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대부분의 사람들은
행복했던 순간이 반복되기를 바라면서,
이전과 마찬가지로 원하는 대상의 경험을
추구하거나 싫어하는 대상적 경험을 회피하려고
합니다. 결국 사람들은 결핍, 탐색, 일시적인
충족이라는 무한한 순환에 중독되어 버리고
맙니다. 그래서 헨리 데이비드 소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조용히 절박한
삶을 살아간다"라고 말하기도
했지요.


- 루퍼트 스파이라의 《알아차림에 대한 알아차림》 중에서 -


* 마라톤을 하다 보면
'러너스 하이'(Runner's High)를 경험합니다.
황홀경, 무아지경의 행복감입니다. 명상하는 사람들도
때로 지복(至福)의 순간을 경험합니다. 그러고는 다시
그 순간의 체험을 갈구합니다. 그러나 같은 경험은
다시 오지 않습니다. 그래서 소로의 말처럼
조용히 절박한 삶의 길을 가게 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의 본성  (0) 2025.08.21
일석오조(一石五鳥)  (2) 2025.08.20
자아 성장과 자기 초월  (1) 2025.08.18
유령(幽靈)  (0) 2025.08.18
지극히 행복한 '플로우'의 경험  (2) 2025.08.18
반응형

명상은
무언가를 하는 것이 아닙니다.
무언가를 하는 것을 멈추는 것입니다.
따라서 명상은 스스로에게 돌아가기,
또는 스스로를 쉬게 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 루퍼트 스파이라의 《알아차림에 대한 알아차림》 중에서 -


* 명상에 대한
설명과 해석은 매우 많습니다.
가장 쉽고 선명한 설명은 '쉼'(休)입니다.
잠깐 멈춤을 하고 조용히 앉아 들어오는 숨과
나가는 숨을 느끼며 쉬는 것입니다.
고요함이 뒤따르면서 절로
자기 내면을 돌아보게 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혈액의 노폐물과 마음 건강  (1) 2025.08.18
스스로 자신을 바꾼다  (0) 2025.08.18
누구든 자기만의 글을 쓸 수 있다  (1) 2025.08.11
전환  (0) 2025.08.11
영롱한 크리스털이 탄생하듯  (1) 2025.08.08
반응형

아픔과 괴로움을
구분할 줄 알면 아픔이 때로
행동을 요청하는 신호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어떤 때는 우리가 당하는 상실과
비극을 그저 받아들여야만 하는 때도 있다.
어느 경우든 아픔은 일어난 뒤에
사라질 것이다.


- 잭 콘필드의《마음이 아플 땐 불교 심리학》중에서 -


* 아픔이 아픔을 불러옵니다.
아픔에 대한 기억으로 더 아플 때가 있지요.
마치 환지통처럼 무형의 아픔에 살이 저립니다.
아픔을 피하지 말고 인정하고 바라보면 사라지기
시작합니다. 더 깊은 괴로움으로
자리바꿈하지 않게 됩니다.
그것이 명상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0) 2025.05.19
'AI 윤리'와 '한국형 챗GPT'  (0) 2025.05.16
쉬운 길만 택한다면  (0) 2025.05.14
나도 모르는 게 많다  (0) 2025.05.13
'통찰력의 총합'  (0) 2025.05.12
반응형

겨울 밥상에
푸른색을 가미하려면 요령이 필요하다.
강낭콩이나 꼬투리째 먹는 청대 완두 무침은
그렇다 치고 고야 두부를 섞은 쑥갓이나 냉이
무침이 꽤 괜찮다. 미리 불려둔 고야 두부를 뜨거운
물에 잘 삶아 식힌 후 물기를 꼭 짜서 가늘게 채를
친다. 이것을 식초, 간장, 설탕, 미림과 함께 조린
다음, 식혀서 참기름으로 버무린다. 여기에 데친
쑥갓이나 냉이를 잘게 채썰기 해 섞는다.
색감도 무척 보기 좋고, 건조식품과
계절의 흙이 어울린, 풍미가
좋은 맛이라고 생각한다.


- 미즈카미 쓰토무의 《흙을 먹는 나날》 중에서 -


* '보기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는
말이 있습니다. 겨울 밥상에 푸른색이 놓이는
정경에 절로 미소가 지어지고 입맛이 다셔집니다.
밥상의 미학입니다. 이왕이면 건강한 아름다움,
'사람 살리는' 밥상에 영양까지 더해지면
금상첨화입니다. 그런 밥상이면 한 끼
식사가 그야말로 명상이고
기도일 것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고 가고  (0) 2025.01.06
연줄  (0) 2025.01.06
왜 비평이 필요한가  (1) 2025.01.02
벌떡 일어난다  (0) 2025.01.02
겨울엔 흙도 잠든다  (0) 2025.01.02
반응형

밤중에 치통이 왔을 때다.
야밤에 치통이 오면 무슨 방법인들
마다하겠는가. "이 고통은 고통이 아니다.
이 세상이 허상 인고로 고통도 허상이다. 난
고통 밖에 나와 있다." 이런 말도 안 되는 말로
최면을 걸었다. 치통에는 하느님도 항복한다는
말이 있던가? 없으면 만들 일이다. 하느님도
밤중에 치통이 오면 응급실에 가서
강력 진통제를 맞아야 정답이다.


- 이명선의 《찌질이 아줌마가 보내는 편지》 중에서 -


* 야밤에 찾아온 치통은
경험한 사람만이 그 지독함을 압니다.
하느님도 항복할 정도라는 말을 실감합니다.
세상의 모든 고통은 다 힘듭니다. 흔히 대상포진도
산고의 고통에 비교하고, 결석의 고통도 마찬가지입니다.
도리 없이 진통제에 의존해야 하지만, 고통을 이기는
명상도 있습니다. 통증은 물론 트라우마도
치유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경을 이긴다  (0) 2024.12.26
천국에 대한 생각  (0) 2024.12.26
느린 산책  (0) 2024.12.23
은하수  (0) 2024.12.23
은하수가 보인다  (0) 2024.12.20
반응형

우리는 익숙한 패턴을 깨고
더 건강하고 나은 삶을 향해 나아갈 수 있다.
지금 당장 세포가 신나게 춤을 추며 활짝 웃고
있다고 상상해보라. 더 좋은 방법은 실제로
춤추고 웃으며 몸속 세포들도
나와 똑같이 하고 있다고
상상하는 것이다.


- 에릭 프랭클린의 《세포 혁명》 중에서 -  


* 명상의 기법 중에
'심상화(心象化) 명상'이 있습니다.
마음속에 생각으로 상을 떠올려 시각화하고
그것을 현상화하는 작업은 단지 상상에 그치지
않습니다. 세상의 모든 것은 생각으로부터
생성되었습니다. 세포가 춤추며 웃고
있다고 상상해 보세요. 일상의 삶도
그렇게 될 것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깨달음이란  (0) 2024.12.04
누군가를 사랑하게 되면  (0) 2024.12.03
첫눈  (0) 2024.12.02
손짓 하나만으로도  (0) 2024.11.29
영원한 연인  (0) 2024.11.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