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나는 이 회사를 25년 동안 경영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나는 아직도 하루 한 시간 동안

세계와 시장에 대해 공부하고 있다.

나는 배우지 않거나 학생이 아닌 사람은

매순간 퇴보한다고 생각한다.

- 블랙 록 (Black Rock) 래리 핑크(Larry Pink) 회장


급격한 변화의 시대에 새로운 관점을 받아들이고,

과거의 사고방식을 매일 매일 깨뜨리지 못하는 사람은

매순간 퇴보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리더가 끝없이 공부하지 않는 조직 역시

퇴보하고 있는 조직입니다.

변화무쌍한 세상을 살아가는 우리 모두는 평생 학생이 되어야 합니다.



.

반응형
반응형

“할 줄 아는 것만 하면,

넌 지금보다 나아지지 못해.”

(If you only do what you can do,

you’ll never be more than you are.)

- 영화 쿵푸팬더 대사 중 


하던 것만 하면 하던 것만 알게 되고,

달라지지 않고 변화하지 않으면 발전할 수 없습니다.

(이미도, ‘독보적 영어책’에서 인용)

어제와 똑같은 일을 어제와 똑같은 방식으로 계속하면

어제와 똑같은 결과만 나올 뿐입니다.

새로운 모험, 잘 모르는 일, 익숙하지 않는 방법이 나를 키웁니다.



.

반응형
반응형

변화는 삶의 법칙이다.

과거와 현재만을 고집하는 사람은

틀림없이 미래를 놓치고 말 것이다.

- 존 F 케네디


촌철활인 한치의 혀로 사람을 살린다!

많이 알수록, 많이 가질수록 과거에 매몰되어

현재를 지키려 안달합니다.

그러나 그것 때문에 미래를 잃어버리게 됩니다.

버리지 않고는 결코 새로운 것이 들어설 수 없습니다.

더 많이 가지려면 더 많이 버려야 합니다.

과거를 버려야 미래의 주인이 됩니다.



.

반응형
반응형

변화가 있었다면, 

아버지의 이미지는 더 실제적이고 

온전하게 되었다. 아버지는 여전히 나에게 

실망과 상처를 준 사람으로 느껴졌다. 그러나 

아버지 속에 있는 강점과 장점도 볼 수 있게 되었다. 

확신하건대, 내가 아버지에 대해 가지게 된 새로운 

이미지는 현실에 좀 더 가까운 것이었다. 



- 데이비드 스툽의《부모를 용서하기 나를 용서하기》중에서 -



* 아버지도 변해야 하지만

자식들도 많이 변화해야 합니다.

아버지를 바라보는 시선이 바뀌면

아버지의 삶에 대한 생각도 바뀌게 됩니다. 

아버지로부터 받은 실망과 상처도 강점과 장점으로 

받아들일 수 있게 됩니다. 부모를 용서하는 것이 

나를 용서하는 것이고, 부모를 사랑하는 것이 

나를 사랑하는 것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복한 때, 불행한 때  (0) 2017.02.13
'강렬한 삶'의 첫째 조건  (0) 2017.02.13
혼자서 외로이 조용한 시간  (0) 2017.02.09
기억과 기록  (0) 2017.02.07
첫 친구에게  (0) 2017.02.06
반응형

'완전한 허용'의 상태에 있을 때
가장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그게 어떤 모습이든 그저 자기 자신이 되라.
살아있는 느낌이 들게 하는 것이라면
무엇이든 받아들여라.


- 아니타 무르자니의《그리고 모든 것이 변했다》중에서 -


* '완전한 허용'은
모든 것을 받아들인다는 뜻입니다.
'내가 살아있다'는 것을 털끝 하나까지도
온전히 느끼고 받아들일 때 우리는
더 잘 살 수 있습니다.



.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거는 바꿀 수 없다  (0) 2017.02.06
천재와 '나무 타기'  (0) 2017.02.03
고리와 고리  (0) 2017.02.01
천륜(天倫)  (0) 2017.01.31
엄마의 사랑, 엄마의 형벌  (0) 2017.01.31
반응형

네 살 아들이 스마트 폰으로 게임을 하다가
fail’이 뜨자 좋아했다.
의아해진 아버지가 묻는다.
fail이 무슨 뜻인지 아니?’
‘응, 아빠, 실패라는 뜻이잖아.’
‘그러면 실패가 무슨 뜻인지는 아니?’
‘그럼, 아빠. 다시 하라는 거잖아’
- 김연수 ‘소설가의 일’에서


우리 모두는 변화하지 못하면 점점 더 나락으로 떨어지는
문명사적 대 전환기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즉각적 변화만이 우리의 살길입니다.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새로운 도전을 막고 있습니다.


우리 사회에 무엇보다도 시급한 것이 바로,
‘실패를 즐기고 장려하는 문화’로의 신속한 이행입니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