 결국 퇴행한다.


- 이상모의 《평생 걷고 뛰고 싶다면
생존근육 3가지만 키워라》 중에서 -


* 우리 몸에 있는 206개의 뼈.
140개의 관절. 그중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뼈관절이 바로 무릎관절, 고관절, 허리관절입니다.
특히 고관절은 더욱 중요합니다. 저도 급발진 사고로
고관절을 다쳐 본 경험이 있기 때문에 그 끔찍한
고통과 불편함을 잘 알고 있습니다. 어르신들이
낙상해 고관절을 다치고 타계하시는 경우도
드물지 않습니다. 고관절과 연결된 골반이
틀어지면 몸의 밸런스가 무너지며
극단의 위기를 겪게 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빈낙도(安貧樂道) 수양  (0) 2024.11.22
'왜 하필 나야?'  (0) 2024.11.21
마침내 너를 만나다  (2) 2024.11.19
깨달아야 한다  (0) 2024.11.18
사는 길, 텅 비워야 산다  (0) 2024.11.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