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내 경험에 의하면 독창적인 아이디어는
그 아이디어가 ‘비상식적’이라고 판단되는 데서 시작된다.
독창적 아이디어란 원래 비상식적이고 엉뚱하기 마련이다.
뒤집어 말해서 비상식적이므로 독창적인 것이다.
비상식을 두려워해서는 안된다.
- 나카무라 슈지 (2014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끝까지 해내는 힘’에서

 

 


사람들은 일반 상식에 맞는 아이디어에 높은 점수를 줍니다.
그러나 상식적인 아이디어로는 새로움이 창조되지 않습니다.
기존의 생각과 다른 비상식적인,
엉뚱한 발상들이 자유롭게 쏟아질 수 있는 분위기,
그런 엉뚱함에 점수를 줄 수 있는
문화를 만드는 것이 창조를 위한 첫 걸음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우리에게 창조적 고독,
다시 말해 혼자 있는 시간이 필요하다.
만약 이런 재충전의 시간이 주어지지 않는다면
창조성은 고갈되고 말 것이다. 그리고
시기를 놓치면 지치는 것보다
더 나쁜 상태가 나타날
수도 있다.


- 줄리아 카메론의《아티스트 웨이》중에서 -


* 스스로 의도하지 않아도
혼자 있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외롭고 고독한 시간이지만, 재충전의 기회가
될 수도 있습니다. 고갈된 마음의 우물을 채우고,
하마터면 놓칠 뻔했던 창조의 샘물을
퍼올릴 수 있는 '전화위복'의
값진 시간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첫 걸음 하나에  (0) 2015.06.17
'가족 생일'  (0) 2015.06.16
인생의 바둑  (0) 2015.06.13
꽉 묶어둔 선물 보자기를 풀듯이  (0) 2015.06.12
다가오는 매 순간은...  (0) 2015.06.11
반응형
"어리석은 짓을
할 수 없는 청년은 이미 노인이다."
고갱의 말이다. 남이 한 것을 따라서는
절대로 으뜸이 되지 못한다.
창조란 전에 없던 것을 처음으로
만들어낸다는 말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도전해야 한다.


- 홍영철의《너는 가슴을 따라 살고 있는가》중에서 -


* 창조의 길은
누구도 가보지 않은 길이기에
무모해 보이고 어리석게 보이는 것이 당연합니다.
그러나 그 무모함과 어리석음도 청년인 자만
누릴 수 있는 특권입니다. 두려워 말고
계속 도전합시다. 평생을 청년으로
사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옆에 천국이 있다  (0) 2015.05.05
은혜를 갚는다는 것  (0) 2015.05.04
사랑의 관계, 미움의 관계  (0) 2015.05.01
속으론 울고 있어도...  (0) 2015.04.30
죽을 힘을 다해 쓴다  (0) 2015.04.29
반응형

 

인간은 가장 큰 제약 속에서 가장 훌륭한 업적을 남긴다.
제약은 언제나 건축술의 가장 가까운
친구인 것처럼 보인다.
여러분이 혁신에 박차를 가할 때 최악의 선택은
지나친 자금지원이 가능한 상황이다.
창의성은 구속받는 상황을 좋아한다.
- 프랭크 R. 라이트

 

 

 

흔히들 자원이 부족해 창조하지 못한다 말합니다.
그러나 탁월한 업적과 창조는
자원의 부족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헨리 포드는 “우리는 느긋한 연구방법에 의한 것보다
어쩔 수 없이 선택한 방법으로 제작하고 판매할 때
더 많은 발견을 한다”고 말했습니다.
자원의 결핍이 발명하는 재주를 강요하는 것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예술, 요리, 의약, 농사, 공학, 마케팅, 정치, 교육 디자인에서
발전이 있었던 것은 대부분 누군가가
기존의 규칙에 반발해 다른 시도를 했을 때였다.
편안함에 길들여져 제 자리 걸음을 하고 싶지 않다면
계속 질문하고 기존의 틀에 도전하자.
기존 질서에서 벗어나는 것이 위대한 창조의 첫걸음이다.
- 로저 본 외흐, ‘크리에이티브 씽킹’에서

 

 

통념을 버려야 통찰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당연함을 당연하다고 생각하지 않는 것에서 창조가 시작됩니다.
김승희 시인은 ‘세상에서 가장 무거운 싸움’이라는 시에서
“당연의 세계는 물론의 세계를 길들이고,
물론의 세계는 우리의 세계를 길들이고 있다.
당연의 세계에 소송을 걸어라.
물론의 세계에 소송을 걸어라.”라고 외칩니다.

 

반응형
반응형

창조적인 작업에 대해 기계적인 반복을 한다는 걸
바보 취급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그렇지 않아요.
반복성에는 확실히 주술적인 것이 있어요.
정글의 깊은 곳에서 들려오는 북소리의 울림 같은 것이지요.
- 무라카미 하루키

 

창의력과 상상력은 일탈에서 나오는 게 아니라
매일 규칙적으로 자신이 좋아하는 무언가를 반복하는 힘과
그 일을 진정으로 즐기는 태도에서 비롯됩니다.
하루키의 창조력은 비가 오나 눈이 오나 매일 달리기를 하고,
일본에 있건 해외에 있건 매일 일정량의 원고를 쓴
꾸준한 반복에서 나온 것입니다.
(진희정, ‘하루키 스타일’에서 인용)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