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영혼이
주로 하는 것은 동경이다.
심장이 다른 사람 또는 어떤 대의와
하나로 녹아들기를 갈망한다면,
영혼은 올바름을 동경하고
선한 것과 하나로 녹아들기를
동경한다.


- 데이비드 브룩스의《두 번째 산》중에서 -


* 영혼은 그 사람의
영적 신성(神性), 영적 순금(純金)입니다.
그 영혼이 정하는 방향에 따라 몸도 마음도 심장도
따라 움직입니다. 슬픔으로 갈지 기쁨으로 갈지,
선한 쪽인지 악한 쪽인지 정해집니다. 다른
사람의 순금과도 만나 함께 빛을 냅니다.
함께 올바름을 동경하며
선을 이룹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른이'  (0) 2020.12.07
휴식은 더 나은 균형을 찾는 것  (0) 2020.12.06
황제펭귄  (0) 2020.12.03
누가 더 행복할까?  (0) 2020.12.02
'나중에'는 없다  (0) 2020.12.01
반응형

먼 길을 걸어온 사람아
아무것도 두려워 마라
그대는 충분히 고통받아 왔고
그래도 우리는 여기까지 왔다
자신을 잃지 마라
믿음을 잃지 마라
걸어라 너만의 길로 걸어가라
길은 걷는 자의 것이다
길을 걸으면 길이 시작된다


- 박노해의《길》중에서 -


* 길이 끝났을 때,
길을 잃었을 때, 그때 우린 새 길을 만납니다.
잘못 들어선 길임을 알아차릴 때는 가능한 한
빨리 길을 바꿔야만 합니다. 길이 안 보일 때는
나를 돌아봐야하는 시간입니다. 마음이 고요하고
영혼이 맑아져야 그때 길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나는 지금 어디로 향한 길을 걸어가고 있는지
늘 확인해야만 합니다. 세상에는
벗어나올 수 없는 길도 많으므로.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중에'는 없다  (0) 2020.12.01
아이들이 번쩍 깨달은 것  (0) 2020.11.30
절대 잊을 수 없는 날  (0) 2020.11.27
'그저 건강하게 있어달라'  (0) 2020.11.26
간디가 기억하는 '나의 어머니'  (0) 2020.11.25
반응형

중풍 등의 질병으로
인지능력을 잃은 환자에게 '음악'이
인지치료에 아주 좋은 수단이 되는 것을
최근에 알았다. 물론 그 음악이 꼭 클래식이어야만
할 이유는 없지만 인생의 가장 행복했던 순간에 나와
함께 해 준 음악이라면 그 장르와 상관없이 인간은
무의식중에도 그 음악에 반응을 한다고 한다.
가락에 얹어 따라오는 기억이 행복이라면,
육신이 어찌 그 영혼의 움직임에
반응하지 않으랴.


- 송하영의《마음아 괜찮니》중에서 -


* 음악이 중풍 치료에
좋다는 것은 음악이 갖는 치유 능력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한 사례일 뿐입니다.
더러운 몸을 목욕으로 닦아내듯 마음에, 감정에
맺힌 찌꺼기는 음악으로 씻어낼 수 있습니다.
희로애락을 다스리고, 묻혔던 행복한 추억을
불러오고, 때로는 눈물을 쏟아내면서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영혼의
세포가 맑아집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의 몸은 병에 걸리도록 설계되지 않았다  (0) 2020.11.19
'희망은 격렬하다'  (0) 2020.11.18
세포 재생, 세포 파괴  (0) 2020.11.16
마음 따라 얼굴도 바뀐다  (0) 2020.11.16
'나 하나만이라도'  (0) 2020.11.13
반응형

머릿속에
아버지를 떠올리고 있으면
나도 모르게 내 손이 수화를 하고
있음을 발견하곤 한다. 그리고 기억의
안개 저편에서 대답을 하는
아버지의 손이 보인다.


- 마이런 얼버그의《아버지의 손》중에서 -


* 청각 장애 때문에
오로지 수화로만 대화를 하던 아버지.
돌아가신 아버지를 생각하면 '입' 대신
'손'이 먼저 머릿속에 떠오르는 아들.
그 아버지의 손에, 그 아들의
영혼이 깃들어 있습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 번째 산  (0) 2020.11.02
음악으로 치유가 될까  (0) 2020.10.30
내 기쁨을 빼앗기지 않겠다  (0) 2020.10.28
'서번트십'이 답이다  (0) 2020.10.27
사람 만드는 목수  (0) 2020.10.26
반응형

모든 것을 다 이룬 것은 불행하다. 원하는 것이 없으면 정신은 활력을 잃고,
모든 것을 소유하면 영혼은 잿더미로 변한다.
정신이 건강하기 위해서는 열정과 호기심이 항상 충만해야 한다.
지나치게 만족스러운 상황은 오히려 치명적이다.
바라는 것이 아무것도 없으면 근심의 씨앗이 싹트고,
욕망이 사라진 자리에는 그림자만이 남는다.
- 발타자르 그라시안


우리 뇌는 무언가를 상실하면 자동적으로 다른 기능을 강화하는
신비한 능력을 가졌습니다.
청력을 상실하면 시각이 강화되고 시각을 상실하면 청각이 강화됩니다.
더 좋고 더 강한 새로운 것을 채우기 위해서는
과감히 비우고 지울 줄 알아야 합니다.
상실의 불행이 새로운 창조를 불러옵니다.

반응형
반응형

같이 있기 피곤한
떼쟁이 연인이나 친구를
슬금슬금 피하고 싶은 건 당연한 심리입니다.
그런 사람과 시간을 오래 보내면 영혼이 폭삭 늙는
기분이 드니까요. 부족한 자존감을 위로로 채워주느라
감정 노동도 하게 되고요. 어리광 많은 본모습 때문에
깊은 관계를 맺지 못할까 걱정이라면 그 본모습을
내 힘으로 개선하겠다고 결심하세요. 우린 그럴
수 있는 어른이고, 그 일을 할 수 있는 건
본인밖에 없으니까요.


- 최혜진의《그림책에 마음을 묻다》중에서 -


* 몸이 아니고
마음도, 정신도 아니고
영혼이 폭삭 늙는다는 말이 재미있습니다.
가까운 사람이 싫어지고 피곤해지기 시작하면
아닌게 아니라 영혼이 지치고 피폐해져 버립니다.
하지만 그 원인의 절반은 '나'에게도 있습니다.
연인이나 친구는 서로의 영혼을 가꾸고
고양시키는 동반자입니다. 서로가
서로에게 어른이 되어야 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정이 잘 흐르게 하라  (0) 2020.02.20
목화씨 한 알  (0) 2020.02.18
'숨을 쉬어, 상아!'  (0) 2020.02.15
긍정적 변화와 성장  (0) 2020.02.14
구조선이 보인다!  (0) 2020.02.1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