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
어둑어둑해진 산길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래 한 알에서 세상을 보라! (0) | 2024.07.09 |
---|---|
조개의 눈물 (1) | 2024.07.08 |
무엇이 우리 학생들을 멍들게 하는가 (0) | 2024.07.05 |
해우소(解憂所) (0) | 2024.07.04 |
아이는 어른의 거울이다 (0) | 2024.07.03 |
위험
어둑어둑해진 산길
모래 한 알에서 세상을 보라! (0) | 2024.07.09 |
---|---|
조개의 눈물 (1) | 2024.07.08 |
무엇이 우리 학생들을 멍들게 하는가 (0) | 2024.07.05 |
해우소(解憂所) (0) | 2024.07.04 |
아이는 어른의 거울이다 (0) | 2024.07.03 |
우리나라 학생들처럼
불행한 학생은 없습니다. 이것은
이미 국제적으로 공인되었습니다.
극단적 경쟁 교육이 아이들을 죽이고 있습니다.
한국에서 '살인적인 경쟁 교육'이라는 말은 결코
수사가 아닙니다. 청소년 자살률은 OECD 평균을
훨씬 상회하는 수준이고, 청소년 사망원인 1위도
자살입니다. 그러니 청소년의 행복도 또한 세계에서
바닥입니다. 가장 예민한 감수성과 왕성한 지적
호기심을 가지고 세상과 만나야 할 아이들이
한국에서는 그 세상을 전쟁터로 체험한다는
것은 너무도 참혹한 일입니다.
- 김누리의 《경쟁 교육은 야만이다》 중에서 -
* 교육에는
필연적으로 경쟁이 뒤따릅니다.
학생 사이에 우열이 가려지고 순위가 매겨집니다.
경쟁에서 이긴 학생은 영광을 누리지만 밀린 학생은
좌절감에 때론 극단의 선택을 하게 됩니다. 문제는
경쟁 자체가 아닙니다. 가치 없는 경쟁, 저속한
목표의 경쟁, 경쟁을 위한 경쟁, 이런 류의
경쟁은 우리 아이들의 정신과 영혼을
멍들게 합니다. 어떠한 상황에서도
용기를 잃지 않게 하는 경쟁이
진정한 교육입니다.
조개의 눈물 (1) | 2024.07.08 |
---|---|
위험 (0) | 2024.07.08 |
해우소(解憂所) (0) | 2024.07.04 |
아이는 어른의 거울이다 (0) | 2024.07.03 |
병을 다시 얻는 이유 (0) | 2024.07.02 |
[workout] Justice Served Workout.
https://darebee.com/workouts/justice-served-workout.html
Justice: Served Workout
darebee.com
[workout] Get Back to Basics with this Bodyweight/Mobility Workout! (0) | 2024.08.28 |
---|---|
[workout] The Step-Through | Beginners Breakdown! (0) | 2024.08.27 |
홈 트레이닝이 가능한 전신운동 ‘케틀벨’ (0) | 2023.11.02 |
[workout] knee to elbow (0) | 2023.06.25 |
혈압 이완기 94 (0) | 2023.06.08 |
"""_summary_
얕은 복사(shallow copy)
list의 슬라이싱을 통한 새로운 값을 할당해봅니다.
아래의 결과와 같이 슬라이싱을 통해서 값을 할당하면 새로운 id가 부여되며, 서로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
print("\n","*" * 30, "\n 얕은 복사(shallow copy) \n","*" * 30)
a = [1, 2, 3]
b = a[:]
print(" a = ", a)
print(" b = ", b)
print(" id(a) : ", id(a)) #다른 주소
print(" id(b) : ", id(b))
print(" a == b : ", a == b)
print(" a is b : ", a is b)
b[0] = 5
print(a)
print(b)
"""
하지만, 이러한 슬라이싱 또한 얕은 복사에 해당합니다.
리스트안에 리스트 mutable객체 안에 mutable객체인 경우 문제가 됩니다.
id(a) 값과 id(b) 값은 다르게 되었지만, 그 내부의 객체 id(a[0])과 id(b[0])은 같은 주소를 바라보고 있습니다
"""
a = [[1,2],[3,4]]
b = a[:]
print(" id(a) : ", id(a)) #다른 주소
print(" id(b) : ", id(b))
print(" id(a[0]) : ",id(a[0])) #같은 주소
print(" id(b[0]) : ",id(b[0]))
"""깊은 복사(deep copy)
깊은 복사는 내부에 객체들까지 모두 새롭게 copy 되는 것입니다.
copy.deepcopy메소드가 해결해줍니다
"""
print("\n","*" * 30, "\n deepcopy \n","*" * 30)
import copy
a = [[1,2],[3,4]]
b = copy.deepcopy(a)
a[1].append(5)
print(" a : ", a)
print(" b : ", b)
print(" id(a) : ", id(a)) #다른 주소
print(" id(b) : ", id(b))
[python] Pandas cheat sheet (0) | 2024.07.19 |
---|---|
[python] 변수 scope, LEGB Rule (0) | 2024.07.15 |
[python] 얕은 복사(shallow copy)와 깊은 복사(deep copy) (0) | 2024.07.04 |
JSㆍ파이썬ㆍ자바가 기업 IT를 지배하는 이유 (0) | 2024.05.29 |
[python] 파이콘 2024 - https://2024.pycon.kr/ (0) | 2024.05.24 |
[python] 얕은 복사(shallow copy)와 깊은 복사(deep copy)
12. 얕은 복사(shallow copy)와 깊은 복사(deep copy)
## 1. mutable과 immutable 객체 객체에는 mutable과 immutable 객체가 있습니다. ❈ 객체 구분 표 class 설명 구분 l…
wikidocs.net
객체에는 mutable과 immutable 객체가 있습니다.
❈ 객체 구분 표
class설명구분
list | mutable 한 순서가 있는 객체 집합 | mutable |
set | mutable 한 순서가 없는 고유한 객체 집합 | mutable |
dict | key와 value가 맵핑된 객체, 순서 없음 | mutable |
bool | 참,거짓 | immutable |
int | 정수 | immutable |
float | 실수 | immutable |
tuple | immutable 한 순서가 있는 객체 집합 | immutable |
str | 문자열 | immutable |
frozenset | immutable한 set | immutable |
일반 user가 작성한 class도 대부분 mutable 한 객체 입니다.
immutable한 클래를 만들기 위해서는 특별한 방법이 필요합니다.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4828080/how-to-make-an-immutable-object-in-python
>>> a = [1, 2, 3]
>>> id(a)
4393788808
>>> a[0] = 5
>>> a
[5, 2, 3]
>>> id(a)
4393788808
>>> x = {1, 2, 3}
>>> x
{1, 2, 3}
>>> id(x)
4396095304
>>> x|={4,5,6}
>>> x
{1, 2, 3, 4, 5, 6}
>>> id(x)
4396095304
>>> s= "abc"
>>> s
'abc'
>>> id(s)
4387454680
>>> s[0]
'a'
>>> s[0] = 's'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stdin>", line 1, in <module>
TypeError: 'str' object does not support item assignment
>>> s = 'def'
>>> s
'def'
>>> id(s)
4388970768
>>> a = [1, 2, 3]
>>> b = a # shallow copy
>>> b[0]= 5
>>> a
[5, 2, 3]
>>> b
[5, 2, 3]
>>> id(a)
4396179528
>>> id(b)
4396179528
>>> a = "abc"
>>> b = a
>>> a
'abc'
>>> b
'abc'
>>> id(a)
4387454680
>>> id(b)
4387454680
>>> b = "abcd"
>>> a
'abc'
>>> b
'abcd'
>>> id(a)
4387454680
>>> id(b)
4396456400
>>> a = [1,2,3]
>>> b = a[:]
>>> id(a)
4396179528
>>> id(b)
4393788808
>>> a == b
True
>>> a is b
False
>>> b[0] = 5
>>> a
[1, 2, 3]
>>> b
[5, 2, 3]
>>> a = [[1,2], [3,4]]
>>> b = a[:]
>>> id(a)
4395624328
>>> id(b)
4396179592
>>> id(a[0])
4396116040
>>> id(b[0])
4396116040
>>> a[0] = [8,9]
>>> a
[[8, 9], [3, 4]]
>>> b
[[1, 2], [3, 4]]
>>> id(a[0])
4393788808
>>> id(b[0])
4396116040
>>> a[1].append(5)
>>> a
[[8, 9], [3, 4, 5]]
>>> b
[[1, 2], [3, 4, 5]]
>>> id(a[1])
4396389896
>>> id(b[1])
4396389896
>>> import copy
>>> a = [[1,2],[3,4]]
>>> b = copy.copy(a)
>>> a[1].append(5)
>>> a
[[1, 2], [3, 4, 5]]
>>> b
[[1, 2], [3, 4, 5]]
>>> import copy
>>> a = [[1,2],[3,4]]
>>> b = copy.deepcopy(a)
>>> a[1].append(5)
>>> a
[[1, 2], [3, 4, 5]]
>>> b
[[1, 2], [3, 4]]
https://suwoni-codelab.com/python%20%EA%B8%B0%EB%B3%B8/2018/03/02/Python-Basic-copy/
[python] 변수 scope, LEGB Rule (0) | 2024.07.15 |
---|---|
[python] deepcopy (0) | 2024.07.04 |
JSㆍ파이썬ㆍ자바가 기업 IT를 지배하는 이유 (0) | 2024.05.29 |
[python] 파이콘 2024 - https://2024.pycon.kr/ (0) | 2024.05.24 |
[python] 파이썬 가상환경과 아나콘다 가상환경 (0) | 2024.05.22 |
다른 사람들이
나를 어떻게 평가하는지,
다른 사람에게 내가 어떻게 보이는지에
예민해집니다. 어떤 때는 사람들로부터 잠시 숨어
고요함과 평온을 즐기고도 싶지만 이제 머리를 비우고
쉴 곳을 찾을 기회는 드물어졌습니다. 그래서 요새
학생들은 쉬는 시간이면 화장실에 가서 가만히
앉아 있다 온다는 이야기를 종종 합니다. 다른
사람들의 소란스러운 눈을 피해 조용하게
머무를 수 있는 유일한 장소가
화장실이라는 것입니다.
- 조영태 외의 《초저출산은 왜 생겼을까?》 중에서 -
* 산사의 화장실을
해우소(解憂所)라 합니다.
'근심을 푸는 곳'이라는 뜻입니다.
누구의 방해도 받지 않고 오로지 홀로 쉴 수
있는 곳,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온전히 허용 받을
수 있는 곳이 바로 화장실입니다. 요즘 아이들에게
화장실이 유일한 쉼터가 되고 있다는 사실이
안타깝습니다. 아이들의 해우소는
집과 학교여야 합니다.
위험 (0) | 2024.07.08 |
---|---|
무엇이 우리 학생들을 멍들게 하는가 (0) | 2024.07.05 |
아이는 어른의 거울이다 (0) | 2024.07.03 |
병을 다시 얻는 이유 (0) | 2024.07.02 |
기다리는 마음 (0) | 2024.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