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나는
친구들의 일기를 읽으면서
일기가 정말 좋다고 생각했다.
일기는 너무나도 인간적이고 선한 면을
가지고 있다. 누군가의 일기를 읽으면
그 사람을 완전히 미워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는 점에서 말이다.


- 문보영의《일기시대》중에서 -


* 일기는
내가 좋아하는 이들을 더욱 사랑하게
만들어줍니다. 서로의 생각의 흔적을 읽다 보면
나의 영혼과 타인의 영혼이 미묘하게 뒤섞이면서
상대를 온전히 미워하는 게 불가능해집니다. 그래서
나는 일기를 쓰고, 읽는 걸 좋아합니다. 나는
앞으로도 계속 일기라는 형식을 빌려
나의 생각을 하얀 메모장에
써 내려갈 것입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변 환경에 따라  (0) 2021.07.27
경쟁과 협력  (0) 2021.07.26
'말 타는 법'을 먼저  (0) 2021.07.23
처음 손을 잡았던 날  (0) 2021.07.22
피해갈 수 없는 사건들  (0) 2021.07.21
반응형

모든 생물은
세포로 이루어진다.
왕년의 대배우 오드리 햅번과
오랑우탄의 외형은 전혀 다르다. 하지만
그 둘의 몸에서 세포를 떼내어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형상과 기능이 거의 같다. 이것은 파리도
마찬가지다. 세포의 기본적인 구성과 구조는 놀라울
정도로 비슷하다. 그러나 세포의 수는 생물에 따라
차이가 난다. 인간은 약 37조 개의세포로 이루어진다.
참고로, 이것은 세포 하나하나를 셀 수는 없으므로
추측해서 도출한 수치다. 이 수치를 알게 된 것은
2013년, 즉 21세기에 들어와서였다.


- 요시모리 다모쓰의《바이오 사이언스 2025》중에서 -


* 37조 개의 세포.
어마어마한 숫자입니다.
그 천문학적인 숫자보다 더 놀라운 것은
그 많은 세포 하나하나가 그 안에 우주를 담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그것은 마치 현미경으로 보아야 겨우 보이는
그 작은 정자 하나에 한 인간의 모든 DNA가 담겨 있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다른 동물이 따라올 수 없는 것은
숫자뿐만이 아닙니다. 최상위의 고등 생물인
인간에게 37조 개 보다 많은 마음의 세포,
영혼의 세포가 있다는 사실입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몸은 내가 만든다  (0) 2021.06.09
고추밭을 굽어보며  (0) 2021.06.08
스승의 존재  (0) 2021.06.07
어린이 시인, 어린이 물리학자  (0) 2021.06.04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  (0) 2021.06.03
반응형

"딸은 싫다 싫다
하면서도 어쩔 수 없이
엄마를 닮게 되더라. 우리 어머니가
하도 욕을 하는 바람에, 나도 덩달아
아버지를 미워했던 것 같다. 그게
나를 더 외롭게 했어."
"좋은 이야기만 해 줬어도 됐잖아.
그냥 평범한 이야기."


- 김현석, 남지현, 이희영의《각자의 정류장》중에서 -


* 엄마가 꽃을 좋아하면
딸도 꽃을 좋아하기 쉽습니다.
엄마가 남편을 미워하고 욕을 하면
딸도 그 엄마를 닮아 아버지를 미워합니다.
그래서 무섭습니다. 부모의 무심한 언행이
딸아들의 언행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욕만 닮는 것이 아니라
영혼도 닮습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 격차  (0) 2021.03.25
더 나은 사회를 만드는 일  (0) 2021.03.24
인재 발탁  (0) 2021.03.22
누구도 내 보드에 대신 올라탈 수 없다  (0) 2021.03.21
토끼가 달아나니까 사자도 달아났다  (0) 2021.03.19
반응형

"미리 예약했습니다"나
"박수를 칩니다"가 겹말인 줄 느낄 수 있을까요?
"축구를 차다"나 "탁구를 치다"나 "테니스를 치다"가
겹말인 줄 알아차릴 수 있을까요? "붉게 충혈된 눈"이나
"들뜨고 흥분했네"가 겹말인 줄 생각할 수 있을까요?
요즈음 "역전 앞" 같은 말을 쓰는 분은 거의 찾아볼
수 없습니다. 이런 겹말은 워낙 널리 이야기가 된
터라 퍽 쉽게 바로잡기도 하고 사람들 스스로
털어내기도 합니다. 그러나 무척 많은 겹말은
겹말인 줄 못 느끼면서 쓰입니다.


- 최종규, 숲노래의《겹말 꾸러미 사전》중에서 -


* '겹말'이란
같은 뜻의 낱말을 겹쳐서 쓰는 것을 말합니다.
'초가집', '처갓집', '외갓집', '향내', '늘상', '한밤중'이
대표적인 겹말입니다. 우리 한국말이 한자말과 연결돼
있기 때문에 생긴 불가피한 현상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그렇기 때문에 더욱 우리말을 우리말답게 지켜내야
하는 책무가 우리에게 있습니다. 언어는 영혼의
무늬입니다. 언어가 뒤섞이고 혼탁해지면
우리의 영혼도 함께 혼탁해집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래가 시대를 바꾸고 치유한다  (0) 2021.01.11
모험을 즐거워하자  (0) 2021.01.11
삼간지제(三間之制)  (0) 2021.01.07
병에 걸리지 않는 사람  (0) 2021.01.06
아하! 실마리를 찾았어요  (0) 2021.01.05
반응형

영혼이
주로 하는 것은 동경이다.
심장이 다른 사람 또는 어떤 대의와
하나로 녹아들기를 갈망한다면,
영혼은 올바름을 동경하고
선한 것과 하나로 녹아들기를
동경한다.


- 데이비드 브룩스의《두 번째 산》중에서 -


* 영혼은 그 사람의
영적 신성(神性), 영적 순금(純金)입니다.
그 영혼이 정하는 방향에 따라 몸도 마음도 심장도
따라 움직입니다. 슬픔으로 갈지 기쁨으로 갈지,
선한 쪽인지 악한 쪽인지 정해집니다. 다른
사람의 순금과도 만나 함께 빛을 냅니다.
함께 올바름을 동경하며
선을 이룹니다.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른이'  (0) 2020.12.07
휴식은 더 나은 균형을 찾는 것  (0) 2020.12.06
황제펭귄  (0) 2020.12.03
누가 더 행복할까?  (0) 2020.12.02
'나중에'는 없다  (0) 2020.12.01
반응형

먼 길을 걸어온 사람아
아무것도 두려워 마라
그대는 충분히 고통받아 왔고
그래도 우리는 여기까지 왔다
자신을 잃지 마라
믿음을 잃지 마라
걸어라 너만의 길로 걸어가라
길은 걷는 자의 것이다
길을 걸으면 길이 시작된다


- 박노해의《길》중에서 -


* 길이 끝났을 때,
길을 잃었을 때, 그때 우린 새 길을 만납니다.
잘못 들어선 길임을 알아차릴 때는 가능한 한
빨리 길을 바꿔야만 합니다. 길이 안 보일 때는
나를 돌아봐야하는 시간입니다. 마음이 고요하고
영혼이 맑아져야 그때 길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나는 지금 어디로 향한 길을 걸어가고 있는지
늘 확인해야만 합니다. 세상에는
벗어나올 수 없는 길도 많으므로.

반응형

'생활의 발견 >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중에'는 없다  (0) 2020.12.01
아이들이 번쩍 깨달은 것  (0) 2020.11.30
절대 잊을 수 없는 날  (0) 2020.11.27
'그저 건강하게 있어달라'  (0) 2020.11.26
간디가 기억하는 '나의 어머니'  (0) 2020.11.2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