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주는 덕이 바탕이 되어야 하고, 덕은 재주를 통솔해야 한다.
예부터 재주와 덕을 겸비한 사람을 성인이라 하고,
재주도 덕도 없는 사람을 어리석은 자라 한다.
덕이 재주보다 앞서는 사람을 군자라 하고
재주가 덕을 앞서는 자를 소인이라 한다.
- 사마광, ‘자치통감’에서
유명한 덕승재(德勝才謂之君子)라는 한자성어가 나오는 대목입니다.
예나 지금이나 따뜻함, 포용, 배려, 존중, 감사, 공감이 재주와 실력을 이깁니다.
특히나 리더에게 덕은 필수 자질입니다.
리더는 ‘내가 잘해서 성과를 내는 사람이 아니라,
다른 사람을 움직여 그들로 하여금 탁월한 성과를 창출하게 하는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성과
- 덕으로 재주를 통솔해야 한다 2019.10.16
- 사람을 사랑할 줄 아는 조직이 성과가 높다 2019.10.01
- 타인을 통제하면 사람을 잃는다 2019.08.09
- 목표가 높을수록 성과도 높다 2019.05.16
- 칭찬을 많이 받을수록 성과가 올라가고 이직율은 감소한다 2019.03.19
- 위험이 클수록 성과와 기쁨도 크다 2019.03.13
덕으로 재주를 통솔해야 한다
사람을 사랑할 줄 아는 조직이 성과가 높다
좋은 경영은 대체로 사랑의 문제다.
그 단어가 거북하다면 보살핌이라고 불러도 좋다.
왜냐하면 적절한 경영은 조종하는 게 아니라
보살피는 일이기 때문이다.
- 제임스 오트리
스타벅스 하워드 슐츠 회장은 “사랑, 인간애, 겸손을
성과 중심적 조직에 접목 시키세요.
사랑, 인간애, 겸손을 성과 중심적 조직에 녹여낼 수만 있다면
누구도 우리를 이길 수 없습니다.”라고 말합니다.
얼핏 이익과 사랑은 양립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그러나 직원, 고객, 주주 모두 사람이기에 이들을 위해 최선을 다해줄 때
자연스럽게 이익도 따라오게 되어있습니다.
'생활의 발견 > 행복한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제하고 싶다면 통제권을 내어주라 (0) | 2019.10.05 |
---|---|
삶의 이유를 아는 사람은 삶의 방식은 어떻게든 견딜 수 있다 (0) | 2019.10.02 |
더 배우려고 하는 이들이 세상을 차지한다. 학력(學力) (0) | 2019.09.30 |
스트레스는 좋은 것이다 (0) | 2019.09.27 |
도움을 기꺼이 받아들여라 (0) | 2019.09.26 |
타인을 통제하면 사람을 잃는다
사람을 너무 통제해서는 안 된다.
인간은 통제를 하면 평소보다 더 많은 실수를 저지른다.
타인을 통제하면 잃는다.
일단 그의 신뢰를 잃고 다음으로 그의 능력을 잃는다.
연신 어깨 너머로 훔쳐보며 감시를 해봤자
얻는 것보다는 잃는 것이 더 많다.
- 헤닝 백, ‘틀려도 좋다’에서
통제하면 머슴이 됩니다. 믿고 맡기면 주인으로 거듭납니다.
믿음이 사람을 키웁니다.
상사가 나를 믿고 있다는 느낌이 주는 힘은 실로 막대합니다.
사람은 신뢰를 주면 성과로 보답합니다.
'생활의 발견 > 행복한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힘들다고 말하면 더 힘들어진다 (0) | 2019.08.13 |
---|---|
인간은 본래 성공하도록 만들어졌다 (0) | 2019.08.12 |
항상 초심을 유지하라 (0) | 2019.08.08 |
우리는 한 일 보다 하지 않은 일을 더 많이 후회한다 (0) | 2019.08.07 |
틀려도 괜찮다. 지적받지 않으려고 애쓰지 마라 (0) | 2019.08.07 |
목표가 높을수록 성과도 높다
힘든 목표를 추구하는 사람은 쉬운 목표를 추구하는 사람보다
성공 가능성은 낮지만 더 높은 성과를 일관적으로 보여주었다.
도전적인 목표를 세운 근로자는 더욱 생산적일 뿐만 아니라,
더 높은 열정과 동기로 업무에 임한다.
그리고 구체적이고 도전적인 목표설정은 업무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이로써 더욱 긍정적인 측면을 발견하도록 도움을 준다.
- 존 도어, ‘OKR’에서
에드윈 로크의 조사결과 목표가 높을수록 성과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구체적으로 정의된 어려운 목표가 생산성을 높여줍니다.
도전적인 목표는 위험하지만, 그 보상은 위험을 무릅쓸 만한 가치가 있습니다.
마음을 불편하게 만드는 힘든 목표가 우리를 성장시킵니다.
'생활의 발견 > 행복한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끈기는 두뇌, 가문, 인맥보다 더 중요하다 (0) | 2019.05.20 |
---|---|
실수는 최고의 선물이다 (0) | 2019.05.17 |
갈등이 좋은 아이디어를 불러온다 (0) | 2019.05.15 |
사람은 나를 알아주는 사람을 위해 목숨을 건다 (0) | 2019.05.14 |
위대한 경영자는 위기를 반긴다 (0) | 2019.05.13 |
칭찬을 많이 받을수록 성과가 올라가고 이직율은 감소한다
반면 칭찬의 횟수는 실질적인 영향을 미친다.
한 직원이 한 분기에 세 차례 이상 칭찬을 받을 때 다음 평가에서
그들의 성과 평가가 크게 상승했다.
그리고 한 분기에 네 번 이상 칭찬과 인정을 받을 때
그 직원이 1년 후 같은 직장에 머물 가능성은 96%로 늘어났다.
- 크리스티나 홀
분기당 한 두번 칭찬 받을 때의 성과와 이직율은
그 전과 비슷하다고 합니다.
그러나 세 번 혹은 네 번 받게 되면 놀랍게도
성과가 크게 올라가고 이직율은 현저히 떨어진다 합니다.
네 번 이상 칭찬을 받는 직원은 동료에게 베푸는 칭찬횟수가
두 배로 늘어났다고 합니다.
사람들은 네 번 이상 칭찬 받을 때 칭찬 생산자가 됩니다.
...
'생활의 발견 > 행복한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꿈에 압도되지 않으면 그 꿈은 작은 것이다 (0) | 2019.03.21 |
---|---|
협력할 줄 아는 사람이 살아남는다 (0) | 2019.03.20 |
파괴와 폐허가 새로운 창조의 씨앗이 된다 (0) | 2019.03.18 |
리더는 누리는 자리가 아니라, 섬기고 봉사하는 자리다 (0) | 2019.03.16 |
편안하게 반대할 수 있는 문화 만들기 (0) | 2019.03.14 |
위험이 클수록 성과와 기쁨도 크다
인생에서 최대의 성과와 기쁨을 수확하는 비결은
위험한 삶을 사는데 있다.
위험하게 살아라.
나를 죽이지 않는 것은 나를 더욱 강하게 만든다.
- 프리드리히 니체
니체의 역경 예찬 글 모아보았습니다.
‘악천후나 폭풍을 겪지 않고는 큰 나무로 자랄 수 없다.
온갖 불행과 역경은 나약한 인간에게는 독이지만
강인한 사람에게는 위대한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는 자양분이다.
길이 험하면 험할수록 가슴이 뛴다.
그대의 운명이 평탄하기를 바라지 말고 가혹할 것을 바라라.’
...
'생활의 발견 > 행복한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더는 누리는 자리가 아니라, 섬기고 봉사하는 자리다 (0) | 2019.03.16 |
---|---|
편안하게 반대할 수 있는 문화 만들기 (0) | 2019.03.14 |
이익 극대화 목표로는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지 못한다 (0) | 2019.03.12 |
길을 잃고 적극적으로 방황하는 법을 배우자 (0) | 2019.03.11 |
괴짜라고 불리는 것은 위대함의 대가다 (0) | 2019.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