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리더가 

자신과 자신의 조직을 

철저히 객관화해 바라보고, 변화가 

필요할 때 단행할 수 있으려면 비정해야 한다. 

그 비정함은 리더의 전문성, 그리고 조직과 

제품과 고객에 대한 깊은 사랑에서 나온다.


- 최원석의《왜 다시 도요타인가》중에서 - 



* 리더의 비정함은

숙명이기도 합니다. 사사로움과 정에

얽매이면 조직 전체를 구렁텅이에 빠뜨릴 수도 

있습니다. 좀처럼 어울릴 것 같지 않은 두 단어,

'비정함'과 '사랑'. 그러나 리더에게는

비정함이 곧 깊은 사랑입니다.



...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면의 그릇  (0) 2017.09.12
'먹는 즐거움'에 관한 것  (0) 2017.09.11
당신은 나의 꽃, 나의 향기  (0) 2017.09.08
꿈꾸고 춤춘다  (0) 2017.09.07
누구도 대신 할 수 없다  (0) 2017.09.06
반응형

적응력 있는 조직은 진화하기 위해 스스로를

계속 불균형 상태로 만들어 놓는다.

완전한 균형 상태란 곧 조직의 죽음을 의미한다.

역설적이게도 적응은 적응 능력을 저해한다.

적응력 있는 조직은 조직 내에서 끊임없이

변이, 긴장, 위기감을 발생시킨다.

- ‘왜 일본 제국은 실패하였는가?’에서 


위대한 리더는 안정 속에서 불안을 느끼고,

불안정 속에서 편안함을 느낍니다.

균형상태가 무너져야 조직은 변화를 시작합니다.

안정되면 바로 조직을 흔들어 불균형을 만들어 낼 수 있어야,

즉 스스로를 파괴할 수 있을 때 위대한 조직으로 거듭날 수 있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눈 호박 속에 보존된 채 발견된 곤충의 수 백만년 전 조상과

오늘날의 그것을 비교해 보면 한 가지가 다르다.

현생 곤충은 살충제가 다리에 묻으면

그 다리를 허물 벗듯 버리고 새 다리가 나온다.

놀랍게도 살충제가 사용되기 시작한

2차 대전 당시부터 그런 능력이 생겼다.

우리에게 주는 교훈은 스트레스 없이는 진화가 없으며,

그 진화는 급격히 이루어질 수 있다는 사실이다.

- 조나단 와이너

 

스트레스가 발전을 가져옵니다.

스트레스가 변화의 위협으로 다가올 때 

이를 활용해 제대로 변화하면 경쟁력이 생겨납니다.

위협과 스트레스는 개인과 조직을 발전시킬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됩니다.

위협을 기회로 환영할 수 있어야 합니다.



.

반응형
반응형

몇 달 짜리 프로젝트가 끝나면

‘와! 끝났다!’ 하는 회사도 있을 텐데,

우리는 바로 그 순간부터 ‘더 빨리 할 수 없었나’.

‘더 잘할 수 없었나’하고 복기에 들어간다.

- 사토 게이코 (도요타 직원)

 

그릇이 작은 사람, 일회성 성공에 그친 조직의 공통점은

작은 성취에 긴장을 풀고, 자만에 빠진다는데 있습니다.

위대한 사람, 초일류 기업의 공통점은

잘 나갈 때 더 긴장하고, 더 조심하고, 더 겸손해진다는 것입니다.

델에서는 성공하면 5초간 칭찬하고 곧바로

5시간 동안 미진했던 점에 대한 사후평가를 진행합니다.



.

반응형
반응형

신뢰는 리더나 조직이 가질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도구인데,
얼마나 큰 신뢰를 얻을 수 있는가는
자신을 얼마나 비울 수 있는가에 정비례한다.
모든 것은 내가 나 자신의 이익을 묻어두고
진심으로 회사의 사명과 다른 이들의 이익을 앞세울 수 있느냐에
전적으로 달려있었다.
- 어거스트 투랙, ‘수도원에 간 CEO’에서

 

사업의 원활한 운영에 신뢰만큼 중요한 것은 없습니다.
신뢰만큼 손상되기 쉬운 자산도 없습니다.
피터 드러커 교수는 “가장 유능한 리더는
절대로 ‘나’라는 말을 안한다”고 말합니다.
‘나’가 아닌 ‘우리가’ 신뢰를 만들어줍니다.
나를 버릴 때 신뢰가 공고해집니다.

 

반응형
반응형
일할 때의 마음가짐에서 기본은 ‘상대방을 기쁘게 할 것’,
‘상대방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일할 때는 항상 내가 받을 것 보다 상대에게 줄 것부터 생각하라.
먼저 상대방을 기쁘게 하면 내 성과는 덩달아 올라간다.
- 야마다 아키오, ‘생각 좀 하고 살아라’에서


 

비즈니스에서 중요한 것은 어떻게 하면 고객이나 부하직원,
다른 사원들이 기뻐할지를 먼저 생각하는 것입니다.
신뢰와 성과는 자동적으로 따라오게 되어 있습니다.
개인이나 조직이나 남을 이롭게 함으로써 내가 이롭게 된다는
자리이타(自利利他) 정신으로 무장한다면
누구나 승리를 맛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