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이 모든 것의 최종 목표는
단 하나, 바로 내면의 평온함을 찾는 것이다.
인생에서 어떤 일을 경험하든, 무슨 일이 벌어지든,
어떤 상황에서도 마음속 평온함을 유지해야 한다.
그것이야말로 인생의 궁극적인 목표다.


- 다리우스 포루의 《가장 중요한 생각만 남기는 기술》 중에서 -


* 어떤 상황에서도
내면의 평온함을 유지하는 것,
이것이 바로 명상이며 깨달음입니다.
삶의 파도가 드높을 때, 바람이 거세게 휘몰아칠 때,
그때마다 태풍의 눈처럼 고요함을 지키는 것, 그저
그 모든 것이 오고 감을 지켜보는 것, 그것을
지켜보는 '나'를 알아차리는 것,
이것이 명상의 핵심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흥행이 잘 되는 연극  (0) 2024.06.27
신체 접촉, 장년층에 더 좋다  (0) 2024.06.26
한글학자 주시경('주보따리')  (0) 2024.06.24
대죄(大罪)  (0) 2024.06.24
남 탓, 날씨 탓  (0) 2024.06.21
반응형

사랑하는 대상이
둘 이상인 경우에도 순위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내가 두 아이를
사랑하는 마음에도, 두 아이 자체에도 순위는 없다.
물론 자기 아이들이라고 해서 언제나 순위가 없는 것은
아니다. 박경리의 소설 <김약국의 딸들>에서, 김약국은
다섯 명의 딸 중에 막내딸 용혜를 가장 사랑하여
임종을 앞두고 '노오란 머리칼이 물결치는'
용혜를 오래오래 보고 있었다.


- 장혜영의 《사랑과 법》 중에서 -


* 열 손가락 찔러 안 아픈 것이 없다 하나
사랑에도 순위가 있습니다. 임종에 이르면
그 순위가 나타나기 마련입니다. 명상 기법 중에
'가상의 문'이 있습니다. 이 문을 통과할 때마다
자신이 가장 소중히 여기는 것을 내놓아야만
합니다. 사람들은 망설입니다. 무엇을 먼저
내놓아야 할까... 마지막 죽음의 문 앞에서는
통곡을 합니다. 끝까지 지켰던 것을
내줘야 하기 때문입니다.
'막내딸 용혜'마저도.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 탓, 날씨 탓  (0) 2024.06.21
평화의 길  (0) 2024.06.20
내게 맞는 책  (0) 2024.06.18
천천히 생각하기  (0) 2024.06.17
빛나는 별  (0) 2024.06.17
반응형

기쁨은
명상 수행 상태에서 느낄 수 있는
기분 좋은 쾌감이나 즐거움 등을 뜻한다.
호흡에 집중하는 훈련을 해서 호흡을 통해
몸 전체를 느끼게 되고 나아가 몸의 작용을
고요하게 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르면
'아, 좋다!' 하는 기분이 느껴진다.
이게 기쁨이다.

- 김주환의 《내면소통》 중에서 -


* 삶의 절정이 기쁨입니다.
긍정의 꼭짓점, 명상의 지향점에 기쁨이 있습니다.
'아, 좋다' 하는 순간 두려움과 괴로움도 사라집니다.
몸과 마음의 통증과 고통도 눈녹듯 녹아 버립니다.  
성경은 '항상 기뻐하라'고 명령합니다. 성령의
아홉가지 열매의 하나도 '희락'(기쁨)입니다.
그 기쁨의 시작점이자 영적 훈련장이
자신의 내면에 있습니다.
그래서 명상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깨비와 아이들  (0) 2024.05.16
상위 자아(上位 自我)  (0) 2024.05.14
5월, 초록이 눈부시다  (0) 2024.05.14
대량해고를 바라보는 사회적 시선  (0) 2024.05.10
우주의 법칙  (0) 2024.05.09
반응형

나만이 아니다.
시골 아낙들은 하나같이
산과 들에 자기만의 밭을 가지고 있다.
2월 말이나 3월 초에 뜯는 씀바귀와 냉이,
고들빼기를 시작으로 여러 가지 밭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어디에 어떤 밭이 있는지 잘 알고 있다. 불문율일까?
시골 사내들은 좀처럼 가까운 산이나 들의 나물 밭에는
가지 않는다. 그쪽은 아낙네들에게 주고 그들은 더 멀고,
깊고, 높은 산으로 간다. 그들은 버섯에도 밝다. 어디에
송이밭이 있고, 능이밭이 있는지 안다. 노루궁둥이버섯이
어느 나무에 나는지 안다. 언제 가야 싸리버섯을
만날 수 있는지 안다.


- 최성현의 《무정설법, 자연이 쓴 경전을 읽다》 중에서 -


* 자기 텃밭이 없어도 됩니다.
산과 들이 모두 자기만의 텃밭입니다.
정원을 가꾸지 않아도 됩니다. 산과 들이 정원입니다.
이 원리를 깨친 시골 아낙들은 언제나 넉넉하고 풍요롭습니다.
나물과 버섯을 뜯으면서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몰입합니다.
몰입하는 그 시간이 다시없는 보람이고 기쁨입니다.
그들에게는 굳이 사원이나 아쉬람에 가서 기도나
명상할 일이 없습니다. 온 자연이 '자기 밭'이고
자기만의 명상터이기 때문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숨  (0) 2024.05.07
색종이 접는 기술  (0) 2024.05.03
영혼이 우리를 설레게 한다  (0) 2024.05.02
역경  (0) 2024.04.30
자기애(自己愛)  (0) 2024.04.29
반응형

사람들은
이 세상이 더없이 변한다고 느끼며
자신이 물결치는 대로 표류하고 있다고 느낀다.
이는 불안을 야기한다. 이 세상이 덧없는 세상이면,
거기서 살아가는 나 또한 아무 의미 없는 존재가
된다. 이 때문에 정말 이 세상이 아무 의미 없는
곳이면 어쩌나 하는 일말의 불안이
잠재해 있는 것이다.


-강기진의 《50에 읽는 주역》 중에서-


* 살다 보면  
일말의 불안감이 스멀스멀 밀려오는 때가
있습니다. 덧없는 세상에서 덧없이 소멸되어가는
것은 아닌가 하는 허망함도 느낍니다. 누구든 자신이
의미 없는 존재임을 느낄 때는 뜻 모를 불안감과
두려움에 휩싸입니다. 나는 누구인가? 나의
존재 의미는 무엇인가? 나 역시 덧없이
소멸되어 가는가? 이와 같은 질문은
인간을 더 깊은 명상으로 이끕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침묵  (0) 2024.04.29
선물을 주는 기쁨  (0) 2024.04.26
사람이 없는 사람  (0) 2024.04.24
하늘과 땅의 기운  (0) 2024.04.23
저기 엄마가 걸어오네  (0) 2024.04.22
반응형

단식을 하면
육체는 소화시킬 일이 없어진다.
그 기간에 육체는 죽은 세포와 각종 독성 물질을
밖으로 배출하는 일을 한다. 그대가 아무것도 먹지
않아서 육체가 아무것도 소화시킬 일이 없을 때,
육체는 스스로 청소를 시작한다. 그 과정은
자발적으로 일어나며, 육체는 불필요한
모든 것을 밖으로 배출한다.


-오쇼의《바디 마인드 밸런싱》중에서-


* 단식을 하면
놀라운 일을 경험하게 됩니다.
여러 가지 명현 현상도 체험합니다.
혀는 백태가 끼고, 구취가 심해지며, 먹은 것이
없는데도 배설물이 많아집니다. 몸 안에서 자체 정화가
일어나는 것입니다. 명상도 이와 같습니다. 명상하는
방에서는 엄청난 악취들이 나올 때가 있습니다.
몸에서도 끈적한 땀들이 배어 나옵니다.
단식은 몸의 명상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행을 바라는 사람들  (0) 2024.03.25
눈깔사탕과 다이아몬드를 바꾼 사람들  (0) 2024.03.22
남들의 잘못 때문에  (0) 2024.03.20
표면 감정, 심층 감정  (0) 2024.03.19
머리를 쥐어짜며 버텨본다  (0) 2024.03.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