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숲은 더없이 아름답고
평화로운 공간이지만, 동시에
인간의 삶 못지않게 치열한 생의 현장입니다.
숲의 한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모든 생명은
성실하고 기발해야 합니다. 주어진 삶에
최선을 다하고, 독창적인 전략과 방법을
찾아낸 존재들만이 숲 공동체의
주인이 될 수 있습니다.


- 김용규의《어제보다 조금 더 깊이 걸었습니다》중에서 -


* 보기에 한없이 가녀린 풀들도
생명 보존 전략은 탁월합니다. 자신에게 필요한
햇살과 수분을 확보하기 위한 몸짓은 고요하고 느리지만
집요합니다. 그 지혜로운 하나하나의 몸짓이 모여
다른 생명들과 공생하며 숲을 이루고 있습니다.
사람 사는 것도 이와 같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는 것이 받는 것  (0) 2025.09.04
모든 것은 신비다  (0) 2025.09.03
별을 마시려면  (0) 2025.09.01
기다림  (1) 2025.09.01
쉬고 싶다는 생각  (1) 2025.09.01
반응형

새벽 숲

 

 


공기가 달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만하게 잘 산다는 것은  (0) 2025.06.17
몸이 내 맘대로 안 움직인다  (3) 2025.06.16
엄마의 마지막 얼굴  (0) 2025.06.13
깨진 수박  (0) 2025.06.12
첫 수영 레슨의 기억  (0) 2025.06.11
반응형

아이들이
써 내려간 시에서 무얼 느끼나.
자연 있는 그대로를 경험하고 이야기하고 있다.
솔직하고 담담하다. 표준말이 아니더라도
꾸밈말이 없더라도 그 장면이 그려지는
걸 보면, 아이들의 눈도 마음도
이슬처럼 투명하다.


- 조혜진의 《내가 좋아하는 것들, 숲》 중에서 -


* 현란한 수식어는
순수한 시어를 오히려 흐리게 합니다.
군더더기 없는 솔직함과 담담함은 맑은 숲속
샘물과 같고 가식 없는 아이들의 시선과 같습니다.
자연 그대로를 바라보고 표현하는 아이의 시선을
회복하는 것, 그것이야말로 숲을 닮은
시를 쓰는 것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테리아의 무서운 진화  (3) 2024.11.04
호떡집  (0) 2024.11.04
숲이 '안녕' 하고 속삭이네요  (0) 2024.10.31
여성의 식생활과 채식  (0) 2024.10.30
딸의 마음속 이야기  (0) 2024.10.29
반응형

숲에서
표정이 그려진 모양을 자주 발견한다.
꽤 흥미롭고 신기한 경험이다. 상상력이
마구 솟는다. 나뭇잎을 야금야금 먹은
애벌레의 흔적에서 동그란 눈이 보인다.
이제 막 피어난 광대버섯 인편에
작은 돌기가 눈과 입처럼 나 있다.
"안녕" 하고 말을 걸면
대답할 것만 같다.


- 조혜진의 《내가 좋아하는 것들, 숲》 중에서 -


* 옹달샘 숲도
가을이 깊어갑니다.
철 따라 색깔이 바뀌는 숲 풍경이
언제 보아도 아름답고 평화롭습니다.
이제 막 빨간 장갑 낀 듯한 단풍잎과 날아오를
준비를 마친 듯한 단풍 씨앗을 보면, 가을 숲의 설렘을
알 듯합니다. 숲이 '안녕' 하고 속삭이는 소리도
들리는 듯합니다. 겨울 채비를 하는 숲길 산책은
그래서 외롭지 않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떡집  (0) 2024.11.04
아이들이 숲에서 써 내려간 시(詩)  (0) 2024.11.04
여성의 식생활과 채식  (0) 2024.10.30
딸의 마음속 이야기  (0) 2024.10.29
장엄한 우주적 질서  (0) 2024.10.28
반응형

나무를
몸으로 표현하는 것,
조금 엉뚱해 보여도 어른이든 아이든
숲을 만날 때 한 번씩 해보는 활동이다.
팔과 다리, 머리와 손을 움직여 내가 만든
몸짓으로 다른 존재가 되어본다. '나'라는
존재가 숲 일부라고 여기면 주변을
더 깊이 관찰하게 된다.
그 상상력의 힘을
믿는다.


- 조혜진의 《내가 좋아하는 것들, 숲》 중에서 -


* 숲에서는 사람도 나무가 됩니다.
나무가 되어보고, 새가 되어보고, 바람이
되어보고, 햇살이 되어봅니다. 나무에 기대어
인사하며 서로 안부를 묻습니다. '오늘도 반가워',
'언제나 이 자리에 있어줘서 고마워', '힘들면
또 와'. 나무는 늘 그 자리에 서 있습니다.
아무리 외롭고 힘들어도 자기 자리를
지킵니다. 고향집 어머니처럼.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소중하기에  (0) 2024.05.31
무슨 일이 있어도 괜찮아요  (0) 2024.05.30
분노 조절 장애  (0) 2024.05.28
신발을 벗어라  (0) 2024.05.27
나를 본다  (0) 2024.05.27
반응형

내를 건너서 숲으로
고개를 넘어서 마을로

어제도 가고 오늘도 갈
나의 길 새로운 길

민들레가 피고 까치가 날고
아가씨가 지나고 바람이 일고

나의 길은 언제나 새로운 길
오늘도.. 내일도..


- 윤동주의 시《새로운 길》에서 -  


* 늘 걷는 길입니다.
늘 넘는 고개이고 숲이고 마을입니다.
어제도 걷고 내일도 걷지만 새로운 목표,
새로운 방향, 새로운 꿈을 가진 사람에게는
언제나 새로운 길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톨이가 아니다  (0) 2023.06.01
행동이 자신감을 회복시킨다  (0) 2023.06.01
스스로 좋다고 생각하는 것을 행하라  (0) 2023.05.30
재능만 믿지 말고...  (0) 2023.05.30
지금 내 가슴을 뛰게 하는 것은  (0) 2023.05.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