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본연의 자신을
발견하고 발휘하기 위해서는
물질세계를 경험하는 틀인 생각을
조절해야 한다. 생각은 세상의 경험에
취약하다고 할 수 있는데, 이를 제어하여
인간의 마음속 깊이 감금된 영혼을
자유롭게 풀어줘야 한다.


- 배철현의 《삼매》 중에서 -  


* 생각에는
좌뇌적 생각과 우뇌적 생각이 있습니다.
좌뇌적 생각은 태어나면서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의
가치관에서 나오는 것이고, 우뇌적 생각은 우주적 지혜인
영감과 직감입니다. 우뇌적 생각은 좌뇌적 생각이 멈출 때
그 모습을 드러냅니다. 영혼은 이 모든 생각들이 멈춘
순간, 고요함 속에서 존재를 드러냅니다. 영혼은
텅빈 충만의 시간 속, 침묵의 소리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기의 눈으로 바라보기  (0) 2023.02.23
요가 수련자의 기본자세  (0) 2023.02.21
단 하나의 차이  (0) 2023.02.18
미래가 가장 빨리 오는 곳  (0) 2023.02.17
나를 버린 친모를 생각하며  (0) 2023.02.16
반응형

천재가 영감을 얻는 법

https://www.youtube.com/watch?v=1e5kBvEcQFk 

반응형
반응형

예술가와 과학자에게는
영감의 원천이라는 공통점도 있다.
현실에 대해 느끼는 경이로움과 놀라움이
그것이다. 그것은 그 자체로 시적이며 시적인
감동을 불러일으킨다.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은
이렇게 말했다. "욕조나 길 위에 고인 웅덩이의
물을 바라보는 재미가 어린이를 물리학자로
만드는 것이다."


- 세드리크 빌라니의《수학은 과학의 시다》중에서 -


* 물웅덩이를 보고 재미있어
하는 아이는 이미 시인이고 물리학자입니다.
보통 사람들 눈에는 별것도 아닌 것에서 즐거움,
놀라움, 경이로움을 느끼는 그런 감수성이 뜻밖의
영감을 불러오고, 그 영감이 인문학적으로 이어지면
시인이, 수학적으로 연결되면 물리학자가 됩니다.
그런 어린이가 훗날 불후의 명작을 낳고,
장차 노벨상 수상자로도 이름을
올리게 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37조 개의 인간 세포  (0) 2021.06.07
스승의 존재  (0) 2021.06.07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  (0) 2021.06.03
'내 몸이 내 몸이 아니다'  (0) 2021.06.02
말썽꾸러기 목사 아들  (0) 2021.06.01
반응형

어떤 일을 앞두고
망설이고 계시나요?
조금이라도 감이 오면,
한 번 시도해 봅시다. 도전해본 사람만이
현장에서 느낄 수 있는 깊은 울림을 마음속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차곡차곡 쌓인
나만의 이유들이 견고한 직관이 되어,
삶의 풍성한 지혜로 작용하게
될 것입니다.


- 반은섭의《인생도 미분이 될까요》중에서 -


* '감이 왔다'.
아무에게나 주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오랜 경험과 시행착오, 직관, 영감이 합해져
어느 순간 섬광처럼 꽂히는 것입니다. 감이 왔을 때는
얼른 도전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자기에게만 주어진
하늘의 선물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도전의 결과가
좋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 역시 훗날
더 좋은 감으로 다가올 수 있습니다.
망설이면 때를 놓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배우 신영균과 그의 어머니  (0) 2020.12.14
인생이라는 파도  (0) 2020.12.14
늘 옆에 있어주는 사람  (0) 2020.12.10
나쁜 것으로부터의 도망  (0) 2020.12.09
나 자신을 뜯어고치지 않으면...  (0) 2020.12.08
반응형

영감을 받는 삶과
의미가 있는 삶을 원한다면,
우리의 질문은 힘을 가진다. 질문은
우리를 그 경험에 더 가까이 데려간다.
그런데 질문은 역설적일 때가 많다. 처음
질문을 할 때 바로 나오는 대답은 조건화된
반응이기 쉽기 때문이다. 반면 이 질문들을
깊이 천착하는 것, 자신의 내면을 깊이
살펴보는 것이 바로 영적 수행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 아디야 산티의《가장 중요한 것》중에서 -


* 삶은 늘 우선순위가 있습니다.
먼저 할 것과 나중에 할 것이 있고,
가장 중요한 것과 덜 중요한 것이 있습니다.
그것을 여는 첫 번째 관문이 질문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이냐"고 물으면 답도 명확해집니다.
물론 그 답이 하루 아침에 되는 것은 아닙니다.
오랜 내적 경험과 자기 성찰, 영적 수행에서
얻어지는 것이고, 그렇게 얻은 답이어야
올바른 답이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련없이 버려라  (0) 2020.02.11
'디제스터'(Disaster)  (0) 2020.02.07
기민하고 차분한 대처와 슬기  (0) 2020.02.07
굳이 말하지 않아도  (0) 2020.02.07
꿈도 계속 자란다  (0) 2020.02.07
반응형

일본의 단시인 하이쿠, 소나타, 종교화와 같은 가장 큰 영감을 주는 예술은
제약으로 휩싸여 있다.
이런 예술은 창의성이 규칙을 뛰어넘기 때문에 아름답다.
제약은 문제를 구체화하고 문제에 집중하며 극복할 뚜렷한 난제를 제공한다.
창의성은 제약될 때 가장 크게 발현된다.
- 제이넵 돈, ‘좋은 일자리의 힘’에서 

풍부한 자원은 안일함을 부릅니다. 안일함이 쌓이면 서서히 퇴화하게 됩니다.
제약은 치열함을 불러옵니다. 치열함이 쌓여 창의력이 발현됩니다.
창의성은 제약을 사랑합니다.
제약은 신중하게 만들고, 우선순위를 정하고 최대한 혁신적이게 만듭니다.
제약이 더 큰 창조를 불러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