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제게 '쓰기'는 호흡과도 같아요.
위로고, 치유고, 정체성이고, 해답이고,
때로는 뒷북이기도 합니다. 그때 왜 그렇게
힘들었는지, 화가 났는지, 무엇이 원인이었는지
당시에는 알지 못했던 감정을 뒤늦게 깨닫고 절대
풀리지 않을 것 같던 실타래를 풀어내게 하는
마법이 '글'이더라고요. 내면을 글로
써 보니까 비로소 그 감정의
정체를 알겠더라고요.


- 김성은의《점자로 쓴 다이어리》중에서 -


* 저도 엊그제 BDS(꿈너머꿈 국제학교)
학생들과 '글쓰기 공부'를 했습니다. 무꽃을
한 아름 꽃병에 가득 담아 한 번은 '느낌'만 적고,
또 한 번은 '관찰기'를 자세히 적게 했습니다.
그리고 "전체 느낌을 한 줄에 담고, 세세한
관찰을 그림처럼 적어가는 것이 글쓰기의
시작이다"라는 말도 덧붙였습니다. 자기
내면과 감정의 정체도 글쓰기의
무궁무진한 재료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검도의 가르침  (0) 2021.06.28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  (0) 2021.06.24
인간이 씨뿌린 재앙  (0) 2021.06.22
어머니의 육신  (0) 2021.06.21
늙는 것에 초연한 사람이 있을까  (0) 2021.06.21
반응형

많은 경우,
'해답을 줘야 한다' 혹은
'걸맞은 말을 해야 한다'라는 부담감은
공감의 장애물로 작용하기 쉽다.
'뭔가 적합한 말을 찾기 어렵다'라는 두려움 때문에,
대수롭지 않은 척 무시하거나 화제를 돌리거나
머쓱해져서 자리를 피하게 된다.
마법의 말 따위는 필요 없다.
그저 "정말 힘들었겠구나."
정도로도 충분하다.


- 브레네 브라운의《나는 왜 내 편이 아닌가》중에서 -


* 위로의 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진정성입니다.
미사여구로 꾸미거나 입에 발린 말은 오히려
역효과를 냅니다. 너무 과장된 말도 좋지 않습니다.
진심이 담긴 말이면 짧은 한마디로도 충분합니다.
공감이 먼저입니다. 서로 공감하면 위로와
치유가 마법처럼 뒤따릅니다.
"정말 힘드셨지요?"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극한의 고통  (0) 2021.02.25
오늘 일은 오늘에 족하다  (0) 2021.02.24
이타적 동기와 목표  (0) 2021.02.22
'위대한 일'은 따로 없다  (0) 2021.02.20
서두르면 '사이'를 놓친다  (0) 2021.02.19
반응형




정신적으로
외상을 입은 사람은 관계를 통해서,
가족과 사랑하는 사람들, 익명의 중독자 모임,
참전군인 단체, 종교 집단, 치료 전문가와의
관계 속에서 회복된다. 이러한 관계들은
신체적, 정서적으로 안심하게 해주고,
수치스러운 기분, 누군가의 책망이나
판단에서 벗어나 주위에서 일어나는
현실의 일들을 견디고, 마주하고,
처리할 수 있는 용기를
키울 수 있다.


- 베셀 반 데어 콜크의《몸은 기억한다》중에서 -


* 정신적 외상을 입은 사람들이
의외로 많습니다. 코로나를 겪으면서
더욱 많아졌습니다. 겉으로는 멀쩡한데
속은 문드러져 있습니다. 이때 필요한 사람이
'운디드 힐러', 곧 상처를 이겨낸 치유자이고
그 첫걸음이 잠깐멈춤의 휴식입니다.
언제(시간), 어디에서(공간),
누구(사람)와 멈추느냐.
그것이 해답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려야 보입니다  (0) 2020.08.03
특이한 아이  (0) 2020.08.03
귀인(貴人)  (0) 2020.07.28
육체적인 회복  (0) 2020.07.28
변명은 독초다  (0) 2020.07.28
반응형

나는 한방이나 민방의 
자연요법도 존중하고 신뢰한다. 
사람의 몸도 자연의 일부이니 치유도 
자연을 활용하는 것이 정상적이라고 생각한다. 
치유를 소명으로 삼는 이들은 환자들이 양방과 
한방 사이에서 갈등하지 않게 해야 할 의무가 있다. 
무엇보다 치유는 건강을 잃었을 때의 문제이고, 
근본 해답은 건강한 몸으로 사는 것이다. 
살아있는 순간을 선물로 고백하면서 
건강을 잘 돌보아야 한다. 

- 박기호의《산 위의 신부님》중에서 - 


* '건강할 때'와 '건강을 잃었을 때'는
삶의 방식과 질이 그야말로 천지 차이입니다.
건강을 잃으면 당장 병원 신세부터 져야 합니다.
일상은 사라지고 삶의 리듬이 송두리째 깨집니다.
건강할 때 산으로 들로 부지런히 다니며 걷고
뛰고 움직여야 합니다. '건강한 몸'으로
사는 것이 행복한 사람입니다.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낮은 목소리로  (0) 2019.07.15
작은 시작  (0) 2019.07.15
그분들의 유머, 유쾌한 대화  (0) 2019.07.11
살아 있음  (0) 2019.07.10
밥값  (0) 2019.07.09
반응형
인간의 궁극적인 물음은 
바로 '인생에 어떤 의미가 있는가'라는 
물음이다. '인간은 왜 태어났고, 무엇을 위해 
살고 있으며, 어디에 어떤 의미가 있는가'를 묻고 
답해 나가는 것. '왜'는 이유나 목적을 묻는 질문이다. 
애초에 어떤 이유나 목적이 없다면 '왜'라는 
질문도 있을 이유가 없다. 


- 원황철의《인생길 새롭게 열다》중에서 -


* 왜라는 질문은 왜 할까요.
모든 의미가 그 질문에 담겨 있기 때문입니다.
궁극, 근원, 시작, 목표, 방향, 꿈도 그 안에 있습니다.
왜 사는가, 왜 먹는가, 왜 일하는가, 왜 꿈꾸는가.
'왜'를 묻는 그 질문에서부터 답은 이미
찾은 셈입니다. 질문이 있어야
답도 있습니다.  


...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해 다짐의 말  (0) 2018.12.30
정직하면 손해 본다?  (0) 2018.12.28
절대 잊을 수 없는 순간들  (0) 2018.12.26
동정녀 마리아의 영혼  (0) 2018.12.25
산이 제일 멋있을 때  (0) 2018.12.24
반응형

"교육감이 되고 나서 

한동안은 그리 편치 않았어요. 

그러다가 어느 날 출근을 하는데 

우리 교육청 현관 이마에 답이 있는 거예요. 

'아이들이 웃으면 세상이 행복합니다.' 이런 표어예요. 

그래서 아이들을 행복하게 해 주면 되겠다 생각했어요. 

아이들이 행복하면 선생님들도 표정이 환해질 테고 

학교가 밝아지겠지요. 그러면 저도 덩달아 

행복해지겠다 싶으니 마음이 

후련해졌습니다." 



- 최창의의《(전국 17명 교육감들과 나눈) 교육 대담》중에서 - 



* 충청북도 김병우 교육감의 말입니다.

해답은 먼 곳에 있지 않습니다. 아이들의 표정에 

모든 답이 있습니다. 아이들이 웃으면 학교가 웃고,

선생님이 웃고, 세상이 웃습니다. 아이들을 웃게 

만드는 학교, 그곳이 진정한 교육입니다.

더 나아가 이렇게도 말할 수 있습니다.

'국민이 웃으면 나라가 행복합니다.' 



...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에게 귀기울이기  (0) 2018.08.26
아플 땐 아프다고 말하세요  (0) 2018.08.24
기꺼이 고통을 함께 한다는 것  (0) 2018.08.22
맨발로 숲길 걷기  (0) 2018.08.21
인간 경영, 경영자의 자격  (0) 2018.08.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