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우리가 어떤 감정을 느끼면 그것이
신체의 모든 세포로 전달되어 바깥으로 퍼진다.
이에 따라 멀리는 3미터 떨어진 사람에게도 감정이 전달된다.
리더가 매일 팀원들에게 자신의 감정을 무심코 전달한다는 뜻이다.
그것이 부정적이든, 긍정적이든, 무관심이든, 열정이든,
냉담함이든, 목적의식이든 저절로 알리게 된다.
- 존 고든, ‘인생단어’에서

긍정은 긍정의 결과를 낳고 부정은 부정의 결과를 가져옵니다.
긍정도 부정도 모두 전염성이 강합니다.
구성원들은 리더의 표정 하나 놓치지 않고 그대로 반응합니다.
리더가 늘 긍정, 유쾌, 낙관, 도전, 희망과 같은 태도와 표정을 유지하면
그대로 조직의 성과로 이어집니다.

...
반응형
반응형
제2차 대전 당시, 유태인 의사 
빅터 프랭클은 아우슈비츠 수용소에 수감되었다. 
그곳은 지옥보다 더 끔찍한 곳이었다. 발진티푸스에 
걸리고 만 그는 고열에 시달리며 생사를 넘나들었다. 
하지만 그는 삶을 포기하지 않았다. 그에게는 
살아야 할 이유가 있었다. 병마를 이겨낸 
빅터 프랭클은 아우슈비츠의 수감자들을 
관찰하기 시작했다. 그 결과 가치 있는 
목표를 가진 사람이 살아남은 
확률이 높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 호아킴 데 포사다의《바보 빅터》중에서 -


* 당신의 
살아야 할 이유는 무엇입니까?
당신께 묻는다면 무어라 답하겠습니까.
사랑하는 사람 때문에 우리는 살아야 합니다.
선한 목표와 꿈이 있기 때문에 살아야만 합니다.
고난과 역경이 절망의 끝이 아니라 희망의 시작임을
증명하기 위해 더 열심히 살아남아야 합니다.
살아있는 것이 사랑입니다.
가장 큰 승리입니다.


...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아티투도'(행복)라는 라틴어  (0) 2018.02.03
깨달음  (0) 2018.02.02
우리가 가장 원하는 것  (0) 2018.01.31
한 발 물러서서  (0) 2018.01.30
'저 너머에' 뭔가가 있다  (0) 2018.01.29
반응형
#골막국수 라고하니 막국수인줄 알더라.
#고기국수집 이다. 도민맛집.
관광객은 호불호가 갈린다고.
먹어보니 무슨 뜻인지 알겠다. 돼지냄새 못견디면 다른데 가서 드셔.
내입맛엔 Good! @ 골막식당

반응형
반응형
멋진 인생을 사는 사람의 사고법은 항상 긍정적이게 마련이다.
그들은 남들이 재앙이라고 느낄만한 사건까지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그것을
자신을 성장시킬 좋은 기회로 여기며 감사하게 생각한다.
그러다 보면 실제로 아무리 암울한 인생도 분명히 조금씩 나아진다.
- 이나모리 가즈오

인간의 소망에는 우리의 상상을 뛰어넘는 엄청난 힘이 숨어 있습니다.
자신의 가능성을 한결같이 믿고 실현되기를 굳세게 소망하면서
노력하면 어떤 고난이 닥쳐와도 염원은 반드시 실현됩니다.

...
반응형
반응형
우리가 
가장 원하는 것은 '사랑'이다.
돈이나 물건, 명성, 재산보다도 
사랑을 더욱 원한다. 존재의 깊은 곳에서는 
사랑이야말로 우리를 행복하게 하는 
유일한 것임을 알고 있다. 행복을 찾아 
나서는 모든 여정은 결국 
사랑을 찾는 길이다.


- 존 E 월션의《버리기 전에는 깨달을 수 없는 것들》중에서 -


* 우리가 살아가면서
여러가지 원하는 것이 많습니다.
그리고 그 원하는 것의 우선순위에 따라
그 사람의 가치와 행복순위도 달라집니다.  
올 한해 당신이 가장 먼저 걷고자 하는 
최고의 우선순위는 무엇입니까. 
'사랑'의 길을 함께 떠나요.

...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깨달음  (0) 2018.02.02
살아야 할 이유  (0) 2018.02.01
한 발 물러서서  (0) 2018.01.30
'저 너머에' 뭔가가 있다  (0) 2018.01.29
감사한 마음  (0) 2018.01.27
반응형
제주 눈. 실화냐?
김밥사러가는길

반응형

'육아일기 > 여행? 제주살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02-02 제주시 서부두  (0) 2018.02.02
2018-01-31 제주 골막식당 골막국수  (0) 2018.01.31
2018-01-27 제주. 맑음  (0) 2018.01.27
2018-01-24 제주 서부두  (0) 2018.01.24
2018-01-24 제주 대설특보  (0) 2018.01.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