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으로 고립되면
왜 몸과 마음이 아플까?
코로나19 팬데믹은 우리로부터 새로운
누군가를 만날 기회를 빼앗았을 뿐 아니라
이미 알고 지내던 사람들과의 관계도 단절시켜 버렸다.
내 경우만 해도 사회적 거리 두기 단계가 조정될
때마다 모임 약속이 생겼다가 취소되기를
반복했고, 그러다 보니 2년이 넘도록
얼굴을 보지 못한 친구도 늘어났다.
- 정수근의《팬데믹 브레인》중에서 -
* 코로나는 실로
많은 사람들을 아프고 병들게 했습니다.
몸이 아픈지 마음이 아픈지 가늠조차 할 수 없고,
통계나 수치로도 잡히지 않습니다. 삶도 멍들었습니다.
사람 사이를 철저히 갈라놓는 '고립'이 근본 원인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답은 분명합니다. 그동안
못만났던 사람들을 부지런히 만나는 것입니다.
고립되었던 시간 만큼 더 열심히 만나고
밥먹고 여행하고 사랑하는 것입니다.
마음
- 왜 몸과 마음이 아플까? 2022.07.05
- 마음과 흙의 공통점 2022.06.28
- 이 세상에서 가장 강한 사람 2022.06.28
- 옹달샘 밤하늘의 구름 2022.06.16
- '마음'을 알아준다는 것 2022.05.31
- 그녀의 손을 잡는 것만큼 즐거운 일은 없다 2022.05.13
왜 몸과 마음이 아플까?
마음과 흙의 공통점
'마음'은 반드시
모든 생각을 현실로 되돌려준다.
흙이 지닌 창조의 힘이 모든 씨앗을
받아들여 곧바로 작업을 시작하듯,
'마음'은 모든 생각을 받아들여
곧바로 작업을 시작한다.
- 어니스트 홈즈의《마음과 성공》중에서 -
* 마음과 흙은 공통점이 있습니다.
둘 다 놀라운 '창조의 힘'이 있습니다.
너무 메말라 쩍쩍 갈라져 있으면 싹을 틔우지
못하는 것도 같습니다. 얼마쯤의 물기를 머금고
늘 촉촉한 상태를 유지해야 마음도 흙도
창조 작업을 원활히 할 수 있습니다.
이 세상에서 가장 강한 사람
이 세상에서 가장 강한 사람
마음에 따라 사람의 모든 기관은 좌우되고 있다.
마음은 보고, 걷고, 굳고, 부드러워지고,
기뻐하고, 슬퍼하고, 화내고, 두려워하고, 거만해지고,
사랑하고, 미워하고, 부러워지고, 사색하고, 질투하고, 반성한다.
그러므로 세상에서 가장 강한 인간은
자기의 마음을 통제할 수 있는 인간이다.
- '탈무드'에서
우리는 우리가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만 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만 될 수 있습니다.
우리는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만 가질 수 있습니다.
무엇을 하거나 무엇이 되거나 무엇을 갖는가는
모두 우리 생각에 달려있습니다. (로버트 쿨리에)
'생활의 발견 > 행복한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장일치라면 결정하지 않는다 (0) | 2022.06.30 |
---|---|
행복해지고 싶다면 선한 일을 하라 (0) | 2022.06.29 |
생각하고, 생각하고, 또 생각하라 (0) | 2022.06.27 |
버릴 줄 아는 지혜 (0) | 2022.06.23 |
성공은 머릿속이 아닌, 한 걸음과 한 걸음 사이에 있다 (0) | 2022.06.22 |
옹달샘 밤하늘의 구름
옹달샘 밤하늘의 구름
하늘을 보는 시간이
점점 는다. 겹겹 산들이 들녘을
둘러쌌는데, 동서남북 능선 어딘가에서
문득 나타나 흐르고 뭉쳤다가 흩어져 사라지는
구름을 집필실 마당에서 온전히 볼 수 있으니,
값진 선물이다. 탁 트인 풍경에 아파트가
단 하나도 없다.
- 김탁환의《섬진강 일기》중에서 -
* 딱 제 이야기 같습니다.
옹달샘 집필실에서 바라보는 밤하늘의
구름, 때로 예술입니다. 신비로울 만큼 아름답습니다.
마침 보름달이 뜬 날, 달 사이에 흐르듯 흩어지듯
지펴오른 구름은 한 폭의 수채화 같기도 합니다.
산등성이 넘어 보이는 것은 달과 구름 말고는
아무것도 없습니다. 그저 멍하니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마음의 평화가 다가옵니다.
'마음'을 알아준다는 것
우리의 일상에서
'마음'이라는 말을 많이 사용한다.
'마음이 아프다, 마음이 편하다, 마음이 괴롭다,
마음이 즐겁다, 마음이 좁쌀같이 좁다, 마음 씀씀이가
넉넉하다, 마음먹기에 달렸다, 마음대로 잘 되지
않는다, 마음이 변했다, 마음이 한결같다....'
이 표현들이 보면, 행복과 불행이 모두
마음의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는 걸
알 수 있다.
- 김종명의《마음 발견의 기술》중에서 -
* 마음을 알아주는 사람
한 사람만 있어도 족합니다.
덜 외롭고 덜 아프고 덜 불행할 수 있습니다.
마음을 알아준다는 것이 마음을 읽어내는 것과
같습니다. 작은 떨림처럼 미세한 기분, 감정, 정서의
상태를 읽어내고 마음을 함께 하는 것입니다.
마음 하나가 통하면 다른 모든 것이
통합니다. 함께 좋아집니다.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를 바꾸고 싶다면 (0) | 2022.06.02 |
---|---|
나무 명상 (0) | 2022.06.02 |
온천을 즐길 때는 잘 먹자 (0) | 2022.05.30 |
'초대'의 마법 (0) | 2022.05.30 |
대가가 되는 5가지 키워드 (0) | 2022.05.27 |
그녀의 손을 잡는 것만큼 즐거운 일은 없다
나에게는 매릴린의
손을 잡는 것 이상의 즐거움은 없다.
나는 매릴린에게 절대 질리지 않는다.
이런 느낌은 중학교 때부터 시작되었다.
사람들은 언제나 점심시간에 우리가 손을 잡고
루스벨트 고등학교 식당에 가는 것을 보고 놀렸다.
우리는 70년이 지난 지금도 그렇게 하고 있다.
나는 이 글을 쓰면서 눈물을 참고 있다.
- 어빈 D. 얄롬, 매릴린 얄롬의 《얄롬 박사 부부의 마지막 일상》 중에서 -
* 대개는,
손을 잡는 것으로
두 사람의 사랑은 시작됩니다.
난생처음 손을 잡았던 그 순간의 떨림이
부부의 인연으로 이어지고, 무려 70년이 지나도
즐거움이 가시지 않는다면 가히 존경받아 마땅합니다.
손을 잡는 것은 사랑을 잡는 것입니다.
사랑하는 마음이 변치 않았음을
거듭 확인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