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빈센트 때문에
역마살이 도진 거예요.
여행을 떠나지 않으면 도저히
나을 수  없는 마음의 병에 걸려버린 거죠.
하지만 이런 마음의 병은 몇 번이고
다시 걸리고 싶은 아름다운
고통이기도 해요.


- 정여울의 《끝까지 쓰는 용기》 중에서 -


* 마음의 병은
병원이나 약으로 안됩니다.
어디론가 훌쩍 떠나야 낫습니다.
작가들도 글을 쓰다 막힐 때는 원고 뭉치를 들고
어디론가 떠나곤 합니다. 떠나면 써집니다.
마음의 병도 떠나면 낫습니다.
아름다운 고통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악  (0) 2025.03.24
매력적인 목소리  (0) 2025.03.21
악취 대신 향기를  (1) 2025.03.19
과감하게 나갈 수 있도록  (0) 2025.03.18
내 영혼이 지칠 때  (0) 2025.03.17
반응형

병이 있으니
운동한다고 생각하게 되면,
내 잠재의식 속에 병이 자리 잡게 됩니다
아무리 몸에 좋은 운동을 하더라도 병이란
잠재의식이 방해꾼처럼 훼방을 놓아 운동
효과를 쓸모없게 만듭니다. 그러니 운동할
때는 어떤 운동이라도 좋아하는 걸
골라서 하세요. 마음은 놀이나
게임하듯 즐겁게 가지고요.


- 전홍준의 《보디 리셋》 중에서 -


* 병이 있으니 운동을 한다?
그러면 늦습니다. 싫어하는 운동을
억지로 한다? 그것도 옳지 않습니다.
운동은 일이나 노동이 아닙니다. 일과 노동은
고되고 피곤하지만 놀이는 지치지 않고 즐겁습니다.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돈을 써가면서 하는 것이
놀이입니다. 운동도 놀이처럼 하면
다가오던 병도 물러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년의 사랑, 영원한 사랑  (0) 2024.09.23
저항  (0) 2024.09.23
인생의 축(軸)  (2) 2024.09.23
사슬  (0) 2024.09.14
위험한 징조, 희망의 징조  (0) 2024.09.13
반응형

진실로 치유되려면
몸과 마음, 영혼까지 모두
포함되어야 합니다. 만일 질병을
'치료'하는 데 그치고 그 병을 에워싸고
있는 감정적, 정신적 문제를 돌보지 않는다면,
우리는 재차 병을 앓을 것이 분명해요.


- 루이스 헤이의 《긍정 수업》 중에서 -


* 병을 다시 얻는 이유는 많습니다.
가장 큰 요인은 병의 근원적 치료, 곧 병의 뿌리를
뽑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특히 눈에 보이지 않지만
감정적, 정신적, 정서적 치유를 제대로 해야
재발을 막을 수 있습니다. 진정한 치유,
전인적 치유는 육체적 물질적 차원에
국한해서는 안 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우소(解憂所)  (0) 2024.07.04
아이는 어른의 거울이다  (0) 2024.07.03
기다리는 마음  (0) 2024.07.01
낌새. 느낌이 온다  (0) 2024.07.01
인도의 강압적 인구 억제 정책  (0) 2024.06.28
반응형

무엇이 행복일까?
원하는대로 되어야 행복일까
아파트 평수만큼 행복이 커질까

불행하지 않으면 행복한 것이다
아프지 않으면 건강한 것처럼

- 이규초의 시집 《사랑에 사랑을 더하다》 에 실린
  시 〈행복〉 전문 -


* 어둠을 몰아내려 애쓸 것 없습니다.
작은 촛불을 켜서 빛을 불러오면 어둠은 저절로
사라집니다. 빛의 부재가 어둠이고
병의 부재가 건강입니다.
불행의 부재가
행복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키부츠의 이스라엘 아이들  (0) 2023.09.13
사람 보는 눈이 좋아서  (0) 2023.09.12
부끄러움  (0) 2023.09.11
너무 슬픈 일과 너무 기쁜 일  (0) 2023.09.11
'스몰 트라우마'  (0) 2023.09.07
반응형

당신은 명상,
에너지 치유 그리고 지압,
마사지, 태극권, 요가, 그리고 다른 형태의
신체 운동이 포함한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이미 궁극적인 치유자가 자신 안에 있다는
것을 알고 있거나, 혹은 깨닫게 될 것이다.
이 범주에 속하는 사람들은 사실 거의
병에 걸리지 않는 사람들이다.


- 안드레아스 모리츠의《건강과 치유의 비밀》중에서 -


* 병은 반드시 원인이 있습니다.
어떤 원인의 결과가 병으로 나타납니다.
물론 도무지 원인을 알 수 없는 병도 있습니다.
하지만 잘 들여다보면 많은 전조가 이미 있었음을
알게 됩니다. 전조가 보일 때, 또는 전조가 나타나기 전에
몸 관리, 마음 관리를 열심히 하게 되면 다가오던 병도
물러나게 됩니다. 생활 습관을 조금만 바꾸어도
병에 걸리지 않는 사람이 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겹말'을 아시나요?  (0) 2021.01.08
삼간지제(三間之制)  (0) 2021.01.07
아하! 실마리를 찾았어요  (0) 2021.01.05
새해, 다섯 가지 질문  (0) 2021.01.04
세상 모든 사람이 날 좋아한다면  (0) 2021.01.04
반응형

인간의 몸에는
병에 걸리도록 설계된 프로그램은 없지만,
완벽한 평형 혹은 균형 상태를 유지하면서 균형이
무너졌을 때 다시 균형을 잡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많다. 건강해지려는 것은 인간의 본성이지만
이러한 프로그램들이 효과적으로 작동하는
전제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은
우리가 해야 할 일이다.


- 안드레아스 모리츠의《건강과 치유의 비밀》중에서 -


* 병에 걸리는 것도 '나'고
병을 이겨내는 것도 '나'입니다.
몸의 균형을 잃었을 때 병에 걸리고
몸의 균형을 다시 찾았을 때 병을 이겨낼 수
있습니다. 다른 사람이 대신할 수 있는 일이
아닙니다. 전적으로 나의 몫입니다.
완벽한 균형 상태 유지가
'나'를 살립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잠깐의 여유  (0) 2020.11.23
신입사원들의 '성급한 판단'  (0) 2020.11.20
'희망은 격렬하다'  (0) 2020.11.18
음악이 중풍 치료에도 좋은 이유  (0) 2020.11.17
세포 재생, 세포 파괴  (0) 2020.11.1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