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우리 몸에게 어떤 말을 하는 지에 따라 신체 건강이 좌우된다.
우리가 하는 말이 몸과 마음의 건강에 결정적이다.
무심결에 ‘이 무릎은 결국 고장이 날거야.’
‘그 애가 내 심장을 찢어 놓았어’라는 식의 말을 하다보면
결국 무릎이나 심장에 병이 생긴다.
- 바버라 호버먼

우리 몸은 우리가 하는 말을 그대로 다 믿는다고 합니다.
아무 생각없이 한 말이 무의식중에 우리 몸에 그대로 작동합니다.
자신이 하는 혼잣말을 잘 살펴야합니다.
행복한 삶은 부정적이고 파괴적인 혼잣말을
긍정적이고 건설적인 혼잣말로 바꾸는 데서 시작됩니다.


...
반응형
반응형
많이 흔들려본 사람만이 
세상을 남다르게 뒤흔들 수 있다. 
흔들린다는 것은 내 삶의 중심을 흔들어본다는 
것이다. 나무의 중심은 뿌리다. 흔들어서 뿌리가 
잘 버티고 있는지를 점검해보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나무의 중심이 얼마나 튼튼하게 
자리 잡고 있는지 알 길이 없다. 


- 유영만의《나무는 나무라지 않는다》중에서 - 


* 나무는 흔들리면서 자랍니다.
흔들려야 뿌리가 튼튼해지고, 뿌리가 튼튼해야
줄기도 튼튼해집니다. 사람도 사회도 역사도
흔들리면서 진화합니다. 폭풍과도 같은 
세찬 바람에 뿌리까지 흔들리면서
앞으로 미래로 전진합니다.  

...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떤 원인에서 비롯된 것인지  (0) 2018.03.09
사람과 역사  (0) 2018.03.08
눈이 촉촉해질 때까지  (0) 2018.03.06
'낡은 부속품'이 아니다  (0) 2018.03.05
몸이 말하는 것들  (0) 2018.03.04
반응형
코딩교육, 어떻게 해야할까?

http://naver.me/F7N518AY

...
반응형
반응형
오늘은 협재 다녀옴.
봄날이구나.

반응형
반응형
발레를 시작한 후 30년 넘게 시한부 인생으로 살아왔다.
내게 내일은 없다는 생각으로 오늘을 맞이했고,
절실하게 맞이한 오늘을 100% 살아냈다.
그 하루가 모여 지금의 내가 되었다.
오늘 하루만 살 수 있는 시한부 인생이라고 생각하고, 하루를 맞이하라.
지금 주어진 기회가 마지막 기회라고 생각하고, 그 일을 시작하라.
당신의 내일이 달라질 것이다.
- 발레리나 강수진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나는 늘 나 자신에게 이런 말을 한다.
‘나는 내일을 믿지 않는다.’
대신 오늘 지금 바로 이 순간이 내가 믿는 유일한 것이다.
그러니 나의 인생 목표 역시 오늘 하루를 열심히 사는 것이다.”


...
반응형
반응형
나이가 들어서, 
또는 질병의 결과로 나타나는 눈의 피로는 
아주 자연스러운 방법으로 극복해야 한다. 
푸른 초원으로 가서, 눈이 촉촉해질 때까지 
오랫동안 바라보는 게 좋다. "아마로 만든 
천을 깨끗한 찬물에 담갔다가 눈과 
관자놀이 위에 대고 단단히 
묶어도 된다." 


- 크리스티안 펠트만의《빙엔의 힐데가르트》중에서 - 


* 사람의 몸에서 
가장 먼저 피로감을 느끼는 곳이 눈입니다.
눈에 물기가 마르고 뻑뻑해지면서 피로의 신호를
보내줍니다. 이때는 밖으로 나가 푸른 하늘,
녹색 숲을 한동안 바라보는 것이 좋습니다.
하다못해 '인공 눈물'로라도 눈동자를
흠뻑 적시는 것이 좋습니다.
눈이 촉촉해질 때까지. 

...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람과 역사  (0) 2018.03.08
나무를 흔드는 이유  (0) 2018.03.07
'낡은 부속품'이 아니다  (0) 2018.03.05
몸이 말하는 것들  (0) 2018.03.04
'엄마라는 아이'의 목소리  (0) 2018.03.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