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상처 입은 동물은
휴식이 가장 좋은 치유법임을 압니다.
지혜는 동물의 몸 안에 있습니다. 우리
인간은 자기 몸에 대한 자신감을 잃었습니다.
우리는 몸에 대해 너무 걱정합니다. 몸이
스스로 치유하도록 허용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쉬는 방법을 모릅니다.


- 틱낫한의《틱낫한 행복》중에서 -


* 때로는
무엇을 열심히 하는 것보다
아무것도 하지 않을 때가 도움이 됩니다.
몸에 통증을 느낄 때는 더욱 그렇습니다.
잠시 멈추라는 신호입니다. 과식,
과로, 과음, 노심초사 등 모든 과잉된
것들을 멈추고 쉬기만 해도
몸은 스스로 치유하기
시작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인은 사방에서 온다  (0) 2025.09.08
망각  (0) 2025.09.08
주는 것이 받는 것  (0) 2025.09.04
모든 것은 신비다  (0) 2025.09.03
숲, 그 치열한 생의 현장  (0) 2025.09.02
반응형

명상은
무언가를 하는 것이 아닙니다.
무언가를 하는 것을 멈추는 것입니다.
따라서 명상은 스스로에게 돌아가기,
또는 스스로를 쉬게 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 루퍼트 스파이라의 《알아차림에 대한 알아차림》 중에서 -


* 명상에 대한
설명과 해석은 매우 많습니다.
가장 쉽고 선명한 설명은 '쉼'(休)입니다.
잠깐 멈춤을 하고 조용히 앉아 들어오는 숨과
나가는 숨을 느끼며 쉬는 것입니다.
고요함이 뒤따르면서 절로
자기 내면을 돌아보게 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혈액의 노폐물과 마음 건강  (1) 2025.08.18
스스로 자신을 바꾼다  (0) 2025.08.18
누구든 자기만의 글을 쓸 수 있다  (1) 2025.08.11
전환  (0) 2025.08.11
영롱한 크리스털이 탄생하듯  (1) 2025.08.08
반응형

아주 중요한 대통령 연설문
초안을 3시간 안에 써야 할 일이 생겼다.
초긴장 상태로 연설문을 쓰고 일어서다가 그 자리에서
쓰러졌다. '아, 사람이 이렇게 죽는구나'라는 것을
느꼈다. 번아웃이었다. 얼마나 지났을까. 의식이
돌아왔을 때 내 귀에 처음 들린 소리는 청와대
정원 숲에서 나는 새소리, 바람소리였다.
그때까지 나는 청와대에서 새소리나
바람소리를 들어본 적이 없었다.
''아, 내가 이걸 놓치고 살았구나"
눈물이 왈칵 쏟아졌다.


- 고도원 윤인숙의 《고도원 정신》 중에서 -


* 놓치고 사는 것이 너무 많습니다.
너무 바쁘게 뛰느라 새소리 바람소리조차
듣지 못하고 삽니다. 물질문명의 소음, 마음의
소음이 너무 크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언젠가 우리는
새소리 바람소리를 듣지 못하는 존재가 됩니다.
이렇게 살아있을 때, 번아웃 되기 전에
잠깐 멈춰 내가 놓치고 사는 것이
무엇인지 돌아보는 게 좋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행, 함께 가는 것  (0) 2023.05.03
역사의 흥망성쇠, 종이 한 장 차이  (0) 2023.05.02
역사  (0) 2023.04.29
우리가 잊고 사는 것들  (0) 2023.04.28
아무리 가져도 충분하지 않다  (0) 2023.04.27
반응형

노래가 시대를 바꾸고
치유해줄 수 있다고 믿는 것은
너무 순진한 믿음일지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노래가 그 시대를 사는 사람들 각자의
마음을 위로해주고, 그렇게 위로받은 마음들이
모여서 시대가 조금씩 치유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해봅니다. 답답한 시대를 살아가는 이
시대를 위로해주는 음반을 꺼내 듣습니다.
미국의 포크 가수 수잔 베가와 블루스
음악가 리아넌 기든스의 음악입니다.


- 최대환의《철학자의 음악서재, C#》중에서 -


* K-팝, BTS에 이어
최근에는 트롯 열풍이 대단합니다.
코로나로 거리두기와 '집콕' 시간이 길어지면서
노래가 이 시대 많은 사람들에게 위로의 시간을
안겨주고 있습니다. 시대가 노래를 부르고, 노래가
시대를 치유하고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인간의 삶이란
늘 노래만 부르며 살 수는 없습니다. 먹고, 자고, 일하고,
사랑도 하고, 여행과 명상도 하고... 그러다가 다시
잠시 쉬며 노래를 들을 때 치유가 일어납니다.
노래도 잠깐 멈춤의 명상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쓰기 근육  (0) 2021.01.13
한국말을 한국말답게  (0) 2021.01.12
모험을 즐거워하자  (0) 2021.01.11
'겹말'을 아시나요?  (0) 2021.01.08
삼간지제(三間之制)  (0) 2021.01.07
반응형


정신과 용어 중
'Temper Tantrum'이라는 말이 있다.
보통 '분노 발작'이라고 번역한다. 자연적 또는
사소한 자극으로 유발되는 분노 혹은 짜증. 주로
욕구가 충족되지 않고 좌절될 때 분노를 폭발적으로
표출하는데, 울거나, 소리 지르거나, 발을 구르거나,
발길질을 하며 뒹굴거나, 펄쩍펄쩍 뛰거나,
숨을 몰아쉬면서 호흡이 가빠지거나,
몸이 뻣뻣해지는 등의 행동으로
나타난다.


- 이효근의《우리는 비 온 뒤를 걷는다》중에서 -


* 화산 폭발의 원인은 다양합니다.
땅속 뜨거운 용암이 여러 지질학적 요인으로
어느 순간 지표면을 뚫고 폭발해 엄청난 재난을
몰고 옵니다. 사람의 내면에도 용암이 가득합니다.
그 불덩이가 우울, 짜증, 분노, 스트레스와 뒤엉켜
'분노 발작'으로 폭발합니다. 폭발하면 늦습니다.
그 전에 멈춤의 훈련이 필요합니다.
휴식과 명상과 감정 이완.
매우 유용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늘구멍  (0) 2020.06.18
'손 씻기'를 반복하면서...  (0) 2020.06.17
아, 그리운 만남  (0) 2020.06.15
위기일 때 더욱 정직하라  (0) 2020.06.14
인적자본, 교육투자  (0) 2020.06.13
반응형

차를 마신다
국화차를 마신다
꽃향이 낯설다고 말하지 않는다
참 좋다고
참 편안하고 여유가 있다고

잠시,
누군가가 떠오르더라도
굳이 말하지 않아도 좋다
애써 말하지 않아도 괜찮다
그럴 때
그냥
향이 참 좋다고 말하면 그만이다


- 심재숙의 시집《장미, 기분이 너무 아파요!》에 실린
시〈향이 참 좋다〉전문 -


* 차 한 잔이 주는 여유.
잠깐멈춤의 참 귀하고 편안한 시간입니다.
여러 어려움과 고뇌와 기억이 엇갈리지만
굳이 말하지 않아도 압니다.
향이 참 좋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0) 2020.02.07
기민하고 차분한 대처와 슬기  (0) 2020.02.07
꿈도 계속 자란다  (0) 2020.02.07
꿈도 계속 자란다  (0) 2020.02.01
인(仁)  (0) 2020.01.3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