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가끔 여행을 떠나자.'
일상에서는 혼자가 되는
시간이 적습니다. 여행이란 지금
있는 장소가 아닌 다른 곳으로 가서
혼자가 되는 일입니다. 자신과
마주하는 일입니다. 가끔 여행을 떠나세요.


- 마쓰우라 야타로의 《울고 싶은 그대에게》 중에서 -


* 익숙한 일상에서 벗어나
낯선 공간에 가면 오롯이 자신과 만날 수 있습니다.
삶이 힘들고 버거워질 때면 그냥 떠나보세요.
잊었던 나와의 해후로 다시 충전되어
돌아올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가끔
집을 떠나는 일이 필요한지도
모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긍정과 행복의 길  (0) 2025.11.20
행동을 바꾸려는 사람  (0) 2025.11.19
평범 속의 비범  (0) 2025.11.18
한 걸음 더 나가는 용기  (0) 2025.11.17
옛사랑  (0) 2025.11.17
반응형

문지기

 

집 잘 지켜요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하게 앉으렴  (1) 2025.06.10
걱정 말고 사세요  (0) 2025.06.09
페이스 조절  (1) 2025.06.09
우연은 없다  (0) 2025.06.05
달을 물고 나르는 새  (0) 2025.06.04
반응형

다른 사람들이
나를 어떻게 평가하는지,
다른 사람에게 내가 어떻게 보이는지에
예민해집니다. 어떤 때는 사람들로부터 잠시 숨어
고요함과 평온을 즐기고도 싶지만 이제 머리를 비우고
쉴 곳을 찾을 기회는 드물어졌습니다. 그래서 요새
학생들은 쉬는 시간이면 화장실에 가서 가만히
앉아 있다 온다는 이야기를 종종 합니다. 다른
사람들의 소란스러운 눈을 피해 조용하게
머무를 수 있는 유일한 장소가
화장실이라는 것입니다.


- 조영태 외의 《초저출산은 왜 생겼을까?》 중에서 -


* 산사의 화장실을
해우소(解憂所)라 합니다.
'근심을 푸는 곳'이라는 뜻입니다.
누구의 방해도 받지 않고 오로지 홀로 쉴 수
있는 곳,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온전히 허용 받을
수 있는 곳이 바로 화장실입니다. 요즘 아이들에게
화장실이 유일한 쉼터가 되고 있다는 사실이
안타깝습니다. 아이들의 해우소는
집과 학교여야 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험  (0) 2024.07.08
무엇이 우리 학생들을 멍들게 하는가  (0) 2024.07.05
아이는 어른의 거울이다  (0) 2024.07.03
병을 다시 얻는 이유  (0) 2024.07.02
기다리는 마음  (0) 2024.07.01
반응형

빨래를 보면 다 보인다
옥상에서
집집마다 걸려있는 빨래를 보면
그 집의 식구들이 연상된다. 오색찬란한
꾸르따부터 아이들의 교복, 가방까지. 어쩌면
너무 소소한 풍경들이 이제 도시에선 보기 힘들어졌다.
마당을 공유하고 함께 음식을 해서 나눠 먹고,
각 집의 빨래를 다 볼 수 있고 누구 집의
숟가락이 몇 개인지까지 알 수 있는
소통이 있는 풍경들 말이다.


- 서윤미의《나의 히말라야에게》중에서 -


* 빨래를 보면
그 집의 형편이 다 보입니다.
누가 사는지, 넉넉한지 궁핍한지,
부지런한 집인지 게으른 집인지 읽혀집니다.
문화도 보입니다. 히말라야 동네의 빨래는
히말라야 문화를, 티벳 동네의 빨래는
티벳의 문화를 드러냅니다.
속살을 드러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사형 꿈  (0) 2023.08.04
24시간 스트레스  (0) 2023.08.03
희망이란  (0) 2023.08.01
밀가루 반죽  (0) 2023.07.31
운명  (0) 2023.07.30
반응형

집은 일상이고 배경화면이어서
이왕이면 나의 몸과 마음이 편안하고
즐거울 수 있는 곳이었으면 했다. 그래서
식기를 살 때도 가구를 살 때도 두 번 세 번
생각하곤 하는데 멋진 것, 비싼 것, 남이 보았을 때
부끄럽지 않은 것보다 '정말 내가 원하는 것인가' 가
유일한 기준이었다.


- 최고요의《좋아하는 곳에 살고있나요?》중에서 -


* 어느 순간부터
집은 안식처를 넘어 나를 표현하는
또 다른 공간이 되었다. 결혼하고 나만의 집이
생기면서 작은 물건 하나에도 내 생각과 취향이
반영된다. 내가 사는 공간을 가꾸는 일, 그건
나 자신을 가꾸는 또 다른 방법이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공지능  (0) 2021.10.12
공짜 행복  (0) 2021.10.12
두려울 게 없다  (0) 2021.10.08
노인  (0) 2021.10.07
절망적인 상황일 때  (0) 2021.10.06
반응형

한 분야에서
일가를 이룬 사람이 말년에
평생 얻은 것들을 정리하고 몸만 겨우 들일 만한
작은 집에 머무는 것은 낯선 일이 아니다. 이황의
도산서당, 송시열의 남간정사, 조식의 산천재 등
소위 '삼간지제三間之制(선비의 집은 3칸을
넘지 않아야 한다)'의 정신을 남긴
집들을 보면 더욱 그렇다.


- 노은주, 임형남의《집을 위한 인문학》중에서 -


* 선비에게
'작은 집'은 청빈의 상징입니다.
대신 단아하고 아름다운 집을 지어
값진 문화유산으로 후세에 남겼습니다.
집을 '재산'으로 삼고, 그 재산을 불리기 위해
안간힘을 쓴다면 이미 학문 정진을 포기한 셈입니다.
시대가 흘렀고 풍속도 바뀌었지만 '삼간지제'의
전통을 이어가야 할 '선비'들이 오늘에도
많이 필요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험을 즐거워하자  (0) 2021.01.11
'겹말'을 아시나요?  (0) 2021.01.08
병에 걸리지 않는 사람  (0) 2021.01.06
아하! 실마리를 찾았어요  (0) 2021.01.05
새해, 다섯 가지 질문  (0) 2021.01.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