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꿈,
몇 안 되는 미래형 명사.
처음엔 ‘꾸다’라는 동사와 붙어 지내지만
꾸다, 꾸다, 꾸다, 꾸다, 반복하여 주문을 외우면
어느새 ‘이루다’라는 동사와 붙어있다.
- 정철, ‘머리를 9하라’에서

 

‘어떤 말을 만번 이상 되풀이 하면 미래에 그 일이 이루어진다’ 라는
인디언 속담이 있습니다.
TYK 김태연 회장은 ‘집을 나설 때 어디로 가야할지
머릿속에 그리고 있듯이, 자신만의 목표를
늘 머릿속에 담고 이를 30초 안에 말할 수 있어야 한다’ 고 강조합니다.
꿈에서조차 말할 수 있는 확실한 목표가
성공을 일궈내는 마법의 주문이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작은 꿈은 아예 꾸지도 마라.
작은 꿈은 사람들의 피를 들끓게 하는 기적을 만들지 못하며,
따라서 실현되지도 못한다.
-미국 도시 건축가, 다니엘 버넘

 

모든 계획은 곤란한 문제나
변화에 대한 사람들의 태생적인 두려움과 맞서 싸워야 합니다.
작은 계획은 작은 두려움 앞에서
더 작게 조각날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진정한 변화는 오직 크게 꿈꾸고,
원대한 계획을 세울 때에만 가능합니다.
-테스코 전 CEO 테리 리히, ‘위대한 조직을 만드는 10가지 절대 법칙’에서

반응형
반응형
뭘 해도 잘 풀리지 않는다.
아무리 해도 좋은 생각이 떠오르지 않는다.
어디로 가야 할지 알 수가 없다. 스스로가
텅 빈 것처럼 느껴진다. 이런 시기는 아마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누구의 인생에나
있게 마련이다. 나의 인생에도 물론
몇 번인가 있었다. 스무 살 전후의
나날이 특히 그랬다.


- 무라카미 하루키의《잡문집》중에서 -


* 정말 어디로 가야 할지
도무지 알 수 없는 때가 있습니다.
저의 20대도 방황과 절망의 시간이었습니다.
긴급조치 9호로 대학에서 제적당하고, 수배받고,
강제징집 당하고, 이력서조차 받아주는 곳이 없어
절망했습니다. 사랑하는 아내와 전기밥솥 하나 놓고
결혼하고 '우린 먹을 것이 없으니 꿈을 먹고 살자!'
함께 울먹이며 꿈을 이야기했습니다.
꿈을 먹고 살았더니, 그 꿈이
곧 현실이 되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마음의 꽃밭  (0) 2013.03.23
'선택의 여지가 없었어요'  (0) 2013.03.22
기꺼이 '깨지는 알'  (0) 2013.03.20
'꿈춤'  (0) 2013.03.19
고비마다 나를 살린 책  (0) 2013.03.18
반응형

꿈을 놓치지 마라.
꿈이 없는 새는 아무리 튼튼한 날개가 있어도 날지 못하지만,
꿈이 있는 새는 깃털 하나만 갖고도 하늘을 날 수 있다.
-강수진, ‘나는 내일을 기다리지 않는다.’에서

 

과녁을 겨누지 않고 화살을 쏘면 100% 빗나갑니다.
토마스 칼라일의 글을 함께 보내 드립니다.

“명확한 목적이 있는 사람은
가장 험난한 길에서 조차도 앞으로 나아가고,
아무런 목적이 없는 사람은
가장 순탄한 길에서 조차도 앞으로 나아가지 못한다.”

반응형
반응형

듣고 또 듣고,
부르고 또 부른다.
음악은 그저 내 삶이고 생활이다.
음악이 없었으면 나도 존재하지 못했다.
어린 시절 부모님 덕분에 음악을 많이 듣고
자랐다. 오래된 팝송도 자주 들었다. 조금 큰
뒤에는 레코드판을 사모으는 것이 일이 되었다.
수백장의 앨범이 내 방 한구석을 차지했다.
그 앨범들을 들으면서 꿈을 키웠고
결국 꿈을 이루었다.


- 임윤택의《안 된다고 하지 말고 아니라고 하지 말고》중에서 -


* '울랄라세션'의 리더.
그가 책을 내고, '반복의 힘'을 설파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기계적인 반복이 아니라 어제보다 더 좋아지도록
노력하는 반복입니다. 여기서 진정한 예술가가 탄생되고
챔피언이 나옵니다. 그 어렵다는 게티즈버그 연설도
백 번, 천 번만 혼을 담아 듣고 또 듣고, 외우고
또 외우면 어느 순간 '무의식의 무기'가 되어
꿈을 키우고 꿈을 이룰 수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찾습니다  (0) 2013.01.26
창밖의 눈  (0) 2013.01.25
한 시간 명상이 10 시간의 잠과 같다  (0) 2013.01.23
정신적 우아함  (0) 2013.01.22
차가워진 당신의 체온  (0) 2013.01.21
반응형
어떻게 해야 현명하게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까?
처음부터 너무 큰 성공을 목표로 하다 보면
현실감 없는 목표에 주눅이 들어 제대로 시작도
못 해보고 포기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럴 때는
최종 목표로 가는 길 중간 중간에 달성 가능한
작은 목표 지점을 두는 방법이 있다.
작은 목표를 반복하다 보면
마침내는 큰 목표도
달성할 수 있다.

- 노병천의《서른과 마흔 사이 인생병법》중에서 -


* 큰 꿈, 큰 목표는
한순간에 갑자기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수많은 실패와 시련을 거쳐야 하고, 징검다리처럼
중간 중간의 작은 목표와 그 달성의 경험이 필요합니다.
어떤 큰 꿈, 큰 목표가 너무 빨리 이뤄지면 오히려
자신의 발목을 잡는 장애물이 될 수 있습니다.
내 앞에 주어진 작은 일을 지상 최대의
것으로 여기고 최선을 다하는 것,
거기에 모든 답이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맙다, 철없던 순간들  (0) 2012.10.20
'나의 이야기'를 쓰라  (0) 2012.10.19
덕 보겠다는 생각  (0) 2012.10.17
나도 자라고 너도 크고...  (0) 2012.10.16
추억의 기차역  (0) 2012.10.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