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철학자: 있는 그대로의

           '이런 나'를 받아들이는 것.

           그리고 바꿀 수 있는 것은 바꾸는 '용기'를 낸다.

           그것이 자기 수용이야.

청년: 음,그러고 보니 

        전에 커트 보네거트라는 작가가

        이와 비슷한 말을 인용했더라고요.

       "신이여, 바라옵건대 제게 바꾸지 못하는 일을

        받아들이는 차분함과 바꿀 수 있는 일을 바꾸는 용기와 

        그 차이를 늘 구분하는 지혜를 주옵소서"라고요.



- 기시미 이치로의《미움받을 용기》중에서 - 



* 불안하고 급변하는 세상속에서

무언가에 쫓기듯 정신없이 살아갑니다.

때론 허황된 기대와 현실 사이에 좌절도 하고

중심을 잃고 흔들리기도 하지요. 그래도 저에게

차분함과 용기와 지혜만 있다면 이 험한 세상 

잘 헤쳐 나갈 수 있을 것 같아요.



...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움을 초월할 때  (0) 2017.07.05
금메달 선수들이 한결같이 하는 말  (0) 2017.07.04
아이디어의 힘  (0) 2017.06.28
6월, 그대 생각  (0) 2017.06.27
영적 휴식  (0) 2017.06.26
반응형

- 명량에서 적을 맞겠다. 

  우수영으로 돌아가자. 돌아가서 기다리자. 

  오늘밤 전 함대는 발진하라. 

  장졸들의 표정이 얼어붙었다. 

  나는 다시 말했다. 

- 사지에서는 살 길이 없음을 알아야 한다. 

  그것이 아마도 살 길이다. 살 길과 죽을 길이 

  다르지 않다. 너희는 마땅히 알라. 


- 김훈의《칼의 노래》중에서 - 


* 삶은 늘 갈림길입니다.

하나는 살 길이고 또 하나는 죽을 길입니다.

"두려움을 용기로 바꾸자. 살고자 하는 사람은 죽고, 

죽고자  하는 사람은 살 것이다." 성웅 이순신의 웅변에

답이 있습니다. 삶의 갈림길에 설 때마다 두려움을 용기로, 

절망을 희망으로, 아픔을 치유로 바꾸는 것입니다. 

그것이 우리가 마땅히 걸어가야 할 

살 길입니다. 사는 길입니다.



.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로운 종류의 인간  (0) 2017.05.08
영웅 이야기  (0) 2017.05.02
꿈꾸는 사람들  (0) 2017.05.01
'나도 할아버지처럼 살아야겠다'  (0) 2017.04.28
연인  (0) 2017.04.27
반응형

약점이란 남들 앞에 나서고

시선을 받을 용기를 갖는 것과 동일하다.

약점이야 말로 혁신과 창조의 완벽한 원동력이다.

약점이 없다면 혁신 가능성은 제로에 가깝다.

- 브레네 브라운, ‘대담하게 맞서기’에서

 

약점이 있는 사람이 인간적입니다.

약점이 발견될 때 비로소 개선의 의지가 생겨납니다.

약점은 발전을 위한 필수요소입니다.

약점을 드러내는 것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무언가를 발명하고 싶다면 아주 오랫동안
사람들에게 이해받지 못할 것도 감수해야 한다.
기존과 다르고 새로운 것들은 처음에는 항상 오해를 받는다.
이런 종류의 오해와 비난을 감당할 자신이 없다면
뭐가 되었든 새로운 일을 시도해선 안된다.
- 제프 베조스, 아마존 회장

 

 

놀라운 아이디어일수록 실현되기 전날까지는
미친 아이디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해하고, 많은 사람들이 원하는 것만 해서는
세상을 바꿀만한 탁월한 성취를 이룰 수는 없습니다.
시류에 역행할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합니다.

 

 

.

 

반응형
반응형

'바르게 사는 사람'을
이야기할 때의 '바르게'는
다른 측면의 의미도 갖는다.
바르게 사는 사람은 용기 있는 사람이다.
삶 앞에, 문제 앞에 용기 있게
서는 사람이다.


- 안셀름 그륀의《지금과 다르게 살고 싶다》중에서 -


* 바르게 살기가 힘든 세상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좀 더 바르게, 좀 더 올곧게
살아가고자 하는 용기가 필요합니다.  
불의에 맞설 수 있는 용기! 서로
정직할 수 있는 용기! 두려움을
용기로 바꿀 수 있는 용기!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빙빙 도는 배  (0) 2016.10.24
함께 침묵하고 함께 웃고...  (0) 2016.10.21
내가 진정 원하는 것  (0) 2016.10.19
'네, 제 자신을 믿어요'"  (0) 2016.10.17
나는 너를 한눈에 찾을 수 있다  (0) 2016.10.14
반응형

선진국 젊은이들은 부모의 혜택을 받고 태어나
부나 보람 측면에서 다 올라가 있기 때문에
앞으로는 내려오는 길밖에 없다. 그러나 (한국 젊은이) 여러분들은
가난한 농부의 아들딸로 태어났기 때문에 내려갈 곳이 없다.
위로 올라갈 길만이 주어져 있다.
그 높은 희망과 가능성이 곧 행복인 것이다.
불평과 원망스러운 마음을 버리고
감사하는 마음과 용기를 갖고 새 출발 해주기 바란다. - 임어당 박사


1968년 혹독한 가난과 시련에 직면한, 희망이 전혀 없던
한국의 젊은이들에게 임어당 박사가 던져준 희망의 메시지입니다.
높은 희망은 행복을 안겨주며
행복은 감사하는 마음과 공존하는 것이 역사의 교훈입니다.
오늘을 사는 우리가 다시 새겨볼 만한 메시지입니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