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여행 많이 하는 사람을 채용해야 하는 10가지 이유


1) 개인의 발전에 한계를 두지 않는다.


: 다른 문화와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 어떻게 어울리는지 안다(그렇게 교류하며 스스로 발전해간다). 세계화 사회에서 중요한 요건이다.



2)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는다.


: 세상을 좀 더 코스모폴리탄의 시각으로 바라본다. 구조조정이나, 조직개편 등의 경영 이슈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3) 시간관리를 잘한다.


 : 여행은 시간관리의 연속. 그 속에서 시간관리 기술이 다져진다.



4) 다른 언어를 배우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 여러 나라들을 방문하면서 언어를 배우거나 의사소통하는 방법을 어느 정도 익혔기 때문.



5) 익숙한 곳을 벗어나는 것을 주저하지 않는다.


: 여행 중에는 수많은 돌발 변수들이 생긴다. 길을 잃거나, 의사소통이 되지 않거나, 비행기를 놓치는 등의 상황들. 그런 상황들에서 대응하는 능력을 갖추게 된다.



 6) 팀으로 일하는 것에 익숙하다.


: 여행을 하다 보면 팀을 짜서 움직일 때가 많다. 어떤 사람을 넣어 팀을 조직하거나, 팀에서 어떤 역할을 맡을지, 어떻게 이끌지 등에 대한 경험이 생긴다.



7) 의사결정을 미루지 않는다.


: 여행은 선택과 결정의 연속이다. 수많은 상황에서 위험을 감안하고 여러 가지 판단과 결정을 한 경험을 일에도 적용할 수 있다.



8) 위급한 상황에서 패닉에 빠지지 않는다.



 : 자주 여행하는 사람들은 여러 다급한 상황에 빠진 적이 있다. 일이 잘못되거나, 돈이 없는 상황 등. 살아남기 위해 해쳐 나온 그 방법들이 일할 때 닥치는 위기의 상황에서도 응용된다.



9) 스스로 건강 유지하는 방법을 안다.


: 어떤 백신을 맞아야 하고, 어떻게 건강을 유지해야 하는지 등을 여행자는 스스로 터득한다. 건강을 유지한다는 건 일에서도 중요한 사항이다.



10) 혁신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 자주 여행하는 사람들은 주로 호기심이 많다(그래서 여행한다고도 할 수 있다). 삶과 생활, 사회, 일 등에 대한 다양한 이해들이 회사의 여러 가지 일들에 혁신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여기에 덧붙여 하나 더 추가하자면

원문의 열 가지 사항에 하나를 더 덧붙이고 싶다.


11) 떠날 때를 안다.


‘여행 자주 하는 사람’이란 말이 나오면, ‘회사에 오래 있지 않는다’라는 말을 대뜸 꺼내는 사람들이 꽤 있다. 그런 말이 나오면 그 주제로 더 대화하는 건 멈추는 게 좋다. 더 이상 말이 통하지 않으니까.


사석에서건 면접에서건 ‘한 회사에서 오래 일하는 사람’을 뽑으려 한다는 말은, 달리 해석하면 ‘노예를 원한다’라는 말과 똑같다. 혹은 ‘나는 노예로 얽매여 사는데 너는 비교적 자유로운 것 같아서 배 아프다’라는 말을 돌려서 표현하는 것에 불과하다.



 오래 일할 수 있는 회사라면 당연히 오래 일한다. 구성원들의 평균 근무기간이 짧고 이직률이 높은 회사는 다 그만한 이유가 있기 마련이다. 그런 회사에서 아무리 오래 일할 사람을 골라 뽑아봤자, 결국 그렇게 뽑은 사람들도 진정 오래 일하진 않는다. 근본 원인을 해결하지 않고 노예처럼 일할 사람만 골라 뽑는다고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노예가 되어 오래 일하겠나.


누군가를 진짜 오래 붙잡아두고 싶다면 재택근무를 시키든, 긴 무급 휴가를 주든, 다시 돌아오면 받아주든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어차피 노동시장에서 기업은 갑이다. 그리고 사실 기업은 ‘오래 일할 사람을 채용하는 것’보다 ‘일하던 사람을 내보내는 것’이 더 큰 문제다.


그런 면에서 ‘떠날 때를 아는 사람의 뒷모습은 아름답다.’ 어차피 노동시장 전체 평균 근속기간도 그리 길지 않은 편이고, 계약직도 많은 현실이다. 골라골라 뽑은 사람도 당장 몇 달 일하고 나갈지 알 수 없는 거고.


따라서 ‘여행 자주 하는 사람은 오래 일하지 않는다’라는 건 그저 ‘그냥 싫다’라는 말일 뿐이다.



http://ppss.kr/archives/55474

...

반응형
반응형

대다수 지도자는 온화한 모습보다

유능한 모습으로 비춰지고 싶어 하는 오류를 범한다.

유능한 지도자는 두려움의 대상이다.

반면 온화한 지도자는 호감을 더 많이 사고

결과적으로 신뢰를 더 받는다.

- 리더십 전문가, 에이미 커디 교수 


실수할 때 사과하는 것만으로도 호감을 살 수 있습니다.

나와 상대의 공통점을 부각시키면 호감을 갖게 됩니다.

너무 잘난 척하거나 너무 고지식하게 굴면

오히려 호감도가 떨어집니다.

무심하게 보이는 것도 호감도를 떨어뜨립니다.

리더십은 사람의 마음을 사는 것입니다.



...

반응형
반응형

바다에 대한 비유가 유용하다. 

마음은 하루 종일 파도로 소용돌이치는 

바다와 같다. 충격과 모욕은 생각을 흐리게 한다. 

그러나 거의 흔들림 없이 고르고 평평한 상태를 

이루면 바다는 하늘을 완벽하게 투영할 수 있다. 

마음도 감정으로 인해 소용돌이치지 않으면 

놀라울 정도로 정확하게 세상을 반영할 수 

있다. 세상만사는 왔다 간다. 



- 홍석현의《한반도 평화 만들기》중에서 - 



* 수화명월류(水和明月流).

경지에 오른 명상가의 궁극적 목표의 하나입니다.

'물이 달빛을 비추며 흐르는' 평정심과 고요함! 

그러려면 마음 관리, 마음 공부가 필요합니다.

어떤 상황에서도 평정심을 잃지 않는 사람,

흔들리지 않는 사람이 세상을 이깁니다.

세상을 평화롭게 합니다.




...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구도 대신 할 수 없다  (0) 2017.09.06
피난 열차  (0) 2017.09.06
마음을 뚫고 나오는 말과 글  (0) 2017.09.04
믿고 맡겨라  (0) 2017.09.01
'멍 때리기'(default mode network)  (0) 2017.08.31
반응형

함석헌은 

글 한 줄을 쓰더라도 마음이 움직여야 썼다.

그의 모든 글과 말은 마음을 뚫고 나온 것이었다. 

함석헌의 생각과  믿음과 삶은 

그의 마음을 통해 나온 것이며 

그의 마음속에서 하나로 

통한 것이다.



- 박재순의《함석헌의 철학과 사상》중에서 - 



* 마음이 마음을 움직일 수 있습니다.

나의 마음이 다른 사람의 마음을 움직입니다.

사람을 감화시킵니다. 사람을 감동시킵니다.

마음에서 나오는 말과 글은 사랑입니다.

모든 사랑의 표현입니다. 그래서

모든 마음은 하나로 통합니다.

사랑으로 통합니다.


철학과 사상
국내도서
저자 : 박재순
출판 : 한울아카데미 2014.09.10
상세보기


...

반응형

'아침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난 열차  (0) 2017.09.06
수화명월류(水和明月流)  (0) 2017.09.04
믿고 맡겨라  (0) 2017.09.01
'멍 때리기'(default mode network)  (0) 2017.08.31
파도 위에서 춤추기  (0) 2017.08.30
반응형

웹보안, ICT기초 동영상 강좌


https://opentutorials.org/course/1863


 실전웹보안 코스는 아시아웹방화벽 1위 기업인 Penta Security Systems 신입사원과 비전공자(마케팅,기획등)들의 ICT와 보안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컴퓨터의 역사와 구조 통신과 웹보안까지 거의 전 분야에 대한 스터디가 있었으나 후반 웹보안부터 녹화를 하게되어 이번 코스에는 웹보안부분만 다루게 됩니다. 이후 빠진 부분에 대한 학습이 있으면 추가로 공개를 할 예정입니다.

 참여자들이 사전 제시된 주제에 대해 하나씩 조사, 발표하고 김덕수CTO가 개념정리 및 추가설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일방적인 설명보다 오히려 여러분들의 눈높이에  가까우리라 생각됩니다.  기술이 실제 적용되고 실용화되어 있는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직접들을 수 있는 흔치 않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웹서비스는 날로 증가하고 있으나 웹보안에 대한 전반적인 사회적 무지와 소홀로 인해 개인정보의 유출등과 같은 사건이 너무나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습니다. 결국 우리 역시 그 잠재적 피해자가 될 수 있습니다.  사내교육프로그램을 대외적으로 공개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


반응형
반응형

[생활코딩] Blockchain - 코인, 채굴


https://opentutorials.org/course/2865/16812



초보자를 위한 Blockchain 강좌 시리즈




...

반응형

+ Recent posts